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術, 敎育

미국 태생의 동양미술사학자 존 카터 코벨(1910~1996) 박사

이강기 2018. 4. 8. 22:36

존 카터 코벨 박사는 누구에요?

 

Naver 지식 IN


존 카터 코벨 이분 여러 한국사에관해서 집필을 하시는거같은데 흥미롭네요 그런데 이분 뭐하는분이에요?


네, 답변 드리겠습니다.

 

  우리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들의 역사의 단면들을 알게 끔 해준  손에 꼽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외국인 학자중의 한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첨부 이미지

 

 존 카터 코벨(1910~1996) 박사는 미국 태생의 동양미술사학자입니다.

 미국 오벌린대학을 나와 서구학자로서는 처음으로 1941년 미국 컬럼비아대학에서「15세기 일본의 선화가 셋슈 연구」로 일본미술사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일본 교토 다이토쿠지(大德寺)에서 오랫동안 불교미술을 연구하고 『대덕사의 禪』, 『일본의 선정원』,『이큐(一休) 선사 연구』등 일본예술의 미학적인 면을 다룬 여러 권의 저작을 냈습니다. 1959~78년까지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주립대와 하와이대학 등에서 한국미술사를 포함한 동양미술사를 강의했습니다.


 뒤늦게 일본문화의 근원으로서 한국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깨닫고 1978~86년간 아들 앨런 코벨(Alan Covell)과 함께 서울에 체류했습니다. 이 기간 중 한국문화의 현장에서 알아낸 1천4백여 편의 글과 논문을 발표하고『한국이 일본문화에 미친 영향』 『한국 도자기의 세계』『조선호텔 70년사』『한국문화의 뿌리』『한국의 문화유산』등 5권의 영문 저서를 냈으며, 한중일 미술을 섭렵한 해박함으로 미술사에서 고고학과 역사 연구로 이어진 작업에서 한국인의 먼 조상 부여기마족의 존재와 일본에 건네져 한국 국적을 잃고 있던 한국미술의 존재를 밝히는 작업을 해냈습니다.

 

『한국문화의 뿌리를 찾아』(김유경 옮김/학고재,1999) 『부여기마족과 왜』(김유경 옮김/글을 읽다,2006)등의 한국과 관련된 저서들을 남겼으며, 1985년 7월 후지노키고분을 발굴하자 이 무덤에서 한국식 유물이 쏟아져 나오자 발굴을 포기한 이야기, 지난 1300년 동안 한반도에서 받은 영향을 은폐해온 일본문화의 뿌리가 바로 한국임을 주장한 글들 발표한


2009.05.10. 20:31



 

코벨 박사의 전작 "한국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보다는 읽기가 편했다. 예술품에 대한 세세한 비교와 설명이 없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본서 "부여기마족과 왜(倭)"에서는 한일간의 다양한 문제를 역사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부여기마족', 그리고 그들이 일본에 가져간 '말', '일본정벌', '한일관계', '역사왜곡'등을 기술했지만 역시 핵심 주제는 서기369년 진구왕후가 이끄는 부여기마족의 일본정벌이다. 그리고 그 이후 부여족에  의해 일본 땅에 최초로 수립된 중앙집권적 정치제도, 그리고 이어지는 역사의 이야기들......

 

저자는 본문에서 이르기를 "일본 사가들은 369년 가야 부여족의 왜 정벌 이래 700년까지 한국이 정치적, 문화적으로 일본을 전적으로 지배했다는 사실을 완전히 감춰버렸다(313쪽)"고 했다. 사실 전작에 이어 이 책에서도 저자는 이 멧세지를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다.  그녀의 이런 태도에 대해 당시 한국인 이화여대 대학원생 하나가 '아집'이라고 까지 몰아붙혔다는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사실 학문적 확신이 어지간하지 않다면 국가간에도 매우 예민할 수 밖에 없는 주제를 초지일관되게 주장하기는 쉽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일본은 거짓말과 날조를 통해 한국인에게 문화적 대량학살을 감행했다. 그러나 일본이 초기 역사부터 8세기에 이르도록 한국이 떠주는 음식(문화를 말한다)을 받아먹고 자란 어린아이였다는 것이다. 정말 배은망덕한 사람들이다(314쪽)."라고 하면서 일본의 역사왜곡을 비판했다.

 

코벨 박사의 비판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솔직히, 나는 중동이 세계문제의 중점이라고 보지 않는다. 석유는 중요한 것이지만 세계는 지난 수천 년 간 석유 없이도 지내왔고 앞으로 대체연료를 찾아낼 것이다. 내가 보기에 동아시아 문제야 말로 중요한 것이며 한국은 거기서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320쪽)."고 까지 단언했다.

 

코벨 박사의 글을 읽으면서, 역사는 과거에 일어난 일을 기록한 것이지만 그 과거는 또한 우리의 미래가 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갖게된다. <bele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