寫眞

‘어두운 역사’ 벗고 미래를 향해 내달리는 알바니아

이강기 2019. 12. 15. 21:59

‘어두운 역사’ 벗고 미래를 향해 내달리는 알바니아

글·사진 : 조성호  월간조선 기자

월간조선 2019.12월호

스칸데르베그(Skanderbeg) 광장에 있는 오페라 하우스.
  엔베르 호자의 39년 공산(共産) 철권통치를 겪은 알바니아는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국가였다. ‘유럽의 북한’으로 불렸던 알바니아가 선진 유럽 대열 진입을 위해 EU(유럽연합) 가입을 노리며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스칸데르베그 광장 중앙에 세워진 ‘알바니아의 영웅’ 스칸데르베그 장군의 동상.
15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막은 명장(名將)이다. ‘알바니아의 이순신’이라고 할 수 있다.
  구습(舊習)을 벗고 새 옷을 입고 있는 티라나에서 어두운 과거는 역사의 흔적으로만 남았다. 시민들의 온화한 표정, 생동감 넘치는 도시의 정경에서 알바니아의 현주소를 읽을 수 있다.
 
  2019년 티라나의 초가을 풍경은 따사로운 햇볕만큼이나 여유가 넘치고 풍요로웠다. 미래를 향해 줄달음치는 알바니아의 수도 티라나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봤다.⊙
 
알바니아 국립 역사박물관 전경. 알바니아의 독립 투쟁사를 묘사한 모자이크 그림이 건물 외벽에 걸려 있다.

티라나의 중심인 스칸데르베그 광장. 이른 아침부터 운동을 하거나 물건을 파는 사람들이 모여 활기가 넘친다. 이 광장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돼 있다.

국립 역사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스칸데르베그의 전신상. 그의 투구엔 염소 머리가 부착돼 있는데, 오스만 군대가 염소를 두려워해 그들에게 위협을 주기 위해 달았다고 한다.

크루야(Kruja)성의 성루(城樓). 스칸데르베그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축조한 성이다. 스칸데르베그는 오스만 군대와의 13번 전투에서 모두 승리하는 기염을 토했다.

크루야성에서 바라본 민가(民家). 고지대에 대형 건물을 지은 탓에 아슬아슬해 보이기까지 한다.

티라나의 고급 아파트. 웬만한 유럽의 아파트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잘 정비된 티라나의 도로.

티라나의 시장(市場). 과거엔 노점상 수준이었으나, 이제는 현대식으로 개축해 관광객들도 편하게 방문할 수 있다.

티라나 시장에서는 해산물을 값싼 가격에 먹을 수 있다. 손님이 직접 고른 해산물로 즉석에서 요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