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ds.joinsmsn.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208/31/htm_201208312143030103011.jpg)
![](http://pds.joinsmsn.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208/31/htm_201208312144030103011.jpg)
1931년 11월 29일, 서른다섯의 나혜석은 일본인 지인에게 이 같은 내용의 편지를 보낸다. 일본 제국미술대전에 입선한 ‘정원(庭園)’을 팔기 위해서였다. 공무원 월급이 50원이 채 안 되던 때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인 정월(晶月) 나혜석(1896∼1948)의 친필 편지·엽서 6통과 관련 사진이 발굴됐다. 그림이나 책에 서명한 외에 그의 육필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1927∼34년 일본의 실업가로 조선 여학생들을 후원 했던 야나기하라 기쓰베 부부에게 보낸 일본어 서한이다. 일본 구마모토대 강사 우라카와 도쿠에(여성학)가 오사카 모모야마학원에서 발견한 것을 초당대 서정자(국문학) 명예교수가 입수했다. 서 교수는 이 자료를 9월 1일 수원화성박물관에서 발족하는 나혜석학회 창립 총회에서 발표한다.
![](http://pds.joinsmsn.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208/31/htm_201208312144930103011.jpg)
전통적 여성관에 정면 도전했던 그는 1931년 이혼한 뒤 점차 사회에서 외면받았다. 52세 때 서울의 한 무연고자 병실에서 신분을 함구한 채 불행한 삶을 마감했다.
그림을 팔려는 편지를 쓴 건 이혼한 해 말이었다. “ 과도기에 태어나서 예술을 위해서 살려고 했으나 시어머니, 남편의 몰이해 때문에 당분간 별거하기로 했습니다. 이것은 다 저의 부덕의 소치라고 생각합니다”라는 사정 설명으로 편지를 시작했다.
나혜석의 영락이 시작된 이 시기는, 그의 예술 인생의 절정이기도 했다. 제국미술대전 입선작이 도쿄를 거쳐 교토로 순회전을 다니던 때였다. 나혜석은 야나기하라 부부에게 바로 이 그림을 팔려고 시도한다.
“‘정원’은 파리 체재 중에 그린 것이어서 자신 있는 회심작입니다”라고 자부심을 드러내면서도 “ 만약 어르신 댁이 안 되면 따로 사들여 주실 분을 소개해 주시지 않겠습니까”라고 간청한다. 현재 ‘정원’의 소재는 알 수 없다. 전람회 도록의 흑백사진으로만 그림의 완성도를 짐작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