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 韓.日 關係

'日本 天皇' - 어떻게 호칭해야 하나?

이강기 2015. 9. 23. 22:43
 
 
日本은 한국 大統領을 中統領이라 부르지 않는다

 

天皇을 日王으로 격하시킨 한국 언론은 北傀 김정은을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으로 표기한다
 

金泌材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3.11 일본 대지진 당시 피해지역을 찾아 무릎을 꿇고 주민들을 위로하고 있는 일본 天皇의 모습. 일본의 天皇은 헌법상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다. 그렇기에 天皇은 군림하지 않으며 일본 국민 앞에서 무릎을 꿇는다.
  

左傾化된 한국 언론은 민족의 반역자이자 독재자인 김정일에게는 '국방위원장'이란 칭호를, 그의 아들 김정은에게는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란 호칭을 꼬박꼬박 붙여준다. 그러나 가장 가까운 友邦국가의 상징인 일본 天皇에 대해서는 늘 日王으로 표기를 격하시켜 쓰고 있다.
  
雪上加霜으로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歷史문제가 터지면 평상시에는 理念문제로 대립을 하던 從北-左派단체와 일부 保守단체들이 언제 그랬냐는 듯이 한 몸이 되어 反日시위를 한다. 일본을 사이에 두고 남북한이 소위 民族共助를 하는 것인데 이는 북한이 바라는 바이다. 

天皇은 일본 황실의 대표로 일본 국민의 總意에 기한 일본의 상징이자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일정 부분의 외교 관계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지위에 있다. 지위로서 天皇의 기능에 대해서는 일본 憲法 ‘제1조’부터 ‘제7조’에 명시되어 있다. 天皇은 “일본국의 상징이고,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규정되어, 내각의 조언과 승인에 의해, 법률이나 조약의 공포, 국회가 지명한 내각총리대신의 임명, 국회의 소집 등의 국사행위로 제한된 권한을 가진다.

天皇의 호칭 문제가 본격화 된 것은 1980년대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과 지문날인 강요로 反日감정이 극에 달하면서 본격화됐다. 이 과정에서 大衆영합적인 국내 신문과 방송들이 대통령은 꼬박꼬박 天皇이라 부르는데, 방송은 꼬박꼬박 日王으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기사본문 이미지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11월14일 일본의 아키히토 천황을 만난 자리에서 90도로 허리를 굽혀 악수를 나누었다. 미국의 국익과 자신의 對日정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실리적 제스쳐였다.


“天皇이라는 용어는 일본의 고유명사이므로 그대로 불러준다”는 것이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이다(2008년 4월26일자 인터넷 <서울신문> 보도 인용). 일본에 대해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고 했던 김영삼 前 대통령은 1994년 방일 당시 일본 황실이 주최한 만찬에서 天皇이란 말도 ‘天皇陛下’(천황폐하)라는 극존칭을 수차례에 걸쳐 사용했다. 당시 아키히토(明仁) 天皇이 김영삼 대통령에게 ‘대통령 閣下(각하)’라는 존칭을 사용한 것에 대한 답례였다. 

左派 성향의 김대중 前 대통령 조차 1998년 첫 訪日을 한 달 앞두고 일본의 王을 ‘天皇’으로 부른다고 선언했다. 당시 찬반이 팽팽했지만 김대중 대통령은 天皇이란 호칭을 밀어붙였다. 후임인 노무현 前 대통령도 ‘天皇’을 언급한 적이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5년 1월13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가진 신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韓日 관계를 묻는 한 기자의 질문에 아래와 같이 답변했었다.  

《기자: 일본에서는 ‘겨울연가’를 비롯해 한류가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다. 韓日관계를 한단계 올리기 위해 대통령의 임기 중에 일본 天皇 방한 문제를 추진할 생각은 없는지. 올해는 韓日 국교 정상화 40주년 우정의 해다. 天皇의 방한 전단계 의미로 皇太子의 방한을 추진할 생각은 없나.

노무현 대통령: 일본에서는 天皇이라 부르지요. 이것이 세계적으로 보편적으로 불리워지는 이름인지 미처 확인을 못했다. 내가 어떤 용어를 써야할지 일본 王이라 써야하나 天皇이라 써야하나 미처 준비 못했다. 양해해 달라. 일본 天皇의 방한에 관해서는 우리정부 입장은 이미 초청 상태일 것이다. 또 언제나 환영한다는 입장 그대로다. 해결해야 할 것은 해결해야 되지만 몇 가지 문제가 있다고 해서 일본 天皇의 방한 자체를 막아버린다는 것은 합리적인 처리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방한은 방한이고 처리 할 문제는 처리 할 문제대로 병행해 나가겠다. 언제든지 방한하신다면 최고의 예우를 다해서 환영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

기사본문 이미지
英美권 국가들은 모두 천황의 표기를 황제를 뜻하는 Emperor로 통일하고 있다/美시사 주간지 'TIME'


이명박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李대통령은 2009년 9월15일 <연합뉴스>와 <교도통신> 공동인터뷰에서 아키히토 天皇을 지칭하며 “日本 天皇”이라고 호칭했었다. 구체적으로 李대통령은 당시 일본 교도통신 이시카와 사토시 사장과 인터뷰를 갖던 중 天皇의 방한 문제를 언급하며 “日本 天皇이 한국을 방문하는 것은 아주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보고, 한국을 방문하는 자체도 중요하지만 어떤 모습으로 방문하느냐, 이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당시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도 “日本 天皇”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내년에 日本 天皇 방한이 이뤄지면 과거사에 종지부를 찍고 미래를 향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었다.

당시 대통령의 ‘天皇’ 표현으로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자 청와대 측은 “1998년 10월 ‘天皇’ 호칭에 대한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밝힌 이후 계속 사용해 온 상황에서 다시 ‘日王’, ‘日皇’ 등으로 호칭을 회귀할 경우 호칭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재연돼 한일 우호 협력관계에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청와대는 또 “국제외교상으로도 상대국 호칭을 불러주는 것이 관례”라며 “漢字 사용국가인 중국과 대만에서도 일본 天皇의 공식 호칭으로 ‘天皇’을 사용하고 있고, 영국-프랑스-독일-러시아-필리핀 등 영어권 국가에서는 ‘皇帝’라는 뜻의 ‘Emperor’를 쓰고 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天皇의 호칭을 태국 국왕(King of Thailand), 영국 여왕(Queen of the United Kingdom)처럼 일본 국왕(King of Japan)으로 하자거나, 天皇의 일본 발음인 ‘덴노’로 부르자는 움직임이 있으나 이는 적절치 않은 주장이다.

天皇을 ‘日王’ 또는 ‘덴노’라고 부른다 해서 대한민국의 國格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반대로 天皇으로 표기한다고 해서 굴욕적 외교가 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天皇을 日王으로 표기하는 것은 단선적 사고방식이며, 韓日관계의 본질과도 거리가 멀다.

일본 전문가인 김영작 국민대 명예교수는 최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한국에 대해) 문제 삼는 것은 ‘日王’ 호칭”이라며 “국제적 용어로는 ‘天皇(덴노)’인데, 우리만 日王이라고 부른다. 저희(일본)가 ‘天皇’으로 불러달라고 하면 그렇게 불러줘도 나는 상관없다고 본다. 민족적 감정에서 반론이 있겠지만, 중국에서는 ‘日皇(일황)’으로 쓴다”고 지적했다.

김필재 spooner1@hanmail.net

  

기사본문 이미지
세계 각국 정상들에 대한 영여 표기 및 호칭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