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종의 평양 오디세이] 자본주의 맛 본 북한 부동산시장 … 업계는 대북진출 채비
평양엔 수 십만 달러 아파트 등장
웃돈거래에 중개수수료까지 오가
“주택은 사적 거래 가능한 재화”
입사증 거래 등 개인 재산 인식
400만 세대 절반은 다시 지어야
중국산 자재 편중 현상도 심각
아파트 분양 과정에서 ‘프리미엄(웃돈)’과 같은 개념이 생겨나고 부동산 중개 수수료까지 챙기는 일이 다반사가 됐다. 신흥 자본가인 돈주(錢主)들이 투자한 고급 아파트는 분양 경쟁률이 치열하다. 추첨이나 채권입찰 형태의 서구식 분양까지도 공공연하게 벌어지고 있다. 주택을 사실상 개인이 소유하는 건 물론이고 사고파는 일도 사실상 가능해졌다. 평양에서 최근 들려오는 이 같은 부동산 관련 소식을 듣다 보면 의아한 생각이 든다. 아파트나 일반 살림집이 개인 재산처럼 간주되는 건 물론이고, 자본주의에서나 벌어질 법한 일들이 점차 사회통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움직임은 북한이 그동안 내세워온 법률 규정과 딴 세상이다. 북한은 “인민들의 살림집 문제를 국가가 책임지고 원만히 해결해주는 것은 우리나라 사회주의 제도의 본성적 요구”(살림집법 2조)라고 강조해왔다. 국가부담으로 인민들에게 집을 지어 보장해줘야 한다는 얘기였다. “이용허가증 없이는 국가 소유 살림집을 쓸 수 없다”(도시경영법 11조)는 규정도 유명무실해졌다. 집이 없는 경우 여러 채를 갖고 있거나 자신의 집을 팔아넘기려는 사람에게 돈을 주고 입주하는 경우가 상식이 된 것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7/18/e776be70-902f-460e-b52c-87ddb3a94ec4.jpg)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