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inese Century (번역문
첨부)
Chinese
construction workers work on a structure which will be used during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Matias
Costa
The railroad station in the Angolan
town of Dondo hasn't seen a train in years. Its windows are boarded up, its pale
pink faA§ade crumbling away; the local coffee trade that Portuguese colonialists
founded long ago is a distant memory, victim of a civil war that lasted for 27
years. Dondo's fortunes, however, may be looking up. This month, work is
scheduled to start on the local section of the line that links the town to the
deep harbor at Luanda, Angola's capital. The work will be done by Chinese
construction firms, and as two of their workers survey the track, an Angolan
security guard sums up his feelings. "Thank you, God," he says, "for the
Chinese."
That sentiment, or something like
it, can be heard a lot these days in Africa, where Chinese investment is
building roads and railways, opening textile factories and digging oil wells.
You hear it on the farms of Brazil, where Chinese appetite for soy and beef has
led to a booming export trade. And you hear it in Chiang Saen, a town on the
Mekong River in northern Thailand, where locals used to subsist on whatever they
could make from farming and smuggling--until Chinese engineers began blasting
the rapids and reefs on the upper Mekong so that large boats could take
Chinese-manufactured goods to markets in Southeast Asia. "Before the Chinese
came here, you couldn't find any work," says Ba, a Burmese immigrant, taking a
cigarette and Red Bull break from his task hauling sacks of sunflower seeds from
a boat onto a truck bound for Bangkok. "Now I can send money back home to my
family." You may know all about the world coming to China--about the hordes
of foreign businesspeople setting up factories and boutiques and showrooms in
places like Shanghai and Shenzhen. But you probably know less about how China is
going out into the world. Through its foreign investments and appetite for raw
materials, the world's most populous country has already transformed economies
from Angola to Australia. Now China is turning that commercial might into real
political muscle, striding onto the global stage and acting like a nation that
very much intends to become the world's next great power. In the past year,
China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key dealmaker in nuclear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allied itself with Russia in an attempt to shape the future of
central Asia, launched a diplomatic offensive in Europe and Latin America and
contributed troops to the U.N. peacekeeping mission in Lebanon. With the U.S.
preoccupied with the threat of Islamic terrorism and struggling to extricate
itself from a failing war in Iraq, China seems ready to challenge--possibly even
undermine--some of Washington's other foreign policy goals, from halting the
genocide in Darfur to toughening sanctions against Iran. China's international
role has won the attention of the new Democratic majority in Congress. Tom
Lantos, incoming chair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Foreign Affairs Committee
and a critic of Beijing's human-rights record, told TIME that he intends to hold
early hearings on China, on everything from its censorship of the Internet to
its policies toward Tibet. "China is thinking in much more active terms about
its strategy," says Kenneth Lieberthal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who was
senior director at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Asia desk under President Bill
Clinton, "not only regionally, but globally, than it has done in the past. We
have seen a sea change in China's fundamental level of confidence."
Blink for a moment and you can
imagine that--as many Chinese would tell the tale--after nearly 200 years of
foreign humiliation, invasion, civil war, revolution and unspeakable horrors,
China is preparing for a date with destiny. "The Chinese wouldn't put it this
way themselves," says Lieberthal. "But in their hearts I think they believe that
the 21st century is China's century."
That's quite something to believe.
Is it true? Or rather--since the century is yet young--will it be true? If so,
when, and how would it happen? How comfortable would such a development be for
the West? Can China's rise be managed peaceably by the international system? Or
will China so threaten the interests of established powers that, as with German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Japan in the 1930s, war one day comes? Those
questions are going to be nagging at us for some time--but a peaceful,
prosperous future for both China and the West depends on trying to answer them
now.
WHAT CHINA WANTS--AND
FEARS
If you ever feel mesmerized by the
usual stuff you hear about China--20% of the world's population, gazillions of
brainy engineers, serried ranks of soldiers, 10% economic growth from now until
the crack of doom--remember this: China is still a poor country (GDP per head in
2005 was $1,700, compared with $42,000 in the U.S.) whose leaders face so many
problems that it is reasonable to wonder how they ever sleep. The country's
urban labor market recently exceeded by 20% the number of new jobs created. Its
pension system is nonexistent. China is an environmental dystopia, its cities'
air foul beyond imagination and its clean water scarce. Corruption is endemic
and growing. Protests and riots by rural workers are measured in the tens of
thousands each year. The most immediate priority for China's leadership is less
how to project itself internationally than how to maintain stability in a
society that is going through the sort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 that, in
the past, has led to chaos and violence.
And yet for all their internal
challenges, the Chinese seem to want their nation to be a bigger player in the
world. In a 2006 poll conducted jointly by the the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and the Asia Society, 87% of Chinese respondents thought their country
should take a greater role in world affairs. Most Chinese, the survey found,
believed China's global influence would match that of the U.S. within a decade.
The most striking aspect of President Hu Jintao's leadership has been China's
remarkable success in advancing its interests abroad despite turmoil at
home.
Surprisingly for those who thought
they knew his type, Hu has placed himself at the forefront of China's new
assertiveness. Hu, 64, has never studied outside China and is steeped in the
ways of the Communist Party. He became a party member as a university student in
the early 1960s and headed the Communist Youth League in the poor western
province of Gansu before becoming provincial party chief in Guizhou and later
Tibet. Despite a public stiffness in front of foreigners, Hu has been a vigorous
ambassador for China: the pattern was set in 2004, when Hu spent two weeks in
South America--more time than George W. Bush had spent on the continent in four
years--and pledged billions of dollars in investments in Argentina, Brazil,
Chile and Cuba. While Wen Jiabao, China's Premier, was visiting 15 countries
last year, Hu spent time in the U.S., Russia, Saudi Arabia, Morocco, Nigeria and
Kenya. In a three-week period toward the end of 2006, he played host to leaders
from 48 African countries in Beijing, went to Vietnam for the annual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summit, slipped over to Laos for a day and
then popped off for a six-day tour of India and Pakistan. For someone whose
comfort zone is supposed to be domestic affairs, that's quite a schedule. "Look
at Africa, look at Central America, look at parts of Asia," says Eberhard
Sandschneider, a China scholar who is head of the Germ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They are playing a global game now."
As it follows Hu's lead and steps
out in the world, what will be China's priorities? What does it want and what
does it fear? The first item on the agenda is straightforward: it is to be left
alone. China brooks no interference in its internal affairs, and its definition
of what is internal is not in doubt. The status of Tibet, for example, is an
internal matter; the Dalai Lama is not a spiritual leader but a "splittist"
whose real aim is to break up China. As for Taiwan, China is prepared to
tolerate all sorts of temporary uncertainties as to how its status might one day
be resolved--but not the central point that there is only one China. Cross that
line, and you will hear about it.
This defense of its right to be
free of interference has a corollary. China has traditionally detested the
intervention by the great powers in other nations' affairs. An aide to French
President Jacques Chirac traces a new Chinese assertiveness to the U.S. invasion
of Iraq, saying, "They felt they can't allow that sort of meddling in what they
see as a nation's internal affairs." But the same horror of anything that might
smell of foreign intervention was evident long before Iraq. I visited Beijing
during the Kosovo war in 1999, and it wasn't just the notorious bombing of the
Chinese embassy in Belgrade that year that outraged top officials; it was the
very idea of NATO's rearranging what was left of Yugoslavia. Wasn't the cause a
good one? That didn't matter.
China's commitment to
nonintervention means that it doesn't inquire closely into the internal
arrangements of others. When all those African leaders met in Beijing, Hu
promised to double aid to the continent by 2009, train 15,000 professionals and
provide scholarships to 4,000 students, and help Africa's health-care and
farming sectors. But as a 2005 report by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notes,
"China's aid and investments are attractive to Africans precisely because they
come with no conditionality related to governance, fiscal probity or other
concerns of Western donors." In 2004, when an International Monetary Fund loan
to Angola was held up because of suspected corruption, China ponied up $2
billion in credit. Beijing has sent weapons and money to Zimbabwe's President
Robert Mugabe, whose government is accused of massive human-rights
violations.
Most notoriously, China has
consistently used its place as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to dilute resolutions aimed at pressuring the Sudanese government to stop the
ethnic slaughter in Darfur. A Chinese state-owned company owns 40% of the oil
concession in the south of Sudan, and there are reportedly 4,000 Chinese troops
there protecting Beijing's oil interests. (By contrast, despite the noise that
China made when one of its soldiers was killed by an Israeli air strike on a
U.N. post in Lebanon last summer, there are only 1,400 Chinese troops serving in
all U.N. peacekeeping missions worldwide.) "Is China playing a positive role in
developing democracy [in Africa]?" asks Peter Draper of the South Afric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Largely not." Human Rights Watch goes
further: China's policies in Africa, it claimed during the Beijing summit, have
"propped up some of the continents' worst human-rights abusers."
China doesn't support unsavory
regimes for the sake of it. Instead China's key objective is to ensure a steady
supply of natural resources, so that its economy can sustain the growth that
officials hope will keep a lid on unrest at home. That is why China has reached
out to resource-rich democracies like Australia and Brazil as much as it has to
such international pariahs as Sudan and Burma, both of which have underdeveloped
hydrocarbon reserves. There's nothing particularly surprising about any of this;
it is how all nations behave when domestic supplies of primary goods are no
longer sufficient to sustain their economies. (Those Westerners who criticize
China for its behavior in Africa might remember their own history on the
continent.) But China has never needed such resources in such quantities before,
so its politicians have never had to learn the skills of getting them without
looking like a dictator's friend. Now they have to.
WORKING WITH CHINA
Assuming a bigger global presence
has forced Beijing to learn the art of international diplomacy. Until recently,
China's foreign policy consisted of little more than bloodcurdling condemnations
of hegemonic imperialism. "This is a country that 30 years ago pretty much saw
things in zero-sum terms," says former Deputy Secretary of State Robert
Zoellick. "What was good for the U.S. or the West was bad for China, and vice
versa." Those days are gone. Wang Jisi of Beijing University, one of China's top
foreign policy scholars, say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s of 2006 was
that the communiquAⓒ issued after a key conference on foreign affairs for top
officials had no reference to the tired old terms that have been standard in
China's diplomatic vocabulary.
Washington would like Beijing to go
further. In a speech in 2005, Zoellick invited China to become a "responsible
stakeholder" in international affairs. China's national interest, Zoellick
argued, should not be narrowly defined, but would be "much better served by
working with us to shape the future international system," on everything from
intellectual-property rights to nuclear nonproliferation. Says Zoellick: "I'm
not sure anyone had ever put it quite in those terms, and it clearly had a
bracing effect."
That would imply that China's
behavior has changed of late. Has it? A U.S. policymaker cautions, "It's
important to see the 'responsible stakeholder' notion as a future vision of
China." In practice, this official says, "They've been more helpful in some
areas than others." When the stars align--when China's perception of its own
national interest matches what the U.S. and other international powers
seek--that help can be significant. Exhibit A is North Korea, long a Chinese
ally, with whom China once fought a war against the U.S. As North Korea's leader
Kim Jong Il developed a nuclear-weapons program in the 1990s, China had to
choose between irking the U.S.--which would have implied doing little to rein in
Pyongyang--or stiffing its former protAⓒgAⓒ.
Hu's personal preferences
seem to have helped shape the choice. He is known to have been stingingly
critical of Kim in meetings with U.S. officials. Michael Green, senior director
for Asian affairs at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until December 2005, says Hu
had long indicated to visiting groups of Americans his skepticism about Kim's
intentions. When the North finally tested a nuke last fall, China joined the
U.S. and other regional powers in condemning Kim and supported a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sanctioning Pyongyang. Says a senior U.S. official: "If you
asked experts several years ago, Could you imagine China taking these actions
toward a longtime ally in cooperation with us and Japan? Most people would have
said no."
But nobody in Washington is getting
carried away. Beijing has been helpful on North Korea because it's more
important to China that Pyongyang not provoke a regional nuclear arms race than
it is to deny the U.S. diplomatic support. Contrast such helpfulness with
China's behavior on the dispute over Iran's nuclear ambitions. In December,
China signed a $16 billion contract with Iran to buy natural gas and help
develop some oil fields, and it has consistently joined Russia in refusing to
back the tough sanctions against Tehran sought by the U.S. and Europe. "It's
hard to say China's been helpful on Iran," says a senior U.S. official, and
there is little sense that such an assessment will change any time
soon.
Within its own neighborhood, there
are signs that China's behavior is changing in more constructive ways. China
fought a war with India in 1962 and another with Vietnam in 1979. For years, it
supported communist movements dedicated to undermining governments in nations
such as Indonesia, Singapore and Malaysia. Yet today China's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are nothing but sweetness and light, often at the expense of the U.S.
Absorbed by the arc of crisis spreading from the Middle East, the U.S. is simply
less visible in Southeast Asia than it once was, and China is stepping into the
vacuum.
While American exports to Southeast
Asia have been virtually stagnant for the past five years, Chinese trade with
the region is soaring. In the northern reaches of Thailand and Laos, you can
find whole towns where Mandarin has become the common language and the yuan the
local currency. In Chiang Saen, signs in Chinese read CALL CHINA FOR onLY 12
BAHT A MINUTE. A sign outside the Glory Lotus hotel advertises CLEAN, CHEAP
ROOMs in Chinese. It is not aid from the U.S. but trade with China--carried on
new highways being built from Kunming in Yunnan province to Hanoi, Mandalay and
Bangkok, or along a Mekong River whose channels are full of Chinese goods--that
is transforming much of Southeast Asia.
Nor is China's smiling face
visible only to its south. In a cordial state visit last year, Hu reached out to
India--an old rival with which it still has some disputed borders. The two
countries pledged to double trade by 2010 and agreed to bid jointly for global
oil projects on which they had previously been competing. Hu has also sought to
mend ties with Japan, another longtime rival, with whom China's relations have
deteriorated in recent years. Last October, Hu met the new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in Beijing just days after Abe took office, a visit Hu
called a "turning point" in frosty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which
Premier Wen described as a "window of hope."
WHOSE CENTURY?
So, a China whose influence is
growing but that is trying to ease old antagonisms--what's not to
like?
In one view, nothing at all, as
long as China's rise remains peaceful, with China neither provoking others to
rein in its power nor slipping into outward aggression. And yet as remote as a
confrontation seems today, there are some China watchers who fear a conflict
with the West could still materialize in coming years. They point to two
factors: the modernization of China's defense forces and the risk of war over
Taiwan. The authoritative Military Balance, published annually by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in London, estimates that China's
military spending has increased nearly 300% in the past decade and from 1.08% of
its GDP in 1995 to 1.55% in 2005. (By contrast, the U.S. spends 3.9% of its GDP
on defense, and the U.S. economy is more than five times as big as China's.)
China's most recent defense white paper, published last month, showed a 15% rise
in military spending in the past year. Place such an increase in the context of
Taiwan policy and you can start to feel queasy. The island has been governed
independently since the defeated forces of Chiang Kai-shek retreated there in
1949. Beijing wants to see the island reunited with the mainland one day. The
U.S., although it has a one-China policy and has no formal diplomatic mission in
Taiwan, is committed to defend Taiwan from an unprovoked attack by
China.
In all likelihood, war over Taiwan
is unlikely. After a miserable 200 years, China's prospects now are as bright as
ever, the opportunities of its people improving each year. It would take a
particularly stupid or evil group of leaders to put that glittering prize at
risk in a war. Those in Taiwan who favor independence--including its President
Chen Shui-bian--have singularly failed to win the support of the Bush
Administration. "China," says Huang Jing of the Brookings Institution in
Washington, "is now basically on the same page as the U.S. when it comes to
Taiwan. Neither wants independence for Taiwan. Both want peace and stability."
China's military buildup is best seen as a corollary of changes in Chinese
society. Where Chinese military doctrine was once based on human-wave attacks,
it now stresses the killing power of technology. There's nothing new, or
particularly frightening, about such a transformation; it's what nations do all
the time. If the Sioux hadn't learned how to handle horses and shoot
Winchesters, they wouldn't have wiped out Custer's forces at the Little
Bighorn.
But other aspects of China's rise are real and troubling. China
is a one-party state, not a democracy. Some U.S. policymakers and business
leaders like to say there is something inevitable about political change in
China--that as China gets richer, its population will press for more democratic
freedoms and its ruling Aⓒlite, mindful of the need for change, will grant them.
Could be. But China is becoming richer now, and if there is any sign of
substantial political reform--or any sign that the absence of such reform is
hurting China's economic growth--it is, to put it mildly, hard to
find.
Does China's lack of democracy
necessarily threaten U.S. interests? one answer to that question involves
looking back to the cold war. The Soviet Union was not a democracy, and although
the U.S. contested its power in all sorts of ways, American policymakers were
content to live with the reality of Soviet strength in the hope (correct, as it
turned out) that communism's appeal outside its borders would wither and
Russia's political system would become more open. Is that how the U.S. should
treat a nondemocratic China? In the forthcoming book The China Fantasy, James
Mann, an experienced China watcher now at the Johns Hopkins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warns that living with a more powerful, nondemocratic
Beijing would not be easy for the U.S. In crucial ways, the U.S. has less
leverage over China than it ever had over the Soviet Union. China holds billions
of dollars of U.S. government assets. American consumers have come to rely on
cheap labor in China to provide goods at Wal-Mart's everyday low prices. The
Soviet Union, by contrast, was an economic basket case: it had minimal
foreign-exchange reserves and was desperate for U.S. and European high
technology.
This lack of leverage over Chinese
behavior may make for an uncomfortable future. Mann sees a time when a powerful
China not only remains undemocratic but also sustains unpleasant regimes in
power, as it does today in such nations as Zimbabwe and Burma. Such behavior
could make the world a colder place for freedom. Green, the former National
Security Council staff member, agrees that China "wants to build speed bumps on
the road to political globalization and liberalization" and is "particularly
against any attempt to spread democracy." Sandschneider, the German China
expert, says the Chinese "talk about peace and cooperation and development,
which sounds great to European ears--but underneath is a question of brutal
competition for energy, for resources and for markets."
How can that competition be
managed? And how can the U.S. and its allies convince the Chinese not to support
rogue regimes? The key may be to identify more areas in which China's national
interests align with the West's and where cooperation brings mutual benefits.
China competes aggressively for natural resources. But as David Zweig and Bi
Jianhai of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rgued in Foreign
Affairs in 2005, it would make just as much sense for the U.S. and China--both
gas guzzlers--to pool forces and figure out how to tap renewable sources of
energy and conserve existing supplies. For a start, the U.S. could work to get
China admitted into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and the G-8, where such
topics are debated.
The U.S. can also encourage China's leaders to
recognize that irresponsible policies will diminish China's long-term influence.
As China expands its global reach, it will find itself exposed to all sorts of
pressures--of the sort it has never had to face before--to behave itself.
Already, there are voices in Africa warning China that it is acting just like
the white imperialists of old. In the Zambian city of Kabwe, where the Chinese
own a manganese smelter, the local shops are stocked with Chinese-made clothes
rather than local ones. In the oil-rich delta region of Nigeria, where Chinese
rigs have a reputation for poor safety and employment practices, a militia group
recently warned the Chinese they would be targeted for attack unless they
changed their ways.
There are some glimmers that such
criticism is having an impact in Beijing. The Chinese, says Joshua Kurlantzick
of the China Program at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are
beginning to understand that some of their policies in Africa are turning people
off" and have quietly turned to the U.S. and Britain for help in devising
foreign-aid policies. A former senior U.S. official says Chinese officials have
been closely monitoring the growing international distaste over its support for
the Sudanese government. Congressman Lantos says younger Chinese diplomats "are
embarrassed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s prepared to do any business with
Sudan for oil despite what is happening in Darfur." Slowly, slowly, engagement
with China, debate with its leaders--and the hope that as they see more of the
world, they will understand why so many want to shun dictatorships--may all act
to shade Chinese behavior.
Such engagement will always be
controversial. Like it or not, it involves cozying up to a nation that is not a
democracy--and does not look as if it will become one soon. But China is now so
significant a player in the global economy that the alternative--waiting until
China changes its ways--won't fly. There is still time to hope that China's way
into the world will be a smooth one. Perhaps above anything else, the sheer
scale of China's domestic agenda is likely to act as a brake on its doing
anything dramatically destabilizing abroad.
On the optimistic view, then,
China's rise to global prominence can be managed. It doesn't have to lead to the
sort of horror that accompanied the emerging power of Germany or Japan. Raise a
glass to that, but don't get too comfortable. There need be no wars between
China and the U.S., no catastrophes, no economic competition that gets out of
hand. But in this century the relative power of the U.S. is going to decline,
and that of China is going to rise. That cake was baked long ago. [This article
contains charts and graphs. Please see hardcopy or pdf.]
With reporting by
Hannah Beech / Bangkok, Simon Elegant, Susan Jakes / Beijing, James
Graff / Paris, Megan Lindow / Dondo, Alex Perry / Johannesburg, Bill Powell /
Shanghai, Andrew Purvis / Berlin, Simon Robinson / Kabwe, Elaine Shannon, Mark
Thompson / Washington
번역(조선닷컴 "아빠가 되다" 블로그에서 퍼 옴)
돈도(모잠비크의 한 도시)의 앙골란에 있는 기차역은 몇년간
기차가 보이지 않았다. 창문은 판자로 덧대어졌고, 창백한 분홍색 앞부분은 부서져 없어졌다. 포루투갈 지배자들이 설립했던 커피 무역소는 27년간
지속된 내전으로 말미암아 오래전의 기억이 됐다. 하지만 돈도의 행운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번 달에 마을의 지선을 앙골라의 수도인 루안다항
깊숙이까지 연결하는 공사가 예정돼있다. 중국 건설회사가 공사를 한다. 두명의 중국회사 직원이 철로를 공사할 때 앙골란의 경비원이 그의 느낌을
이렇게 요약했다. “중국인에게 감사합니다, 하느님.” 그런 느낌 또는 비슷한 느낌은 요즘 아프리카에서 자주 들을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중국 투자에 의해 길과 철도가 만들어지고, 섬유 공장이 건설되고, 유전이 개발중이다. 브라질 농장에서도 비슷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브라질에서는 중국의 콩과 쇠고기 수요 덕분에 수출이 활기를 띄고 있다. 타이 북쪽 메콩강 유역 도시인 치앙 센에서도 비슷하다. 중국인 기술자들이
중국산 상품들을 남아시아에 수출할 수 있도록 메콩강 상류의 급류와 장애물을 날려버리기 전까지, 이 지역 주민들은 농사나 밀수를 통해 먹고
살았다. “중국인들이 여기 오기 전에는 우리는 아무 일도 찾을 수 없었어요.” 버마 이민자 출신의 바씨는 보트에서 해바라기씨 가방을 끌어내려
방콕행 트럭에 싣는 작업 도중 담배와 레드불 맥주를 꺼내며 이렇게 말했다. “지금 나는 집에 돈을 보낼 수 있어요.”
당신은 온 세계가 중국으로 달려가고 있다는 걸 알 것이다.
외국에서 흘러들어온 사업가들이 공장과 옷가게와 전시장을 상하이나 선전에 세우고 있다는 것을. 그러나 당신은 중국의 세계 진출에 대해서는 잘 모를
것이다. 외국에 대한 투자와 원자재에 대한 욕구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중국 경제는 앙골라부터 호주까지 이르렀다. 이제 중국은 그
경제력을 정치적 힘으로 전환하고 있다. 국제 무대를 돌아다니며 세계의 차세대 파워가 되고자 움직이고 있다. 과거 중국은 북한 핵 협상 역할이나
중앙아시아의 미래를 만들기 위해 러시아와 동맹을 맺거나, 유럽과 남미에 외교공세를 펴거나, 레바논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에 기여했다. 미국이
이슬람 테러리즘의 공포에 사로잡혀 이라크전의 수렁에서 빠져나오려고 애쓰는 틈을 타 중국은 도전할 준비가 돼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다르푸르
학살 방지에서 이란 제재까지, 중국은 이미 워싱턴의 외교정책의 일부 목표를 잠식했을 지도 모른다. 중국의 국제적 역할은 미국 민주당의 주목을
받았다. 하원 외교 위원회 차기 의장이자 중국 인권 평론가인 톰 랜토스는 인터넷 사용현황에서 티벳정책까지 중국에 대해 모든 것에 대해 조만간
청문회를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그 전략에 대해 훨씬 적극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고, 클린턴행정부에서 국가안보위원회 아시아 위원장을
지낸 미시건 대 케네스 리버탈 교수는 말했다. “과거 어느 때에 비해 지역적일 뿐만 아니라 국제적이다. 우리는 중국의 근본적인 자신감의 수위가
변화하는 바다를 봐왔다.”
눈만 깜빡하면 당신은 많은 중국인이 이야기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최근 200년간 외국에 의한 굴욕과 침략과, 내전과, 혁명과, 말못할 공포를 거친 중국은 운명과의 만남을 준비중이다. 리버탈은 “중국은
스스로 주제넘게 나서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마음 속으로 21세기는 중국의 세기라고 믿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건 대단한 일이다. (리버탈의 말이) 사실일까? 또는, 아직
세기 초이긴 하지만 정말 그렇게 될 것인가? 만약 그렇다면, 언제, 그리고 어떻게 현실이 될 것인가? 이런 발전이 서방세계에 편안할까? 중국의
성장은 세계 시스템에 의해 평화적으로 다뤄질 수 있을까? 아니면 19세기 독일과 1930년대 일본이 그랬듯이 기존 권력을 위협해 전쟁을
일으킬까? 이런 질문들에 대해, 당분간은 아니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것이다. 그러나 중국과 서방의 양쪽 모두에 평화적이고 번영하는 미래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 달려있다.
◇중국이 원하고 두려워 하는 것 세계 인구의 20%,
수많은 영재 기술자들, 많은 군인들, 10% 이상의 지속적인 경제성장 따위의 얘기를 듣고 중국에 매료됐다면, 이것을 기억하라. 중국은 여전히
가난한 나라이고(1인당 GDP는 1700달러로 미국의 4만2000달러와 비교된다), 그 지도자들은 어떻게 지금까지 잠잠했는지 이상할 만큼 많은
문제들과 직면하고 있다. 도시 노동시장은 새로 생기는 일자리보다 20%나 초과한다. 연금제도는 존재하지도 않는다. 또 중국은 도시의 공기 오염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나쁘고 깨끗한 물이 부족할 만큼 환경적인 디스토피아다. 부패는 만성적이고 확대중이다. 시골 노동자들의 시위와 폭동은 매년
수만건씩 발생한다. 지금 중국의 리더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세계 진출이 아니라, 과거 같았으면 대혼란과 폭력을 불러왔을 사회, 경제적
변화를 겪고 있는 사회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같은 내부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더 큰
역할을 맡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2006년 시카고 국제문제협의회와 아시아소사이어티 여론조사에 따르면, 87%의 중국인은 중국이 국제문제에서
더 큰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답변했다. 또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중국의 세계에 대한 영향력이 10년 안에 미국과 맞먹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진타오 주석의 리더십의 가장 놀라운 측면은 내정 불안에도 불구하고, 해외에 대한 관심으로 눈을 돌리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후진타오를 안다는 사람이 가장 놀라는 것은, 후 주석 자신이
중국의 새로운 자신감의 선두에 섰다는 것이다. 64세의 후주석은 유학한 적도 없고, 공산당에 푹 빠진 사람이다. 그는 1960년대 대학 재학시절
공산당원이 된 후, 중국 서부 가난한 지역인 간쑤성의 청년공산당 모임 지도자를 거쳐 귀저우와 티벳에서 지역당 책임자가 됐다. 외국인들 앞에서
공식적으로는 매우 딱딱하지만, 그는 중국을 대표하는 역동적인 대사 역할을 해왔다. 이런 패턴은 후 주석이 2004년 남미에서 2주를 보내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칠레, 쿠바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한 뒤 형성됐다. 지난해 중국 원자바오 총리가 15개국을 순방하는 동안 후
주석은 미국과 러시아, 사우디 아라비아, 모로코, 나이지리아와 케냐를 방문했다. 지난해 연말 3주 동안, 후 주석은 베이징에서 열린 아프리카
48개국 지도자 모임을 주최하고, 아태경제협력회의 참석차 베트남으로 날아간 뒤, 하룻동안 라오스에 있다가 인도와 파키스탄에 6일간 머물렀다.
국내에 머물길 익숙한 사람에게 이것은 대단한 스케줄이다. “아프리카를 보라. 중미를 보라, 아시아 일부를 보라. 중국은 지금 글로벌 게임을 하고
있다” 독일 외교관계 위원회 의장인 에버하트 산트슈나이더는 말했다.
후 주석이 앞장서는 세계를 향한 발걸음이 계속되는 가운데,
중국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 것인가? 중국은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두려워하는가? 첫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직설적이다. 혼자가 되는 것이다.
중국은 내정 문제에 대한 간섭을 참지 않는다. 그리고 내정간섭의 정의에 관해 의문이 없다. 예를 들어, 티벳 문제는 내정 문제다. 달라이 라마는
정신적 지도자가 아니라, 중국을 쪼개려고 하는 분리주의자일 뿐이다. 대만에 관해서, 중국은 앞으로 어떻게 이 문제가 해결될 것인지에 대한 현재의
모든 종류의 불확실성을 참을 준비가 돼있다. 그러나 하나의 중국 정책이 핵심 포인트는 아니다. 당신이 선을 넘으면, 그것에 대해 알게 될
것이다.
내정간섭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방어적 자세는 필연적이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대국의 다른 나라 내정에 대한 간섭을 몹시 싫어했다. 자크 시라크 대통령의 한 보좌관은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이렇게 얘기했다. “그들은 그런 식의 내정간섭을 허용할 수 없다고 느꼈다.” 그러나 이같은 외국 간섭에 대한 공포의 조짐은 이라크전보다 더
오래 전에 명백하게 나타났다. 나는 1999년 코소보 전쟁 기간 동안 베이징을 방문했다. 그리고 그해 최고위 관료들은 분노케 한 것은 악명 높은
베오그라드 중국 대사관 오폭 사건 뿐만이 아니라, 유고슬라비아를 재정비하려는 나토의 생각이었다. 결과가 좋았다고?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중국의 불개입 태도는 내정 문제에 대한 타국의 조사를 원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베이징에서 아프리카 지도자들을 만났을 때, 후 주석은 2009년까지 원조를 2배로 늘리고, 1만5000명의 전문가를 양성하며
4000명의 학성에게 장학금을 주고, 보건과 농업 분야를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5년 외교관계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원조와 투자가
아프리카인들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중국은 서방과 달리 정부체제나 재정의 투명성 등의 조건으로 내걸지 않기 때문이다. 2004년에 IMF가 앙골라에
지원키로 했던 차관이 부패혐의로 유보됐을 때, 중국은 20억달러를 신용 대출했다. 베이징은 대량 인권탄압으로 비난받는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대통령에게도 무기와 돈을 보냈다.
가장 악명 높은 것은, 중국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이용, 수단 다르푸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종 학살 중지 압력을 지속적으로 방해한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 소유의 회사는 수단 남부의 석유 채굴권
4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석유를 보호하기 위해 4000명의 중국군인이 파견돼있다.(반대로, 작년 여름 이스라엘이 레바논 유엔기지를
폭격해 중국군인 1명이 사망한 일로 중국이 난리를 쳤을 때, 전세계에 걸쳐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에 참여한 중국군은 1400명에 불과했다)
“중국이 아프리카 민주발전에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까?”라고 남아프리카 국제문제기구 피터 드레이퍼는 물었다. “대체로 아니죠.” 휴먼 라이츠
와치는 좀 더 구체적이다. 중국이 베이징 회담 기간 주장한 중국의 아프리카 정책은 아프리카 최악의 인권유린자들을 지지하겠다는
것이었다.
중국은 불량정권 자체를 위해 그들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다.
중국의 핵심 목적은 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해 자국의 경제 성장을 유지함으로써 내정 불안을 감추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중국은 수단이나
버마처럼 국제적으로 버림받았지만 탄화수소 매장량이 풍부한 나라부터, 호주나 브라질 같은 민주주의 자원부국에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 이건 특별히
놀랄 일이 아니다. 자원이 부족한 나라는 다 이렇게 한다(아프리카에서의 중국의 활동을 비난하는 서방세계는 과거 자신들의 행동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은 전에는 이렇게 많은 양의 자원이 필요없었고, 그래서 지도자들은 독재자의 친구인것처럼 보이지 않으면서 그들과 잘 지내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없었다. 이제는 배워야 한다.
◇중국과 일하기 지구촌에서 더 큰 위치를 차지할수록
베이징이 국제 외교의 기술을 배워야 한다는 압력도 커지고 있다. 최근까지, 중국의 외교정책은 소름끼치는 비난과 헤게모니적 제국주의로 구성돼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은 30년전에 매우 많은 것을 제로섬의 관점에서 봤던 나라”라고 전 국무부 부장관 로버트 졸릭이 말했다. “미국과
서구에 좋은 것은 중국에 나쁜 것이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 그 시절은 갔다. 중국 최고 외교 정책 학자 중 하나인 베이징대학 왕지시는
2006년의 최고의 발전 중 하나는 외교 문제에 관한 중요한 회의 후에 고위층들이 예전에 중국 외교의 용어의 표준이었던 낡은 용어들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은 베이징이 더 나아지기를 바란다. 2005년 연설에서, 졸릭은 중국이 국제문제에서 책임있는 제3자가
돼야 한다고 권유했다. “중국의 국가적 관심은 협소해져서는 안되고, 저작권보호에서 핵확산방지까지, 미래 국제 시스템을 조율하는 데 우리와 함께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졸릭은 “다른 사람이 그런 용어를 썼는지는 모르지만, 긴장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건 확실하다”고
말했다.
이는 중국의 행동이 뒤늦게 바뀌었음을 암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정말 그럴까? 한 미국의 정책입안자는 “책임있는 제3자 역할은 중국의 미래 비전으로서 중요하다”고 말한다. 별들이 정렬했을 때, 즉 중국의
자국이익에 대한 관점이 미국이나 다른 열강과 부합했을 때, 이는 매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 예가 중국의 오랜 동맹이자 중국이 미국에 맞서
함께 싸웠던 북한이다. 김정일이 1990년대 핵을 개발했을 때, 중국은 북한의 고삐를 죄는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미국을 정떨어지게
하거나, 이전의 동지를 놀래주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후 주석은 개인적으로 선택지 만드는 걸 돕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미국 국방안보협의회 아시아문제 상임의장 마이클 그린을 만났을 때 김정일을 신랄하게 비판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2005년 12월 미국 방문단에게 김정일의 의도에 대한 비관적인 생각을 오랫동안 지적했다. 북한이 지난 가을 핵실험을 했을 때, 중국은 미국과,
다른 열강에 합류해 김정일을 비난하고 유엔 안보리의 평양제재를 지원했다. 한 미국 관리는 이렇게 말했다. “만일 당신이 몇년 전 전문가들에게
‘중국이 우리와 일본과 협조해 오랜 동맹에게 이런 행동을 취할 수 있을 것 같습니까’라고 물었다면 대부분은 ‘노’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그러나 워싱턴의 누구도 신나지는 않는. 중국이 북한에
협조적이었던 이유는, 북한이 지역적 핵무장 경쟁을 촉발하지 않는 것이 미국의 외교적 지원을 거부하는 것보다 중국에게 더 중요했기 때문이었다.
이같은 태도는 이란의 핵 야망 논쟁에 대한 중국의 행동과는 대조적이다. 12월에 중국은 이란에서 160억달러 어치의 천연가스와 유전 개발 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중국은 러시아와 더불어 미국과 유럽이 추구하는 대 이란 강력 제재를 거부하고 있다. 한 미국관리는 “중국이 이란에 우호적이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가 조만간 바뀔 것이라고 보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중국의 행동이 좀 더 건설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조짐이 보인다. 중국은 1962년에 인도와, 1979년에 베트남과 전쟁을 벌였다. 몇년동안 중국은 몇년 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서 정부를 전복하려는 공산주의 움직임을 지원했다. 그러나 요즘 중국의 이웃들과의 관계는 달콤하고 밝기만 하다. 중동에서 확산중인
위기에 미국이 몰두해 있는 틈을 타, 미국은 동남아시아에서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는 반면, 중국이 그 진공을 메우고 있다.
미국의 대 동남아 수출은 최근 5년간 정체였던 데 반해, 중국의
무역은 치솟고 있다. 태국과 라오스 북부 지역에서 마을 전체가 만다린어를 공용어로 쓰거나 위안화가 지역 화폐로 쓰이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치앙센에는 중국어로 “중국에 통화하는데 1분에 12바트”라는 간판이 서있다. 글로리로터스 호텔 바깥에는 중국어로 “깨끗하고 싼 방”이라는 간판이
붙어잇다. 동남아를 변화시키는 것은 미국의 원조가 아니라 중국과의 교역이다. 이 교역은 쿤밍에서 하노이, 만달레이, 방콕으로 뚫린 새 고속도로
또는 중국상품으로 가득찬 메콩강을 따라 이뤄지고 있다.
중국의 미소는 남쪽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난해
후진타오는 오랜 라이벌이자 지금도 국경문제로 논쟁중인 인도를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방문했다. 두 나라는 2010년까지 무역을 두배로 늘리고 과거
그들이 다퉜던 세계 석유 계획에 대해 공동 선언하기로 합의했다. 후진타오는 또한 오랜 라이벌이나 최근 몇년간 관계가 악화됐던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중이다. 지난10월, 후진타오는 아베 신조 총리가 취임한 지 며칠 뒤 그를 베이징에서 만났다. 이 회담을 후진타오는 양국의 싸늘한
관계의 “터닝포인트”라고 불렀고, 원자바오는 “희망의 창”이라고 묘사했다.
◇누구의 세기인가? 자, 낡은 적개심을 누그러뜨리는 부분은
그만하고, 영향력이 점점 커지는 중국에 대해 다시 얘기하자면, 어떻게 될까? 한 가지 관점은, 타국에 중국의 영향력 안으로 편입되라고
강요하지도 않고, 호전적으로 해외로 진출하지 않는 상태로 중국의 성장이 평화적으로 유지되는 한,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아직까지
대치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아보이지만, 서방과의 갈등이 조만간 구체화하리라는 두려움을 갖고 있는 이들도 있다. 그들은 두 가지 요소를
지적한다. 중국 군대의 근대화와 대만 침공 위험성. 런던 국제전략기구가 매년 발행하는 권위지 ‘군사균형’은 중국의 국방비 지출이 지난 10년간
300% 증가하고,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08%에서 2005년 1.55%로 증가했다고 추정한다. (미국은 GDP의 3.9%를 쓰고 미국
경제 규모는 중국보다 5배 크다) 지난달 출간된 중국의 최근 국방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방비는 15% 증가햇다. 이같은 증가를 대만정책의
맥락에서 읽는다면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대만은 1949년 본통에서 퇴각한 장개석 군대가 들어온 뒤 독립적으로 통치돼왔다. 베이징은 언젠가는
섬이 재통일 될 것을 원한다. 미국은 하나의 중국 정책을 고수하고, 대만과 공식 외교관계를 갖고 있지 않음에도, 중국의 부당한 공격으로부터
대만을 보호할 뜻을 고수하고 있다. 모든 가능성을 고려해볼 때, 대만 전쟁은 가능성이 낮다. 비참한 200년을 보낸 뒤, 중국의 번영은
어느 때보다 빛나고, 국민들의 기회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런 빛나는 과실을 전쟁의 위험에 몰아넣는 것은 정말 멍청이거나 사악한 지도자밖에
없을 것이다. 대만에서 독립을 좋아하는 사람들-천수이벤 총통을 비롯해-은 독자적으로 부시 정부의 지원을 얻는 데 실패했다. 브루킹스연구소 황징은
“중국은 대만에 관한한 기본적으로 미국과 같은 입장이다. 양국 모두 대만의 독립을 원하지 않지만, 평화와 안정을 원한다”고 말했다. 중국 군사
발전은 중국사회 변화의 필연적인 결과로 보인다. 중국 군대의 기본 전술은 한 때 인해전술이었지만, 지금은 기술력에 의한 살상력을 강조한다.
이같은 변화에 새로운 것이나, 특별히 두려워할 것은 없다. 이건 모든 나라가 항상 하는 것이다. 시우족이 말과 엽총 다루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다면, 그들은 리틀 빅혼에서 커스터 부대를 몰아내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성장의 한 측면은 현실적이고 골치아픈
것이다. 중국은 민주주의가 아닌 일당독재 국가다. 일부 미국 정책입안자들과 사업가들은 중국의 정치변화는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말한다. 중국이
부유해질 수록, 대중의 민주적 자유에 대한 욕구, 변화에 대한 열망에 대한 압력을 높이는 게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럴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은
부유해지고 있고, 근본적인 정치 개혁의 신호가 없다면, 혹은 개혁이 없다는 신호가 있다면, 중국의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다. 찾기
어렵다.
중국의 민주주의 부족이 미국의 이익을 위협하는가? 냉전시대를
되돌아보면 대답 하나를 찾을 수 있다. 소련은 민주주의국가가 아니었다. 그리고 모든 방면에서 미국과 경쟁했지만, 미국의 정책입안자들은 공산주의의
대외 정책이 힘을 잃고 러시아의 정치시스템이 좀더 개방적이 되리라는 기대를 걸고 그럭저럭 만족하게 지냈다. 이게 중국이 비민주적인 중국을 다루는
방법이 돼야할까? 존스 홉킨스대 제임스 만이 곧 출간하는 ‘차이나 판타지’는 더 강력하고 비민주적인 중국과 공생하는 것은 미국에게 쉽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결정적인 길목에서 미국은 소련에 대해 가졌던 것만큼의 영향력을 중국에 갖기 어렵다. 중국은 수십억 달러의 미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인 소비자들은 매일 월마트에서 파는 염가의 중국제품에 의존하고 있다. 반면 소련은 경제적인 바구니였다. 소련은 최소한의 달러만
보유했고, 미국과 유럽의 하이테크에 필사적이었다.
중국의 행동에 대한 이같은 지렛대 부족은 불편한 미래를 만들
것이다. 만은 중국이 비민주적일 뿐 아니라, 오늘날 짐바브웨나 버마처럼 불쾌한 권력을 유지시켜준다고 본다. 그런 행동은 세계의 자유를 위축시킬
것이다. 전 국가안보리 멤버인 그린은 중국이 정치적 국제화와 자유화로 가는 속도를 늦추고 싶어하며, 특히 민주주의 확산에 반대한다는 데
동의한다. 독일의 중국 전문가 산슈나이더는 “중국인들이 말하는 평화와 협력, 개발은 유럽인들의 귀에 멋지게 들린다. 그러나 이면에는 에너지와
자원, 시장을 향한 잔인한 경쟁이라는 문제가 있다”고 말한다.
이런 경쟁은 어떻게 다뤄져야 하나? 그리고 미국과 동맹국들은
중국에게 깡패국가를 지원하지 말라고 어떻게 설득해야 하나? 그 열쇠는 중국과 서방의 국가적 이익이 결합돼 협력이 상호 이익이 되는 분야를 찾는
데 있을 것이다. 그러나 홍콩 과학기술대 데이빗 즈웨익과 비 지안하이는 2005년 포린 어페어지에서, 엄청난 에너지 소비국인 미국과 중국이 힘을
모아 어떻게 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현존 자원을 보호할 지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첫 단계로, 미국은 이런 문제가 논의되는 국제에너지기구와
G8에 중국이 가입하도록 노력할 수 있다.
미국은 또 중국의 리더가 비합리적인 정책이 장기적으로 중국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줘야 한다.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할 수록, 중국은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모든 종류의 압력에
노출된다는 사실을 알게될 것이다. 이미 아프리카에서 중국이 옛 제국주의자처럼 행동한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중국이 망간 제철소를 소유하고 있는
잠비아의 카브웨시의 상점은, 이 지역 제품이 아니라 중국산으로 가득차있다. 원유가 풍부한 나이지리아 델타 지역에서 중국은 형편없는 안전과 고용자
교육으로 인해 악명을 얻고 있으며, 무장단체가 최근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공격의 목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비판이 베이징에게 약간은 영향이 있다. 차이나 프로그램
조슈아 컬란칙은 “중국인들이 아프리카에서의 일부 정책이 현지인들을 정떨어지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시작했으며, 외국 원조 정책을 궁리하기
위해 조용히 미국과 영국에 도움을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 미국 관리는 “중국 관리들이 수단 정부에 대한 중국의 지원에 대한 국제적인 혐오감
증가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란토스 의원은 “젊은 중국 외교관들은 중국 정부가 다르푸르에서 일어나는 사건에도 불구하고 기름을 위해
수단과 어떤 사업이라도 할 준비가 됐다는 사실을 부끄러워하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천천히, 천천히, 중국과 약속을 맺고, 지도자와 논쟁하라.
그러면 그들이 세계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되고, 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행동에 그늘을 늘어뜨리는 독재를 멀리하는지 이해하게 되리라는
희망이 있다.
그런 협력은 항상 논쟁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좋든 좋지않든,
중국은 민주주의가 아니고, 곧 될 전망도 없는 국가들과 가깝게 지내왔다. 그러나 중국은 이제 국제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어서,
중국이 바뀔 때가지 기다릴 수 없다. 중국의 방식이 좀더 부드러워질 것이라는 희망을 가질 시간은 충분하다. 아마도 어떤 것보다, 중국의 속이
빤한 국내 아젠다는 중국이 해외를 급격히 불안정케 하는 데 브레이크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므로 낙관적인 시각에서, 국제 무대에서 중국의 부상은 관리될
수 있다. 독일이나 일본 같은 공포를 답습할 필요가 없다. 다만 너무 안심하지는 말라. 중국과 미국 사이에 전쟁, 재앙, 한계를 벗어난 경제
경쟁 등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이번 세기에 미국의 상대적 파워는 감소하고, 중국의 파워는 커질 것이다. 그 빵은 오랫동안 구워져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