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전직 선장
한데 영화 주인공이 추가돼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로 해외 송출 선원들이다. 이분들이 오대양에 흘린 땀과 눈물이 태평양만큼이라고 과장하고 싶다. 1967년 송출 선원 2000여 명이 외화 300만 달러를 번 것을 시작으로 1978년 1만7000여 명이 1억 달러, 1988년 4만여 명이 5억 달러, 그리고 정점일 때인 1996년 5만여 명이 5억40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외국 선주들의 배에 올라 계약 기간 1년 동안 일하는 이들을 송출 선원이라고 불렀다. 선원들의 해외 송출은 1970년대부터 활성화됐다. 송출 선원들은 달러를 고국에 벌어준다는 자부심으로 사기가 높았지만 선상 생활은 고됐다. 근무 시작 10개월은 돼야 휴가를 얻을 자격이 주어졌다. 계약 기간 중 선박이 한국 항구에 기항하면 집에 가서 가족들을 만날 수 있지만, 외국 선박이다 보니 그런 경우는 드물었다. 그래서 적어도 10개월 동안 가족들을 만날 수 없다는 게 어려운 점이었다.
일본이라도 기항하게 되면 100엔짜리 동전을 전화기에 넣고 그리운 가족과 국제전화를 할 수 있는 것만도 기쁨이었다. “순이야 잘 있니?” 항해 중 영어로 ‘HANJIN’ ‘HYUNDAI’ ‘PAN OCEAN’과 같은 국적선사의 선박을 만나면 눈물이 쏟아졌다.
항구에 기항하면 가족과 친구들 선물 준비하기에 바빴다. 그 시절 미국에서는 초이스 커피, 중국에서는 우황청심환과 편자환 같은 약제, 일본에서는 카세트 플레이어 등 전자제품이 인기 품목이었다. 선박에서 조니 워커, 버드와이저 같은 국내서 보기 드문 주류를 3분의 1 가격에 마시는 것으로 시름을 달랬다. 1985년경 VHS 비디오가 나와 방송 드라마, 영화 테이프 등을 구입해 항해 중 감상하면서 시간을 보내게 됐다. 월간동아와 같은 시사 잡지는 선장과 기관장 등 고급 사관들에게 읽을거리와 대화 거리를 제공해줬다.
경기가 좋던 시절 내가 승선한 일본 산코 라인에서는 1년에서 하루라도 넘겨 승선하면 휴가비를 2배로 주는 제도가 있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통상 여러 항구를 기항하므로 1년 하고 하루가 넘도록 하선(下船)일자를 만들어주는 배려를 선장이나 회사에서 해주었다. 휴가비도 상당한 금액이었기 때문에 이를 2배로 받는다는 것은 큰 혜택이었다. 선장들은 1년을 승선하면 서울 은마아파트 66m²(약 20평) 한 채를 살 수 있다고 말할 정도로 보수가 좋았다.
1990년대부터 국적 선사들이 성장하면서 송출 선원들은 국내 대형 선사로 자리를 옮겼다. 2018년 현재 송출 선원은 약 3000명으로 크게 줄었다. 해외 취업 선원직 자체의 매력이 떨어진 탓이기도 하다. 이들이 달러가 귀할 때 1년간 5억 달러에 해당하는 외화를 벌어주어 경제 발전에 기여한 점, 연간 5만 명에 해당하는 일자리를 마련한 점, 체득한 선진 해운 경영기법을 접목시킴으로써 우리 해운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점은 높이 평가해야 한다.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전직 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