國際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

이강기 2015. 10. 9. 17:19
                
[정태익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의 외교비사(12)-②]
박 대통령 5월에 모스크바 갔어야2015.07.10 (금)
<①편에서 계속>노무현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의 남ㆍ북정상회담이 무산됨으로써 러시아 전승 60주년 기념행사의 주역이 될 기회를 상실하였다. 노 대통령은 남ㆍ북정상회담 주선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가 임기 말..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의 외교비사(12)-①]
푸틴 대통령 남북정상회담 성사시키고 노벨상 받고 싶어했다2015.07.10 (금)
제2차 세계대전 때 소련은 당시 인구 1억6천만 명 가운데 1,100만 전사(실종자 포함), 1,600만 민간인 사망 등 총 2,700만 명이 희생되는 사상 최대 규모의 피해를 당하였다. 100만 명의 시민이 굶어 ..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의 외교비사⑪]
톨스토이, "이토 히로부미는 타락한 무도의 인간이었다"며 질타2014.11.06 (목)
러시아는 대문호의 나라다. 톨스토이, 푸시킨, 도스토옙스키, 체호프, 투르게네프, 고리키, 마야콥스키, 파스테르나크, 솔제니친 등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한 세계적 문호들이 모두 러시아에서 배출되었다. 실제로 러시아문학..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⑨]
사라진 헤이그 밀사의 후손 러시아서 찾았다!2014.08.25 (월)
모스크바대 사학과 재학 외고손녀가 이위종 연구 의지 밝혀 “박 교수가 마침내 옛 공사관의 위치를 찾아냈습니다.” 행사 개막을 얼마 남겨두지 않고 대사관 직원이 황급한 목소리로 필자에게 알려왔다. “어떻게 찾았..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⑨]
사라진 헤이그 밀사 후손 러시아서 찾았다<상> 러시아 황제가 헤이그 밀사 이위종에 장례비를 준 까닭은?2014.08.18 (월)
필자가 제7대 러시아 대사로 부임한 것은 2002년 3월이었다. 전임 이재춘 대사가 기획해놓은 한ㆍ러 친선 특급 열차 행사의 준비가 가장 시급하게 처리해야 할 현안으로 남아 있었다. 특급 열차 행사는 정치, 경제, ..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⑧]고르바초프 "라이사를 잃는 것이 러시아를 잃는 것보다 더 슬펐다"2014.05.20 (화)
필자는 주러시아 대사 임명을 받은 뒤 2002년 3월 초 모스크바에 도착하였다. 부임 첫 주말이었다. 태석원 정무공사가 러시아의 역사적 인물 대부분이 묻혀 있는 노보데비치(Novodevitchy) 공동묘지를 참배하는..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⑦]장쩌민, "來而不往 非禮也(손님 왔는데 안가면 예의 아니다)" 며 김정일에 서울 답방 권유했었다2014.04.09 (수)
프리미엄조선 최초공개-상하이 APEC 정상회의 뒷이야기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딱 들어맞는 상하이.국제 중심도시로 도약한 상하이에서 2001년 제9차 APEC(아시아태평양정상회의) 기간에 김대중 대통령은 8개..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⑥]"텍사스 출신 부시, 긴 대화보다 짧은 대화 좋아해" 김대중·부시 정상회담 '워싱턴 냉탕'과 '상하이 온탕' 오간 까닭은?2014.03.03 (월)
필자는 2001년 10월 7일 대통령 외교안보수석으로 임명돼 청와대 출근 첫날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결정을 알리기 위해 주무시던 대통령을 깨운 ‘호된 신고식’을 치루는 것으로 업무를 시작했다. 그런데 불과 일주일..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⑤]청와대 출근 첫날 자정 걸려온 핫라인 "미국은 1시간 후 아프가스탄을 공격합니다" 나는 잠든 대통령을 깨워야 했다.2014.01.22 (수)
필자는 김대중 대통령으로부터 외교안보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되기 전 2001년 7월 외교안보연구원장 발령을 받았다. 외교안보연구원장으로 임명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필자가 1998년 초부터 2000년 말까지 주이태리 대..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④]유성환의원 발언으로 미국 발칵 뒤집혀2013.12.29 (일)
미국은 ‘국시 발언 빌미 정당 해체’ 반대했다 “대한민국의 국시는 반공이 아니라 통일이어야 합니다.”1986년 10월 14일 12대 국회 정기국회 당시 유성환 신민당 의원이 총리를 상대로 대정부 질문 도중에 했던 ..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전두환 단임 약속지키면 '한국의 워싱턴' 될 것"2013.12.09 (월)
필자는 1987년부터 3년간 주미한국대사관에서 정무참사관으로 근무하였다. 한미관계가 우리 외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에 부여된 임무도 막중하였다. 당시 한국의 대미외교의 중점은 전두환 대통령이 이끄는 5..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②]1994년 가을 대사관저에 전화벨이 울렸다2013.11.20 (수)
‘정태익 전 청와대수석의 외교비사’는 해외 공관에서 활동하는 외교관들에게 특별 공개됩니다. 외교부가 해외 공관 외교관들에게 지침이 될 수 있도록 기사 전문을 공개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편집..정태익

[정태익 전 청와대외교수석의 외교비사①]한국-이집트 극적인 수교 드라마2013.11.05 (화)
한국 외교관들은 국제사회에서 남북외교 대결이라는 숙명이 있다.국제사회에서 외교 관계를 두고 매번 북한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어느나라 외교관보다 더 긴장해야 한다. 특히 특정국가가 남북한 외교관계를 수립했을 때나..정태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