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순호, 뉴욕조선족 통신 대표, 재미 조선인 작가]
들어가며
‘남방주말’(南方週末)에서는 일찍 예술가 황종영(黄宗英, 赵丹夫人)의 “내가 직접 모 택동과 나직남의 대화를 들었다”(我亲聆毛泽东与罗稷南对话)는 제목의 문장을 발표하고 전 사회적으로부터 크게 물의를 일으켰던 적이 있었다. 이 문장의 내용은 대개 이러하다. 1957년 7월7일, 반우파운동이 방금 시작된 지 한 달 남짓 지났을 때 모 택동은 상해에서 30여명의 문교공상계인사들과 만났다. 번역가 나직남(罗稷南)은 불쑥 이런 질문을 던졌다고 한다. “주석님, 만약 노신선생이 지금 살아계셨다면 그는 어떻게 했을 가요?” “허허, 노신 말이오? 아마도 감방에 갇혀서 자기가 쓰고 싶은 글을 계속 쓰던지, 아니면 한마디도 하지 않고 입을 꾹 다물고 있겠지요.” 이것이 반우파투쟁 시절, 모 택동이 노신에게 내렸던 그 유명한 평가였다. 중국말 원문은 이러하다. (鲁迅嘛, 要么被关在牢里继续写他的,要么一句话也不说) 어찌나 놀랐던지 좌중의 지식인들은 모두 식은땀을 흘리고 말았다. 왜냐하면 당시 상해의 지식인들이 적지 않게는 노신과 일면식을 가지고 있었거나 또는 노신과 아주 익숙한 사람들이었다. 나직남은 황종영에게 모 택동이 노신과 한 번도 만나본 적은 없지만 어찌 저리도 노신의 위인 됨을 아주 잘 아는지 모르겠다며 감탄했다는 후설(後說)이 있다.
1. 노신의 미스테리 일본 유학생활
노신의 본명은 주수인이 아니라 주장도(周樟寿)이며, 1881년 9월 절강성의 소흥에서 태어났다. 주수인은 후에 고친 이름이다. 노신이라는 필명은 1919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21살 때인 1902년에 일본으로 유학하였던 노신은, 당시 일본에서 아무런 가정적 경제지원도 없는 상황에서 또 다른 돈 버는 재간도 없었으면서 일본인 하녀까지 고용하여 집안 일을 시키면서 유족하게 살았다는, 노신 본인의 회고담이 전해지고 있다. 요즘의 시체말대로라면 ‘거액의 재산 來路不明罪’에 해당하는 셈이다. 노신의 동생 주건인은 형 노신이 어디서 돈을 구해다가 썼는지 알수가 없으며, 동생들의 학비까지도 모조리 책임지고 있었다고 회고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신이 당시 유학생들속의 추근과 같은 급진적인 사상 혁명가들과 전혀 어울리려고도 하지 않았고 또 함께 놀지않았던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당시 청나라 정부는 유학생들속에서 청나라 정부를 뒤집으려고 하는 젊은 유학생들을 감시하였고 유학생들속에서 적지 않은 밀정들을 배양하기도 하였다. 노신이 그 밀정들의 한 사람이었다는 소문도 있으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더욱 엄중한 것은 일본경찰들로부터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받아가면서 그들에게 유학생들의 동향을 보고하는 일을 했다는 소문들이 끝없이 흘러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때 일본 정부는 청나라 정부의 요청으로 반청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불량학생들을 퇴학시키기 위하여 “청국유학생취체규칙”이라는 것을 만들게 되는데 추근, 진천화 등이 이 규칙을 반대하는 활동을 벌였다. 의분을 참지 못한 나젊은 혁명문인 진천화(陈天华)가 칼로 자기의 배를 찌르고 바다에 뛰어들어 자살하자 추근 등은 7. 8백여 명의 유학생들을 모아놓고 집단적으로 귀국할 것을 호소하였으나 가장 앞장에서 이것을 반대하고 나선 사람이 노신과 허수상(许寿裳)이었다. 호한민의 회고는, 만청정부의 관비유학생이었던 노신은 정부에서 우리들을 큰 인재로 키우려고 돈까지 들여가면서 공부시키고 있는데 정부를 배신하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고 떠들다가 추근에게 “만로(满虏, 만주족, 호로)에게 투항하고, 친구를 팔아 영달을 구하며, 한족인을 압제하는 자들은 나의 칼을 받게 될 것이다”는 경고를 받았다고 쓰고있다. 실제로 노신을 질책하였던 추근의 원문 내용은 훨씬 더 삼엄하기를 이를 데 없다. 원문은 이러하다. “投降满虏,卖友求荣,欺压汉人。吃我一刀!” 이것이 바로 역사기 기록하고 있는 노신의 또 다른 모습이고, 실제의 모습이다. 만약 지난 반세기도 넘는 시간동안 중국의 정부 관방에서 출간한 교과서와 그리고 노신에 관한 책들만을 보면 우리는 얼마나 황당한 거짓말에 속아 넘어가 있었는지를 알게 된다.
2. 추근의 죽음에 쾌재를 부른 노신과 그의 소설 “약”(藥)
정부 관방의 선전대로라면, 노신은 어려서부터 부패한 청나라 봉건통치자들에 대하여 분노와 원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들의 암흑한 통치하에서 가난에 허덕이고 병마에 시달리는 자기 민족과 동포들을 의술로 구하겠다는 신념을 품고 일본으로 유학의 길에 올랐다는 이야기는 모조리 날조에 불과하며 새빨간 거짓말이라는 것이 청천 백일하에 드러나고 있다. 다시 또 노신이 의학전문학교에서 의학공부를 하다가 포기하고 문학으로 방향을 전향하게 된 것도, 의술로써 한 두 사람의 병을 고치기보다는 문학으로 깊이 병들어 있는 전체 중국 국민들의 병을 치유하겠다는 雄志를 품게 되었다는 것도 역시 날조였다는 것은, 노신의 동생인주건인의 직접적인 회고에서 밝혀지고 있다. 노신은 공부를 게을리 했기 때문에 학습 성적이 아주 나빴다. 이런 사실들은 일본에서 공개하고 있는 사료들에서도 얼마든지 확인이 가능한바, 일본 센타이 의학전문학교 당안을 뒤져보면 노신의 학습 성적은 윤리학에 83점, 독일어와 물리, 화학은 겨우 60점을 맞았고 지노(藤野)교수가 가르쳤던 해부학은 59. 3으로 불합격이었다. 이제 우리는 중국 내 서점들에서 비록 구경하기는 힘들어도 처음 노신에 대하여 쓰고 있는 일본 학자 케이스께 나가 타(永田圭介)교수의 "추근 — 경웅녀협전"(秋瑾 — 竞雄女侠传)과 같은 책을 별로 규제도 받지 않고 마음대로 중국 국내로 가지고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이 책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일본학자 가다오가 마시코(冈正子)의 “鲁迅 — 在日本这个异文化的国度中”이라는 책도 얼마던지 구해서 읽을 수가 있는데, 당시 자비 유학생이었던 추근과 만청정부의 관비 유학생이었던 노신의 사이에 얼마나 깊은 사상의 갈등이 존재하여 있었는지는, 일본의 중국유학생들이 거의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었으며, 여협객이었던 추근에게 비해 노신은 언제나 안일하고 명철보신하며 자기밖에 모르는 깍쟁이로 소문났었다고 역사는 기록하고 있다. 홍콩의 “봉화위성”에서 제작한 학자 호적(胡適)에 관한 다큐멘터에서도, 당시 북경대학에서 재직하였던 사람들의 입을 빌어 노신이 얼마나 돈에 집착하는 깍쟁이었던지를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를테면 호적은 학생들이 와서 돈을 뀌어달라고 하면 1백원이고 2백원이고 한번도 거절 한 때가 없이 쉽게 뀌어주군 했고, 한번도 그것을 되받으려고 하지않았는데 노신은 단 돈 1원이나 5십전을 뀌어주었다가도 기한내에 돌려주지 않으면 편지를 보내거나 만나면 인상을 쓰면서 화를 벌컥벌컥 내군 했다는 일화들로 유명하다. 누구던 노신을 건드리고 노신에게 불쾌한 일을 했던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글로써 보복을 했는데, 노신의 유명한 소설 “약”(藥)이 바로 그중의 한 편이다. 이 소설에 대하여 과거 정부 관방의 교과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간략하면 이렇다. “노신의 이 소설은 다방집 주인이었던 화로전부부가 아들 소전의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피에 절은 만두를 사는 이야기를 쓰고 있다. 이 이야기를 통하여 혁명을 진압하고 인민들을 우롱하였던 봉건통치계급의 죄행을 폭로하였으며 혁명자 하유영의 영용 불굴의 혁명정신을 노래하였다” 여기서 하유영의 원형인물은 바로 추근이다. 그런데 오늘에 와서 중국 문학비평계의 권위적인 학자들이 이 소설에 대하여 내리고 있는 평가는 과거 교과서의 평가와 하늘과 땅 사이의 차이만큼이나 거리가 벌어지고 있다. 노신의 이 소설이야말로 1907년 7월15일 만청정부를 뒤집는 활동에 종사하다가 불행하게도 체포되어 절강성의 소흥에서 참수형을 당하였던 추근에 대하여, 그의 죽음에 쾌재를 부르고 그를 죽인 만청정부에 대항하는 짓을 하여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항거를 해봐야 당시 중국의 민중들이 얼마만큼이나 무지하고 무능하며 미개한가를 보여주기 위한 대표적인 인물들로 다방집 주인 부부인 화로전(华老栓)과 하 씨네 셋째 할아버지(夏三爷), 그리고 형장에 몰려들었던 구경꾼들을 등장시키고 있다. 이런 추악한 군상들에게다가 노신은 성씨를 달 때 전부 중화(中華)라는 화(華)자, 또는 화하(華夏)라는 하(夏)자를 가져다가 달아붙여주었던 것과 달리 "건강’"健康), "강태"(康泰)와 같은 이름자들은 전부 혁명자를 죽이고 있는 회자수에게다 쓰고있고, 나아가 중화민족의 전통 미덕을 상징하는 “인”(仁)자, “의”(義)자와 같은 글자가 들어있는 이름들은 전부 만청 정부 감옥의 옥졸들에게다가 쓰고 있다. 노신을 비판하고 있는 학자들은, 노신이 바로 이런 방법을 통하여 만청 정부를 뒤집어엎기 위하여 손중산을 필두로 하는 중국의 나젊은 근대혁명가들이 한창 궐기하고 있었던 시대를 가리켜 중화민족은 구제가 불가능한 민족으로 매도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3. 원한과 폭란을 조장하는 나쁜 문장 “유 화진군을 기념하여”
결국 1949년 이후 모 택동에 의해 근대 신문화운동의 기수로 높이 받들리면서 지난 반세기동안 중국의 중소학교 교과서를 독점하다시피 등재되어 중국의 청소년들을 부식하였던 “약”과 같은 이런 나쁜 소설들이 드디어 교과서에서 사라지게 되는 결과를 맞고야 만 것이다. “약”에 못지않게 몇 세대의 나어린 청소년들을 나쁘게, 틀리게 오도한 노신의 문장들 속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이 바로 “유 화진군을 기념하여”이다. 이 문장도, 지금 놓고 보면 정부관방의 입장에서는 그것을 입에 담기가 아주 부끄러운 입지에 놓여있는 것이 사실이다. 유 화진이라는 젊은 북경사범대학교 학생을 살해하였던 당시의 정부는 바로 북양군벌 단 기서가 최고집정자로 있었던 시대인데, 이 단기서가 요즘은 아주 괜찮고 멋진 사람으로 역사학자들에 의해 새롭게 조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 화진 등 젊은 대학생 40여명이 살해 당했던 1926년 3월 18일에 발생한 "3. 18 참안"도 단 기서는 정부 청사 대문을 지키고 있었던 군경들에게 학생들을 향하여 총을 쏘라고 지시한 적이 근본 없었다. 이는 시위대의 배후에서 이 대소 등 공산당인 들이 학생들에게 직접 몽둥이나 혹은 철근 같은 무기를 들고 직접 군경들의 총을 빼앗으라고 사촉한 탓에 일어난 사건이었다. 사료는 이렇게 기재하고 있다.
"示威者有人执带铁钉的棍子并抢士兵的枪,《临时执政令》则称游行者“闯袭国务院,拨灌大油,抛掷炸弹,手枪木棍,丛击军警。各军警因正当防卫,以致互有死伤。”当场死亡47人、伤200多人,包括两名便衣警察、一名卫兵在内。死者中为人们所熟知的有北京女子师范大学学生刘和珍,李大钊和陈乔年也负伤."
이 사건 발생 뒤에 우리는 단 기서가 어떻게 처신하였는지를 알게 되면 입이 벌어진다. 단기서 본인이 직접 참안 현장에 달려와 무릎을 끊고 일어나려고 하지 않았다. 물론 이 일로 당시의 국무총리를 비롯한 내각 전원이 사퇴하였고 그 이후로 평생 동안 술과 고기를 입에 대지 않았던 단 기서에 대한 이야기는 오늘까지 북경성 안팎에서 널리 전해지고 있다. 이 얼마나 감동적인가. 노신이 단 기서정부의 치하에서 “유 화진군을 기념하여”를 쓸 수 있었던 정치적 배경에는 단기서정부가 그동안 정부 관방에서 선전해왔던 것처럼 그렇게 나쁜 정권이 아니었다는 사실에도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당시 중국의 군인들 속에서도 북양출신의 군인(관방에서는 줄곧 북양군벌로 호칭함) 정치가들 속에는 멋진 사람들이 아주 많았다. 일부는 중국의 역사에 마멸할 수 없는 큰 공을 세운 공신으로 사책에 기재되기도 하는데, 그 첫째가는 인물에 바로 단 기서가 있다. 단 기서는 “장훈 복벽”을 막아낸 중국 역사상의 뛰어난 군인 정치가의 한사람이었다. 그가 민국시절 중국 정부의 최고 집정자로 있을 때 바로 유 화진 등 대학생들이 살해당한 참안이 발생했지만 오늘의 역사가들이 함부로 단 기서에게다가 죄를 묻지 못하는 원인이 있다. 첫 째는 학생들에게 총을 쏘라고 명령을 내렸던 적이 없고, 둘째는 정부 청사 대문을 지키던 군경들의 오발사고로 학생들이 죽게 되자 내각전원이 책임지고 사퇴한 것과 셋째는, 정부의 최고집정자였던 단기서 본인이 직접 수난자들의 위패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눈물을 흘리면서 석고대죄를 한 것은 오늘과 같은 21세기의 발전한 민주국가들에서까지도 쉽게 찾아볼 수가 없는 모범적인 처사였다. 더구나 단기서 정부는 언론을 통제하지 않았고 백성들에게 시위 결사의 자유를 백프로 허락하고 있었던 사실도 무시할 수 없는 단 기서정부의 매력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노신의 “유 화진군을 기념하여”와 같은 문장이 세상으로 나올 수 있었던 것도 바로 단기서정부의 그와 같은 덕분 때문이었다. 우리는 단기서 이후의 국민당의 중화민국과 모 택동의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단 한 사람의 단 기서같은 국무총리를 구경할 수가 없음을 되돌아보면서 부끄럽기를 그지없다. 1989년의 6. 4동란까지 겪어오면서 우리의 당과 정부는 시위대 배후에서 손에 흉기나 또는 무장을 들고 군경에게 대들도록 사촉하는 사람들에 대하여서는 일률로 흉악한 테러범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 아니던가. "3. 18참안"도 따져놓고보면 바로 이 대소 등 공산당인 들이 군경들의 무장을 빼앗으라고 사촉한데서 일어난 불상사였음은 두말할 것도 없는 일이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지난 1979년 10월29일에 인민일보(人民日报)에서 발표되었던 이 대소의 아들 이 보화의 회고문장(回忆父亲李大钊的一些革命活动)에서도 증명된바 있다. 분명하게 평화적인 시위에서 시작하여 평화적인 시위로 끝날 수 있었던 것을 학생들이 살해당하게끔 만든 것은 이 시위대의 배후에서 평화적인 시위행동을 폭란으로 만들어놓은 이 대소 등 사람들의 책임져야 할 몫이었다. 관방에서 발행한 ‘문사자료선편’(文史资料选编) 제28집 ‘야마모도의원과 노신’(山本医院和鲁迅, 참안이 발생한 뒤 노신은 바로 이 야마모도의원으로 몸을 피신했고, 여기서 ‘유 화진군을 기념하여’를 썼다.)이라는 사료에는 이 참안의 실책이 이 대소 등 북경의 공산당인 들에게 직접적으로 있었다는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고 그들을 문제추궁하고 비난하자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노신이 “유 화진군을 기념하여”라는 그 문장에서처럼 단기서를 비난하고 매도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그런 식으로 데모를 조직하고 데모대로 하여금 무장을 한 군경들에게 맨손으로 달려들어 무장을 탈취하라고 사촉한 행위에 대하여, 그것이야말로 궁극적으로 유 화진 등 죄 없는 순수한 젊은 대학생들을 죽음으로 몰아갔던 것이 아니냐고 도리를 따져보자는 것이다. 더욱 한심한 것은 이 문장의 마감 결미에서 노신이 내뱉은 유명한 구절이다. "침묵 속에서 폭발하지 않으면 침묵 속에서 멸망하리라." (原文: 沉默呵,沉默呵!不在沉默中爆发,就在沉默中灭亡.) 이것이야말로 모두 일떠나 정부와 싸우라는 호소가 아니면 무엇이겠는가. 오늘날 중국공산당의 입장에서 볼 때는 이런 호소가 그렇게 불안하고 불편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은 두말이면 잔소리다. 참안을 일으켜놓은 실제 장본인이 누군데, 그 장본인의 과실에 대한 추구는 한마디도 없고 다만 정부가 학생들에게 총을 쏘았으니 이런 정부를 뒤집어 없애지 않으면 안 된다는 소리를, 제정신이 바로 박혀있는 있는 사람이라면 결코 함부로 내뱉을 수가 없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이 말은 여기서 멈추겠다.
4. 일본간첩 우찌야마 간조와 함께 보냈던 밀월의 시간들
다시 돌아가, 1906년부터 1909년까지 일본 동경에서 보냈던 노신의 생활은 상당하게 의심을 불러일으키는데 가 있었다는 이야기를 앞에서 잠깐 언급한바 있다. 노신이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돈을 벌었다는 기록이 없는데, 그러나 그는 아주 풍족하게 살았을 뿐만 아니라 둘째 동생의 학비까지도 모조리 혼자서 감당하고 있었으며 더구나 셋집에 일본인 하녀까지 고용하고 함께 살았다는 노신 본인의 친필 일기를 읽는 사람들은 누구라도 할 것 없이 이런 질문을 던지게 될 것이다. “노신의 돈은 어디서 온 것일까? 누가 준 것일까?” 노신에 대하여 다시 연구하고 있는 비판론자들은 과거 레닌이 짜리 러시아와 싸우기 위하여 독일 황제의 돈을 받아가면서 독일정부의 간첩노릇을 하였던 사례와 프랑스에서 유학생활을 하였던 주은래가 공산국제당의 책임자 지미트로프로부터 돈을 받고 밀정노릇을 하면서 프랑스의 중국인 유학생들의 동향을 감시하군 하였던 사례를 예로 들고 있다. 그때나 지금이나 유학생들 속에는 자국정부의 대사관이나 또는 당지의 특무기관, 혹은 경찰들로부터 생활비를 보조받으면서 유학생들의 동향을 감시하는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 노신이 동경을 떠나 상해로 돌아온 뒤인 1932년 1월28일 "송호 항전"(淞沪抗战)이 폭발하자, 노신이 일본군의 포격을 피해 급기야 옮겨갔던 피신처는 바로 일본 특무기관의 비밀거점의 하나였던 상해의 우찌야마 서점이었다. 이는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서점주인 우찌야마 간조(内山完造)와는 원래부터 아는 사이었거나 아니면 일본 특무기관으로부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노신에게 제공되어 있었던 피신처나 다를 바 없었다. 지난 반세기동안 정부 관방에서 만들어 발행하였던 중소학교 교과서는 물론하고 모든 노신과 관련한 이야기책들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일본인 벗이 있는데 그가 바로 우찌야마 간조였다. 일본이 투항하고 다시 중국과 일본이 우호관계를 맺으면서 우찌야마 간조는 중국 정부 관방에서 가장 반가운 일본인 우호인사로 둔갑하게 되지만, 국가 정보부문에서는 우찌야마가 상해에서 서점을 운영하면서 명색은 버젓이 자선사업을 하고 있는 듯이 위장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중국의 정보를 절취하고 한간들을 포섭하는 일을 전문 해왔다는 사실을 언녕부터 알고 있었다. 물론 노신도 우찌야마가 일본 특무기관의 간첩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을 리 없었다. 노신의 문장 "위자위서 - 후기"(伪自由书 - 后记)를 보면 노신 본인도 우찌야마가 일본 간첩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고백하고 있는 셈이다. 1934년 5월 상해의 “사회신문”(社会新闻)이 노신과 우찌야마 간조의 관계가 각별히 밀접한데 대한 의문을 제출하면서 노신을 가리켜 중국말로 “乐于作汉奸矣”이라고 표현하였는데, 우찌야마 간조가 비단 상해의 우찌야마 서점뿐만 아니라, 남경이 일본군에게 점령된 뒤에는 상무인서관까지 모조리 관리하고 있었고, 일본이 투항 한 뒤에는 곧바로 상해의 일본인 협회 교민수령으로 활동하게 된다. 우찌야마가 국민당의 중화민국 정부에 수감된 자국의 전쟁 범죄자들을 방문하고 그들을 빼내오기 위한 활동에도 아주 열심이었던 자료들을, 우리는 노신이 위대한 사상가 문학가로 미화되고 있었던 나날에 단 한조각도 구경할 수가 없었다. 물론 이런 것들은 모두 노신이 작고 한 뒤에도 아주 오랫동안 살았던 우찌야마 간조의 행적을 추적했던 사람들이 남긴 증언이다. 불투명한 이들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모든 자료들은 중국 정부 관방에 의해 철저하게 봉인(封印)되어 있었고 지난 반세기 남짓한 세월동안 아무도 그것을 함부로 관람할 수가 없었다. 노신과 우찌야마 간조 사이의 친일 일화들은 아주 많지만 여기서 멈추겠다.
5. 항일지사를 일본헌병에게 팔아버린 노신의 편지 “트로츠키 파에게 답함”(答托洛茨基派的信)
1915년 구라파의 열강들이 제1차 세계대전을 치르고 있었던 분망한 나날에 일본은 원세 개를 핍박하여 매국적인 “21조”를 체결하게 되었을 때, 여기에 선참으로 나서서 “조약을 체결하는데 동의한다.”는 사인을 남긴 사람들의 명단 속에도 노신의 큰 이름이 들어가 있다. 세상에 잘 알려진 이 조약은 나라를 팔아먹는 매국조약이었고, 이 매국조약을 혼자 사인하기가 무서웠던 원세 개는 나중에라도 죄목을 혼자 뒤집어쓰고 싶지 않았다. 그리하여 정부의 공무원들이 모두 나서서 집체적으로 사인할 것을 지시했고, 사인을 거부하는 자는 바로 그길로 사표를 내라고 내리 먹였다. 이때 노신은 사표를 낼 대신에 이 매국조약에 부리나케 서명을 남기었는바 노신과 라이벌관계에 있었던 문인 진 원(陈源, 卽陈西滢)은 다음과 같이 노신을 조소하고 있다. “노신이 나라를 사랑한다고? 노신이 사랑하는 나라야말로 일본이 아니겠소!” 원문은 이러하다. “鲁迅爱国?他爱的是日本国吧!” 노신의 문장들은 중국인의 국민성을 파헤치고 그의 열근성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비판하고 조소하였으나, 그런 문장들은 바로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면서 내세웠던 주장들과 맞먹어들고 아주 흡사하게 어울리는 부분이 많았다. 일본의 문화간첩들의 사촉을 받은 중국의 한간 문인들이 일본정부의 대동아공영권(大东亚共荣圈)을 노래하고 선전할 때에, 그것의 필요성의 하나로 중국인의 깨지 못한 우매함을 근거로 잡았고, 여기에 가장 앞장에서 맞장구를 쳐댄 것이 바로 지난 반세기도 넘는 세월동안 중국인들을 부식해왔던 노신의 문장들이었다. 우찌야마 간조 같은 일본의 노회한 문화간첩들은 이런 노신의 문장들이야말로 일본이 주장하고 있는 대로 중국인들이 실제로 확실히 깨지 못했으며 우매함의 정도가 말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었고, 그는 백방으로 노신을 도와 나서기도 했던 것이다. 여기까지도 노신을 비호하는 학자들은, 우연의 일치를 말한다. 자기 국민에 대한 노신의 비판은 국민에 대한 사랑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라고 말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줄곧 노신의 열렬한 철두철미한 숭배자였던 나도 일본은 다만 우연하게 그것을 이용하였을 뿐이라고 나름대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상해에서 비밀리에 중경의 국민당정부를 위하여 정보수집활동을 하고 있었던 항일열사 진기창(陈其昌, 트로츠키파계열의 공산당원)의 신분을 세간에 흘려, 결국 진 기창으로하여금 일본헌병의 손에 잡혀 살해당하게 만들었던 것은, 입이 열개라도 변명이 불가능한 노신과 팽 설봉의 작품이었다. 일설에 이는 노신이 한 짓이 아니고 공산당원 팽설봉이 노신의 이름을 빌어 한 짓이라고 하지만 최근에 발굴된 자료에서 보면 노신이 사망 직전에 직접 입으로 구술하고 팽 설봉이 그것을 베꼈던 것이었다. 모스크바의 공산국제조직에서 교육과 훈련을 받았던 진 기창은 사사건건 중국 공산당의 의사결정을 좌우하고 있었던 스탈린의 작법에 부동의 의견을 냈던 탓에 트로츠키파로 몰렸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적은 편지를 노신에게 몰래 보냈는데 노신이 그에게 보내는 답신을 통하여 이 사실을 세상에 공개해버린 것이었다. 노신의 1936년 6월9일의 그 유명한 “트로츠키 파에게 보내는 답신”(答托洛茨基派)이 바로 그것이다. 이 답신이 공개간행물을 통하여 상해에서 발표될 때 주석(註釋)에다가 “이 편지는 선생(노신을 가리킴)이 구술하고 O.V가 받아 적었다”고 밝혔는데, 이 O.V가 팽설봉이었다는 호 풍(胡风)의 회고담이 사료로 발굴되었다. 같은 공산당원으로써 팽 설봉이 사상 상의 이견 때문에 동지였던 진 기창을 일본헌병의 손을 빌어 제거하였다는 설도 아주 많으나, 어쨌든 노신의 이 “트로츠키 파에게 보내는 답신”은 노신으로 하여금 중국공산당의 벗으로, 혁명의 동지로 만드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노신을 비판하고 있는 학자들 속에서도 이 문장은 노신의 작품이라기보다는 팽 설봉의 작품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적지는 않지만, 어쨌든 노신과 편지를 주고받곤 했던 공산당원들이 당시 여럿 되었던 상황에서 유독 진 기창에게 보내는 답신만은 세상에 공개하여버린데서, 진 기창이 일본군 헌병에게 잡혀 살해된 것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6. 노신이 사랑했던 나라는 과연 중국일가? 아니면 일본인가?
이와 같은 사실들 외에도, 노신은 일본정부에 빌붙어 나라를 팔아 살아가고 있던 한간들에 대하여 한 번도 날카로운 필봉을 날렸던 적이 없었던 대신, 노신으로부터 개니(狗)、발바리(叭儿狗)니、개다리(走狗)、물에 빠진 개(落水狗)니 하는 욕설을 얻어먹은 사람들은 아주 많았다. 놀랍게도 그들은 모두 한간이나 매국역적이 아니었다. 예하면 장 사쇠(章士钊)、양 음유(杨荫榆)、호 적(胡适)、양 실추(梁实秋)、임 어당(林语堂)、서 지마(徐志摩)、진 원(陈源)、이 사광(李四光) 등 당시 중국의 가장 유명한 애국적인 지식인들이 모두 노신에게 개로 몰리고, 뜯기며 얻어맞아야 했다. 비록 노신이 일본 간첩과 친형제같이 밀접하게 지내면서 직접적으로 비호를 받고 지원받으며 살아갔던 증거들은 아주 많으나 다행스럽게도 그가 일본 간첩에게 자기의 동포를 팔아먹고 대가로 돈을 받은 증거, 예하면 영수증이나 또는 돈을 받았다는 친필사인같은 것들이 발굴되었다는 소리는 아직 없어서 그나마도 숭배자들에게는 일말의 위안을 주고 있다. 그렇지만 이상의 몇 가지 사실들만 가지고도 그동안 줄곧 정부 관방에서 올리추켜세웠던 대로 따라 믿고 推仰해왔던 노신의 진실한 모습 앞에서 경악하지 않을 사람들이 없다. 이를테면 노신이 친필로 남겼던 일기들 속에서, 일본군이 상해로 쳐들어오고 있을 때(송호항전을 가리킴) 노신은 조계 지안에서 일본 기생을 끼로 술과 담배로 밤을 지새웠던 사실과, 1936년 임종을 눈앞에 두고 있었던 노신이 마지막까지 간절하게 만나고 싶어 했고, 또 만났던 사람들도 모두 중국인 동료나 문우들이 아니었다. 그는 죽기 전에 병든 몸을 이끌고 그동안 자기에게 도움을 주었던 일본인 친구들을 방문하려 다니고 있었다. 그가 마지막에 만난 사람은 일본인 의사 지토오(须藤)는 물론 일본인 노회한 문화간첩 우찌야마 간조와 도르 테 와타루(鹿地亘)였다. 노신을 친일 한간 문인으로 몰아가는 것 까지는, 그동안 줄곧 노신에게 빠져있었고, 또 숭배해왔던 우리들에게 있어서는 스스로의 뺨을 때리는 일이나 다를 바 없다고 하겠지만, 노신이 아주 열렬하게 친일하였던 문인이라는 사실만은 덮어감추려고 해서는 안 된다. 중언부언하지만, 항상 일본에게 감격하고 일본을 좋아하였던 노신은 일본군의 군함과 장갑차가 상해를 짓밟고 들어오던 1932년 제1차 “송호항전”의 기간에도 조계 지안에서 일본기생을 끼고 밤을 보냈다는 그 본인의 친필 일기는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으나, 그가 침략자 일본의 상해침공을 비판하고 규탄하는 문장을 어디에 발표했다는 기록이 없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라는 말이 이럴 때 나온다. 만약 어디에 단 한 조각이라도 그런 문장이 있다면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노신이 항일투쟁을 하고 있었던 중국 혁명가들의 편에서 일본을 비판하고 일본의 침략을 규탄했다면, 오늘날 이렇게까지 시비와 구설수에 오르는 일은 없었을 것이 아니겠는가.
7. 신단(神壇)에서 내려올 때가 된 노신, 당과 정부가 앞장에 서야한다
과거 정부 관방에서 노신의 혁명성과 그가 중국공산당의 친밀한 벗이며 동지라는 사실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꾸며내었던 많은 일화들 가운데 하나로, 노신이 작가 모순(矛盾)과 함께 2만 5천리의 장정을 마치고 섬북에 도착한 중국 공산당에게 “당신들이야말로 중국의 희망”(原文:在你们身上,寄托着人类和中国的将来) 이라는 축하 전문을 보냈다는 사실도 근 본상에서 존재하지 않는 거짓말로써, 전부가 정부 관방에서 고의적으로 꾸며낸 허구의 이야기들이었다. 최근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이 전보 전문의 내용은 양 상곤(杨尚昆)의 문장에서, 양 상곤이 다른 몇몇 친구들의 말을 인용하였던 것을 토 하나 바꾸지 않고 모조리 통째로 베껴낸 것이라고 한다. 중국의 근대사에서, 만청 정부의 시대로부터 일본이 중국의 침략을 진행하여 가던 1930년대 중반까지 살아오는 동안, 노신은 만청 정부를 뒤집어엎기 위하여 싸우고 있었던 추근 등 근대의 혁명가들에 대하여 모독하는 소설을 써왔고, 일본이 대동아공영권을 만든다는 명분을 내걸고 중국을 침략해 들어올 때 내세웠던 중국 국민들이 무지함, 미개함, 고로 일본이 와서 중국인들을 교육하고 가르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아주 고약하기를 이를 데 없는 나쁜 선전을 돕는 나쁜 문장을 가장 많이 써온 한간 문인들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나는 노신이 친일은 했을지언정 절대로 한간문인으로까지 갈 수 없다는 주장을 하고 싶다. 황 종영의 회고문장 말고라도, 주 해영(周海婴)의 “나와 노신의 70년)을 읽어봐도 그렇고 “수필”(隨筆)잡지 2008년 제1기에 발표되었던 장 서산(张绪山)의 “毛泽东棋局中的鲁迅-从“假如鲁迅还活着”라는 문장을 읽어봐도, 노신이 한간문인으로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결코 모 택동 본인이 스스로 “중국의 가장 뼈대가 굵은 사나이”라는 평가는 새빨간 거짓말이었으며, 그것을 누구보다도 모 택동 본인이 제일 잘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만약 노신이 살아생전에, 장차 모 택동으로부터 그 토록이나 하늘 높은 줄 모르게 높이 떠받들 리울 줄을 미리 알았더라면 얼마나 자괴감(自塊感)에 빠졌을지 모를 일이다. 그런데 아이러닉하게도 모 택동은 자기 정적들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자기에게 필요한 경우라면 어떤 나쁜 자들이라도 그들의 나쁜 경력을 모조리 숨겨두고 얼마든지 높이 기용할 수 있는 독재자였다. 사실이 증명하다시피 진짜로 반역자, 특무의 경력을 가진 강청이나 장춘교 등은 높이 기용했던 반면에 진짜 순수했던 혁명가들에게다가 거꾸로 반역자 특무의 모자를 덮어씌워 때려잡곤 했던 것은 오늘의 중국의 인민들이 모두 다 잘 알고 있는 사실이 아닌가. 친일파 한간 문인이었을 가능성이 십분 큰 노신은 직접적으로 어느 정당에 신분이 가입되어 있은 문인은 아니지만, 그는 절대적으로 일본침략자와 싸우고 있었던 국민당이나 공산당의 편은 아니었다. 그는 백프로 중국보다 일본을 더 좋아했고 중국인들보다 일본인들을 더 좋아했으며, 중국인을 미개하고 무지하고 그래서 그들을 계몽시키고 그들을 가르치고 그들과 함께 대동아의 공영 권을 만들겠다는 일본군국주의 자들의 선전선동책에 백프로 호흡을 같이 했던 문인이었던 것만은 틀림이 없다. 국민당의 선각자들인 추 근, 송 교인, 호 한민 등이 만청정부와 싸우고 있을 때 만청정부의 관비유학생으로 일본에서 공부하고 있었던 노신은 백프로 만청정부의 편이었다. 1932년 9. 18 만주사변 이후 동북의 공산당인들이 일본관동군과 싸우고 있을 때도 노신이 공산당의 항일투쟁을 지지하고 선언하는 문장이나 호소문을 발표했다는 아무런 기록도 없다. 일본침략자들의 편이었기 때문이었다. 간혹 노신은 일본의 편이 아니었고, 일본의 침략을 규탄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간혹 들고 나오는 선언문이나 또는 부분 서명(署名)자료들에 들어가 있는 노신의 이름자들은 당시의 발기자들의 노신을 이름을 빌었던 것뿐이고 여기에 노신이 직접 참여했거나 또는 앞장에서 선도했다는 어떤 기록이나 또는 연고자들의 회고자료를 단 한편도 볼 수 없다는 것은 여간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나가며
나는 노신의 절대적인 철두철미한 숭배자의 한 사람이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그렇게 문학공부를 시작했고, 또 그렇게 살아왔던 나는 노신의 문장들이 중국의 학교 교과서들에서 사라져버린 것에 대하여 처음에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중국 국내에서 한창 “노신지우기”(去魯迅化)가 시작되고 있을 때, 미국에 왔던 나는 강택민과 호금도 시대의 교육부 관계자들에게 의견이 적지 않았었다. 그 토록이나 노신에 대한 나의 숭배는 거의 맹목 적에 가까웠었다. 비록 어려서부터 노신의 문장이란 문장은 모조리 읽었었지만, 솔직히 노신의 문장이 무엇을 썻고, 무엇을 쓰고 있는지에 대하여서는 여전히 내가 중학교에서 배웠던 교과서의 내용과 해석 그 수준에서 더 이상 한발자국도 나갈 수가 없었다. 다행스럽게도 나는 해외에 있다 보니, 중국 내에서 함부로 발행할 수 없는 많은 자료들과 만날 수 있었고, 또 중국의 정부 관방에서 그동안 하늘 높은 줄 모르게 신격화해왔던 노신의 또 다른 모습을 철저하게 파혜쳐놓고 있는 적지만은 않은 사료들과 만나게 되었다. 물론 나는 오늘의 중국에서 노신의 문장들이 중소학교 학생들의 교과서에서 사라지게 된 원인의 하나로, 정부 관방에서도 노신에 대하여서는 알만큼은 다 알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만 모 택동이 직접 치켜세우고 그 기치에 따라 당과 정부에서 반세기도 넘게 올리불어왔던 노신을 단 순간에 한칼로 잘라낼 수는 없고 하여 점진적으로 슬슬 사라지게 만드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어쨌든 노신의 문장들이 자라나고 있는 중국의 청소년들에게 적극적인 정면의 교육적 가치보다는 오히려 어려서부터 원한을 부추기고 반란을 조장(助長)하는 부정적인 면이 더 큰 것만은 의심할 바 없는 사실이다. 예하면 노신의 명언들 가운데 “물에 빠진 개는 호되게 족쳐야 한다.”는 것과 같은 주장들은 오늘날 전 세계의 인류문화가 다 함께 선호하는 인간 박애주의 정신과도 위배되고 또 따져놓고보면 중화민족의 전통적인 유교문화와도 부합하지 않는 다. 내가 더욱 경악(驚愕)하였던 사실은 또 있다. 노신의 연보(鲁迅年谱)에 보면, 1906년 26세였던 노신은 일본에서 유학생활 도중에 절강성 소흥의 고향으로 돌아와 부모가 맺어주엇던 주안(朱安)이라고 부르는 여자와 결혼식을 올리게 되는데 1922년까지 노신은 어머니를 모시고 동생 부부와 함께 북경의 한 사합원에서 살고 있었다. 그러다가 동생 부부와 세간을 나고 갈라지게 된 원인으로, 동생의 아내가 목욕하는 것을 몰래 훔쳐보다가 발각되어 동생과 대판 멱살잡이가 일어난 사건을 다룬 이야기를 담은 문장이 ‘북경춘추’에 실린 것을 읽게 되었다. 이것이 지난 몇해동안 내가 노신과 관련한 모든 책들과 자료들, 그리고 사책들에 이르기까지 하나도 놓치지 않고 일일이 뒤져보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결정적인 첫 단추가 되었던 셈이다. 나는 자기의 형에 대하여 회고한 노신의 동생 주건인(周建人)의 책과 문장들을 모조리 찾아 읽었고, 또 주건인의 말만 믿을 수 없겠다싶어 일본인들이 노신에 대하여 썼던 책들로 구할 수 있는대로 구해서 읽었다. 그리고 노신의 문장들과 관련되는 시대의 인물들, 예하면 단 기서, 추 근, 진 천화, 송 교인 등 사람들과 관계되는 문장들도 찾아 읽었고, 그들의 인간상, 그들이 살았던 시대의 정치적, 사회적인 문화 환경에 대하여 다시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일괄하게 노신으로부터 ‘개’로 ‘망나니’로 몰렸던 노신과 동시대에 함께 살면서 이름을 날렸던 문인들에 대해서도 읽을 때는 너무도 기가 막혀 한참동안씩 아무 말도 할 수가 없었던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우리 조선족이 자랑하는 학자 김 문학교수를 가리켜 친일파 학자라고 비판하고 있는 사람들이 아주 많은데, 나는 언제인가 기회가 닿을 때 적어도 김문학교수를 노신에게 비하면, 자기 민족과 자기 동포에 대한 김문학교수의 비판은 그래도 신사적이고 많은 경우 체면을 차린데 가 있다고 변호해주고 싶은 마음도 생겼던 때가 여러 번 있었다. 김문학교수가 어느 한편의 문장에서 노신이 굉장히 친일적이었다는 말을 했다가, 조선족 문인들 속에 전문 문장까지 써서 반발하는 것도 보았던 적이 있다. 불쌍한 우리의 중국의 조선족 문인들이 이 방면의 지식이 별로 없고 또 많은 경우 직접적인 자료들과 쉽게 만날 수 없는 환경에서 살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는 너그럽게 이해가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이제라도 중국의 정부 관방에서 노신에 관하여 공개하지 않고 있는 자료들이 있으면 다 공개할 것을 바라는 마음이고, 그 자료들 속에는 노신이 친일 한간 문인은 결코 아니라는 결정적인 증거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liushunhao@hanmail.net)
2014년 5월28일 서울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