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 韓.日 關係

日本人이 본 韓國人의 反日感情(3) - 批判받는 日本 歷史교과서

이강기 2015. 9. 11. 11:13
日本人이 본 韓國人의 反日感情(3) - 批判받는 日本 歷史교과서    
 
日本 歷史敎科書와 日本 政治人의 妄言에 촉각을 곤두세워야하는 '悲哀'

일본의 '역사교과서 파동' 과 '일본 정치인들의 妄言'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마치 일본이 한국이나 중국을 "용용 죽겠지"하고 약을 살살 올려가며 '가지고 논 것' 같은 생각이 들 정도다. 잊을 만 하면 불거져 나오고 얼굴을 붉히며 항의하면 사과 몇 마디하며 쑥 들어가고, 이젠 안 그러겠지 하고 마음놓고 있으면, "심심하지 않냐? 약 좀 나 볼래?" 하듯이 아픈 데를 콕콕 찌르고, 정말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면 다시는 안 그러겠다고 싹싹 빌고... 또 그러고는 사과하고, .... 또 그러고는 사과하고..... 가히 '파동'과 '망언'의 시리즈라고 해야할지, 연속극이라고 해야할지 모를 정도다.

왜 이런 현상이 계속 일어나고 있을까? 아니 한.일간에 왜 이런 구도가 진작부터 생겨났을까?  일본이 저네들 교과서에 무어라고 기록하든, 과거사에 대해 무어라고 떠들든, "못난 놈들, 웃기고 자빠졌네!" 하며 아예 싹 무시해버릴 수 있는 세상은 왜 안 오는 것일까? 가령 일본이 전쟁으로 인한 파괴로부터 세계 제2위의 경제대국으로 재기.부흥하지 못하고 동남아 일부 국가들처럼 3류 국가에 머물러 있었다면......, 그래도 과연 그런 행태를 보였을까? 또 설사 그렇게 나왔다 하더라도 우리들의 반응이 지금과 같았을까?   

파동 및 망언에 대해 우리 쪽의 강력한 항의로 얻어내는 謝過나 陳謝가 외교적 레토릭에 불과하다는 것은 한.일간 역사에 대해 웬만한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다 아는 사실이다. 사과하는 쪽도 마음속에서 울어 나 하는 것이 아니고, 받는 쪽도 그걸 뻔히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고 짐짓 받아들이고 하는 짓을 정말로 지겹도록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왜 우리는 우리와 관련된 것에 대한 그들 일본인들의 일거수 일투족에 이토록 촉각을 곤두세워야만 할까? 잔잔하게 스며드는 비애를 느끼며 이 章을 번역했다. 이 비애는 우리들이 저네들보다 훨씬 '잘난 사람들'이 되었을 때야 없어질 것이다.
<><><><>

제 3장 批判받는 日本의 歷史 敎科書

<> 교과서 문제란 무엇인가?

  1982년 6월 25일, 그 이듬해부터 사용될 교과서에 대한 일본 文部省의 검정이 끝났다. 아사히신문은 6월 26일, [文部省, 高校 社會敎科書 중심으로 檢定强化, '侵略' 표현 회석 되다.]로 크게 보도했으며, 한국의 동아일보는 6월 26일, [日本, 교과서 檢定强化, 古代의 天皇에 敬語, 侵略이란 용어를 억제]로 간단하게 보도했을 뿐이었다.
  약 2주 후인 7월 8일에 동아일보는 사설, [日本의 改編 敎科書를 보며]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일본교육당국이 어떠한 내용의 교과서를 만들어 어떻게 가르치느냐하는 것은 우리들이 관여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그 교과서에서 과거 한반도에 대한 침략과 식민지통치를 정당한 것으로 미화한다면, 과거 日帝 虐政下에서 많은 고통을 겪어왔던 우리들로서는 이에 대해 침묵을 지킬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도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교과서 문제가 단번에 외교문제로 까지 발전했던 것은, 7월 20일에 中國共産黨 機關紙인 人民日報가 일본의 교과서를 비판하고, 이에 대해 오까와(小川平二) 文部相이 [내정문제다.]고 발언하고, 이어서 마쯔노(松野幸泰) 국토청장관이 [내정간섭이다.]고 발언하면서부터의 일이다. 동아일보는 21일에는 머릿기사로 [高校敎科書 침략미화, 일본에서도 外交關係 惡化를 우려]라고 보도하고, 22일에는 [政府, 일본교과서에 대해 시정요구하기로], 23일에는 ['敎科書 歪曲意圖는 없었다' 일본 緊急對策會議], 24일에는 [日本閣僚의 妄言에 각계 분노]라고 보도했다. 두 大臣의 발언은 일본 문부성 및 정부가 지금도 여전히 과거의 조선식민지지배나 중국침략에 대해 반성하고 있지 않은 것을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군국주의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26일자 동아일보는 1면, 2면, 3면, 9면에서 교과서문제를 다루었다. 이 즈음부터 동아일보를 위시하여 한국 신문들은 연일, 많은 날은 전 지면의 3분의 1 정도를 할애하여 일본 교과서에 대해 보도하고 비판했다. 그러한 기사 중 하나에서 한국 사학자인 姜萬吉은 다음과 같이 토로하고 있다.

[만약 역사교육에서 침략주의의 미화 또는 합리화 경향이 자민당정권의 군비강화 내지 개헌의 의도와 그 궤를 같이한다면, 역사교육개편의 목적이 또 한번 호전적인 국민들을 만들어 가는 길이 될 것이다. 교과서 문제는 우리들이 무엇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문제이며, 이 문제에서는 남북대립을 초월한 민족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싶다.](中央日報 7월 23일자).

  이러한 情勢에 놀란 일본정부는 7월 30일, 한국정부에 [문제해결에 노력하겠다.]고 통보했다. 그기에 대해 한국정부는 [일본이 是正자세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한다.]는 견해를 발표했다. 그러나 일은 그렇게 수습되지 않았다.
  이튿날인 7월 31일자 동아일보 사설은, [爲政者들은 과거에 한국정부의 무분별한 저자세가 그들 일본인들로 하여금 無禮千萬한 사태를 일으키게 했다고 하는 점을 깊이 반성하고, 앞으로 모든 對日 접촉에 있어서 '低姿勢' 또는 '屈辱的'이라고 하는 비판을 받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고 한국정부에 축구하고, 8월부터 9월에 걸쳐 많은 지면을 교과서문제에 할애하여 일본 역사교과서와 일본인 특히 保守 政治人들의 歷史觀을 계속 비판했던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여론이 비등했다. 한국에서는 [일본인들의 출입을 금함]을 선언한 상점이나 식당이 눈에 띄었으며, 일본인들의 승차를 거부하는 택시도 나타났다. 예정돼 있던 각종 교류회의도 연기됐다. 이러한 [反日感情]의 고양은 1964-65년의 韓.日會談 反對運動 이래의 일이었다.
  아사히신문 8월 17일자 사설 ['反日本人'의 소리를 들으며]는, 일련의 움직임의 바탕에 잠재해 있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되풀이해서 말하지만, 일본인으로서 알아야 할 것은 교과서문제에 대한 한국 및 중국정부의 항의는 몸소 일본의 조선통치나 중국침략의 非道를 체험했던 사람들의 노여움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신문보도를 촉매로하여 타올랐으며, 각국정부를 외교상의 대응으로 나오게 했던 것이다.(중략)
하지만 지금 아시아인들이 요구하고 있는 것은 그러한 [과거]에만 있지 않다. 다음 세대 젊은이들에게 읽혀지는 교과서 가운데서 과거의 足跡을 미화하고 近隣諸國을 일본 번영의 발판으로 삼을 의도가 아닌지, 구미제국에는 그토록 정중하면서 아시아를 향해서는 왜 위압적으로 나오는지에 대한 문책인 것이다.]

  이것은 교과서문제로 촉발되어 폭발한 [反日感情]의 의미를 정확히 짚은 사설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일본정부의 견해

  8월 26일, 일본정부는 미야자와(宮澤喜一) 官房長官 담화라는 형식으로 다음과 같은 요지의 [政府見解]를 발표하여 사태수습을 시도했다.

[우리 나라는, 한국에 대해서는 昭和 40년(1965년)의 한.일 공동성명 속에서 <과거의 관계는 유감이었으며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하는 인식을 나타냈으며, 지금도 이러한 인식에는 전혀 변화가 없다. 한국, 중국 등의 비판에 충분히 귀를 기울려 정부의 책임으로 교과서 記述을 시정한다. 그것을 위해 앞으로의 교과서검정에 대해서는 敎科用 圖書檢定 調査審議會議를 거쳐 검정기준을 새로 고친다.]

  이에 대해 와다(和田春樹) 東京大學 조교수 등에 의해 결성된 [敎科書 문제로 文部省에 항의하는 시민 시위 實行委員會]는 ['政府見解'에 관한 시민의 의견]을 발표하여 다음과 같은 요지로 비판하였다.

[<李(東元) 한국 외무부장관은 과거의 어떤 기간에 양국민에게 불행한 관계가 있어 생겨난 한국민들의 대일감정에 관해 설명했다. 시이나(椎命悅三郞) 외무대신은 李 외무장관의 발언에 유의하여 이와 같은 과거의 관계는 유감이며 깊이 반성한다고 술회했다.>고 하는 [한.일공동성명]에서의 [과거의 불행한 관계]라고 하는 말은 누가 무엇을 하여 일으킨 사태인가를 은연중 말하고 있는 것이며, [유감]이라고 하는 표현은 가장 가벼운 예의를 차린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번의 추태는 확실히 검정제도의 결함을 노정한 것이며, 당연히 근본적인 재검토를 제도자체의 存否도 포함하여 행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번에도 정부의 책임으로 교과서의 기술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고, 집필자와 편집자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하는 조건의 정비에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대저 시이나(椎名) 외상에 대해 말한다면, 1963년에 출판된 [童話와 政治]라고 하는 책에서 [일본이 메이지 이래 이렇게 강대한 서구 제국주의의 독아로부터 아시아를 지키고 일본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대만을 경영하고 조선을 합병하고, 만주에 五族共和(協和)의 꿈을 걸었던 것이 일본 제국주의라고 한다면, 그것은 영광의 제국주의이며.....]라고 술회했던 인물이다. 그가 한.일공동성명에서 [과거의 관계는 유감이며,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술회한 것은 제스츄어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질 것이다(상세한 것은 拙著 [<妄言의 原型> 참조].
  1982년 11월 24일, 文部省은 학교교과용 도서검정기준에 [이웃 아시아 나라들과의 사이에서 근.현대의 역사적 事象을 취급하는데 있어 국제이해와 국제협조의 견지에서 필요한 배려를 한다.]는 한 항목을 추가했다.
  이에 대해 한국정부는 [우리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시정하려 애쓰는 일본정부의 노력]으로 평가했지만, 동아일보는 [일본의 교과서검정기준 개정]이라는 11월 25일자 사설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새로운 검정기준 채택은 앞으로의 교과서검정 수속이나 기준을 만든 것일 뿐, 구체적 내지 실질적인 왜곡의 시정 그 자체는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의 검정기준 개정은 역사왜곡 시정작업의 완료가 아니라 시작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앞으로 남은 작업이 진실로 중요한 것이다.]


<> [良心勢力]의 소개

  [역사교과서 왜곡사건]에서 언급하지 않으면 안될 것은, [반일감정]의 와중에 한국신문지상에서 일본의 [양심세력]이 소개된 것이다.
  1982년 8월 10일, 조선일보는 [일본은 이성적인 결단을 - 국내의 양심적인 소리에 귀를 기울려야]라는 사설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일반 시민들 가운데는 政權層의 복고사상에 강력하게 반발하는 反<戰前>기운이 상당히 존재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해야할 것이다. 사실, 최근의 일본의 여론이나 논조에, 또한 문필가나 학자, 나아가서는 문제가 되었던 해당 교과서 집필자들까지도 정권층의 사실왜곡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우리들은 이것이야말로 戰前에는 질식되어있던 일본의 양심의 후예라고 생각하며, 皇道主義나 좌익편향을 배제하고 지금부터의 일본을 민주주의로 향하게 하려는 일본의 중심적인 양심이라고 간주하는 것이다.]

  또한 9월 4일자 조선일보에 게재된 동경특파원 李道衍의 기사 [일본시민들이 보내온 양심의 편지]는 앞서 소개했던 ['정부견해'에 관한 市民들의 意見]을 높이 평가하며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市民들의 意見'은 일본이라고 하는 사막에서 오아시스와 같은 正論을 발견한 느낌을 주고있다. 비록 소수이지만 일본에 이러한 의견이 있다고 하는 것은 진정한 한.일관계를 위한 서광이 될 것이며 한국인으로서 함께 생각해 볼 만한 자료이며, 중요한 착안점으로도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一句一節이 심금에 와 닿는 일본인의 양심과 양식이 포함돼 있다. 그 정도로까지 타인의 입장에 서서 문제를 파악하는 일본인이 있다고 하는 것은 큰 희망이다.]

  한국사람들은 결코 [反日感情] 일색이 아니었던 것이다. 


<> 敎科書 문제의 그 후

  이듬해인 1983년 6월 9일부터 10일에 걸쳐 한국에서는 중앙일보가 [일본 교과서, 是正부족], 조선일보가 [日本, 교과서검정 妄動재발] 등으로 일본의 교과서 검정을 다시 비판했다.
  이러한 한국 여론을 받아들여 일본 외무성은 현지 대사관을 통해 한국정부에 중.고교 역사교과의 검정결과를 문부성의 사전통보 형태로 설명하고 있다.
  1984년 6월 13일에 일본출판노동조합연합회가 이듬해 봄부터 고교에서 사용될 고교 社會科 교과서에 대한 검정 실태를 밝히자, 동아일보는 18일자 해설기사에서 ['왜곡'으로 되돌아간 일본 교과서]라고 썼고, 조선일보는 19일부터 23일에 걸친 연재기사에서 [일본은 우방인가 적인가 - 교과서 왜곡사건 3년, 그들은 왜 '시정을' 기피하는가?]고 비판했다.
  한국의 신문은 이렇게 하여 1982년의 [교과서 왜곡사건] 이후에도 매년 6월이 되면,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움직임에 대해 계속 관심을 보였다.


<> [新編 日本史] 사건

  그런 가운데 1986년에 [제 2차 교과서왜곡사건]으로도 불리는 [新編 日本史] 사건이 일어났다.
  5월 27일, 개헌문제 등에 매달리고 있던 [日本을 守護하는 國民會議]가 저술한 고교교과서인 [新編 日本史]의 최종적인 사용여부를 둘러싸고 文部省의 敎科用圖書檢定審議委員會는 이례적으로 재심의를 했다. 신청된 原稿本은, (1) 古代史에서는 古考學 뿐만 아니라 神話를 통해 일본건국을 이해시킨다. (2) 황실에 대한 경외감을 키운다. (3) 근.현대사에서는 일본을 일방적으로 가해자로 결정하는 記述은 하지 않는다고 하는 방침에 따라 편집되었기 때문에 [天皇중심의 서술이 많다.], [근.현대사의 서술에서 일본의 입장이 전면에 나타나고 있다.]는 등의 의구심이 표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합격으로 결말이 났다.
  이를 알게된 한국정부는 29일 주일대사관에 긴급훈령을 보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내용을 파악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그 결과 한국정부는 문제를 [一部의 偏向]으로 받아들이며 外交問題化하는 태도는 보이지 않았지만, 한국의 각 신문들은 [과거의 過誤는 美化할 수 없다.](조선일보 5월 30일자 사설), [日本정부 내부에도 軍國主義의 뿌리, '교과서 是正'에 관한 食言](동아일보 6월 6일자) 등으로 강하게 비판했다.
  그래서 나까소네(中曾根康弘) 수상은 친히 잘 못된 곳을 고치도록 지시했고, 문부성은 6월 10일 경 집필자들을 불러 일부를 고쳐 쓰도록 했다. 한국과 중국에서 일어난 [新編 日本史] 비판은, 그 무렵 북한, 필리핀, 태국, 홍콩에도 파급되고 있었다. 20일 이후 후찌다(藤田公郞) 외무성 아시아국장은 출판사인 原書房 사장과 접촉하여 비공식적으로 출판의 단념을 요구했다.
  한편 문부성은 28일, 세 번째로 수정을 요구했지만 집필자 측은 이를 거부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수정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검정불합격으로 하겠다고 경고하고, 문부성은 7월 3일 네 번째로 수정을 요구했다. [超法規的]이라고 할만한 것이었다. 이리하여 쌍방이 합의에 이르러 문부성과 집필자 측의 대립이 해소됐다.
  7월 7일, 한국정부와 중국정부가 함께 일본정부의 노력을 평가함으로써 이 때의 교과서문제는 수습을 하게 되었지만, 동아일보는 8일자 사설에서 [핵심부분은 시정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18일에는 殉國先烈遺族會 회원들이 교과서의 시정을 요구하며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 후지오(藤尾) 妄言

  그 직후 이른바 1986년 7월 25일의 기자회견에서 후지오(藤尾正行) 문부상이 [新編 日本史]와 관련하여 [그런 말을 한 사람들은 세계사 가운데서 사실이 그렇다는 이야기를 했던 것이 아닐까?]고 말했다. 당연히 큰 문제가 되었다. 한국 외무부는 주일한국대사관에 대해 후지오 발언의 내용, 배경, 진의 등을 조사.보고 하도록 긴급 훈령하고 일본 외무성에 대해서는 발언내용의 해명을 요구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한국의 각 신문들은 이 [妄言]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27일, 한국일보는 사설에서 [망언도 이 정도가 되면]이라며 놀라워했고, 이어서 28일자 동아일보도 사설 [일본 문부상의 의식의 뿌리]에서 ['후지오 망언'은 우연히 나온 것이 아니다.]고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29일, 한국 외무성의 權炳鉉 아시아국장에게 불려간 히로노(谷野作太郞) 주한공사는, [본 건 발언이 외국에 오해와 불쾌감을 주었던 것에 대해 심히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나까소네 수상이 술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외무성의 후지다(藤田公郞) 아시아국장은 李祺周 주일공사에게 정식으로 유감의 뜻을 표명하여, 사건은 일단 종결로 향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그로부터 한 달 남짓 지난 9월 6일, 아사히신문은 10일에 발매된 잡지 文藝春秋 10월호에서 후지오 문부상이 다시 [망언]을 쏟아내고 있음을 전했다. 韓國倂合은 [형식적으로도 실제상으로도 양국의 합의 위에 성립된 것이다.]고 했던 것이다.(이와 같은 견해가 잘못된 것이라는 데 대해서는 이 책 제 9장 참조). 또, [만약 한.일합방이 되지 않았다면, 청국이나 러시아가 한반도에 손을 뻗치지 않았다고 하는 보증이 있는가?]고도 말했다는 것이다.(러시아에 조선을 식민지화할 힘이 없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和田春樹의 "韓國情勢와 우리들" <世界> 1987년 3월호 참조)
  李祺周 주일공사는 [한.일국교정상화(1965년) 이래 가장 중요한 사건이다.]며, 사실상 항의의 의향을 표명했다. 그리고 8일에는 한국의 崔侊洙 외무부장관이 미까나기(御巫淸尙) 주한일본대사를 불러 [극히 유감]이라고 정식으로 항의했다.
  그런 가운데 나까소네 수상은 사임을 거부하고 있는 후지오 문부상을 파면했다. 각료의 파면은 33년만의 일이었다. 그 위에 일본정부는 한국에 대한 설명의 의미를 포함한 고또우(後藤田正) 관방장관 담화를 발표하여 유감의 뜻을 표명하고, 더욱이 나까소네 수상이 일본에 온 최외무장관과 회담하고 [후지오 大臣의 실수가 있었음을 변명하지 않습니다. 사죄 드립니다.]며 전면적인 陣謝를 했다.
  후지오 문부상을 파면시켰던 것은 [교과서 왜곡사건]이래의 한국인과 중국인들에 의한 비판의 힘이었다.


<> [오꾸노(奧野) 망언]

  [후지오 망언]으로부터 약 2년이 지난 1988년 4월 22일, 오꾸노(奧野誠亮) 국토청장관이 기자회견에서 [아직도 점령군의 망령에 휘둘리고 있는 것이 도무지 참을 수 없다.]고 술회, 각료의 야스꾸니(靖國)신사 참배를 문제시하는 것을 비판했다. 또한 [교과서에서 신화와 전설을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것이 衆議院 토지문제특별위원회에서 문제가 되자, 이번에는 [아시아 전체가 백색인종의 식민지로 되었던 것이 대동아전쟁 결과 독립을 이룩했다. 일본만이 침략국의 낙인을 찍혔던 것은 분한 일이다.]고 답변했다. 또한 5월 9일, 중의원 결산위원회에서 다시 문제가 되자, [나는 침략전쟁이라고 하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대단히 혐오스럽다고 생각한다. 그 당시 일본에는 그러한 의도가 없었다.], [東京裁判은 승자가 패자에 가했던 징벌이다.] 등의 말을 했다. 오꾸노는 일본의 아시아 침략 史實을 부인했던 것이다.
  이에 대해 주일한국대사관의 朴  공사는 5월 10일, 외무성에 후지다(藤田) 아시아 국장을 방문, [유감]과 [우려]의 뜻을 전했다. 또한 동아일보는 11일자 사설 [일본을 경계하자]에서 [오꾸노 망언, 후지오 망언, 문부성의 역사교과서 왜곡, 수상의 야스꾸니 신사 참배 등이 1980년대에 들어와 본격화 한 것은, 일본이 경제력의 성장과 함께, 1945년 이전의 大東亞共營圈과 아시아 식민지정책의 정당성의 회복을 지향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고 비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꾸노의 [망언]은 여전히 계속됐다. 참의원 본회의에서는 [盧溝橋사건은 우발적으로 시작됐다.]는 해석을 내놓았으며, 閣議에서는 [南京대학살의 碑가 南京에 있다. 그 전에는 중국인들의 백골과 日本刀를 놓아두고 희생자들이 일본인들에게 살해되었다고 선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것은 日.中 우호를 위해서 좋지 않다.]고 말했던 것이다.
  이러한 [망언]은 閣議에서도 문제가 되었으며, 마침내 5월 13일 저녁, 오꾸노는 사표제출을 종용받았다. 그러나 오꾸노는 고별 기자회견에서도 [결코 틀린 말을 한 것이 아니다.]고 가슴을 펴 보였다.
  발언의 내용 그 자체에 대한 반성은 조금도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또한 각료들은 오꾸노의 견해를 비판하여 그런 견해를 바로 잡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 1990년의 文部省 見解

  1990년 5월 24일, 한국의 노태우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했다. 그 때 가이후(海部俊樹) 수상이 일본에 의한 한국 식민지 지배에 관해 사죄했던 것과 관련하여 어떤 신문기자가 [과거에 대한 반성을 학교교육에도 반영시켜볼 생각이 있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가이후 수상은 [현장 선생님들에게도 그러한 인식을 심어줍시다.]고 답했다.
  그로부터 겨우 5일 후인 29일, 일본 문부성은 다음과 같은 견해를 발표했다.

1. 학교에서는 우리 나라와 한반도와의 근.현대사를 취급함에 있어 국제이해와 국제협조의 견지에 서서 그 우호친선을 일층 증진시키기 위해 지도하고 있다.
1. (중략) 학교에서는 (중략) 日.韓 양국민들이 상호 존중하고 이해를 깊게 하도록 우리 나라와 한반도의 관계에 대해 일층 적절한 지도가 행해지도록 노력할 것이다.

  [견해]를 발표한 이유에 대해 문부성은, [교과서의 記述내용은 현재 별 문제가 없으며 수업에서 철저하게 하도록 하는 자세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것은 논의가 교과서에 미치지 않도록 선수를 친 것과 진배없었다.
  5월 31일자 아사히신문은 사설에서 [문부성에게 필요한 것은, 이번 기회에 교과서의 내용을 개혁하여 고쳐보는 자세가 아니었을까?]고 쓰고 있다. 하지만 문부성의 미쓰무라(菱村幸彦) 초등중등교육국장은 [현재의 교과서는 늘 엄격하게 심사한 결과, 적절하게 된 것]이라고 말하며, 교과서의 검정기준과 학습지도요령을 재검토하려는 생각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예컨대 고교일본사 교과서 가운데는 식민지 통치 아래서 행해진 創氏改名, 한국어의 실질적 금지, 神社參拜 등의 기초적 사항에 대해서조차 건드리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한국(또는 아시아) 관계의 記述이 불충분하다는 것은, 학자나 교육자가 계속 문제시하고 있는 것이다.(앞서 말한 [近現代史 중의 일본과 조선], 日韓歷史敎科書연구회편 , [교과서를 日韓協力의 관점에서 생각한다], 大月書店, 1993년 , 등을 참조할 것).
  문부성이 이런 태도를 계속 취하는 한, 일본교과서에 대한 아시아인들의 비판도 계속될 것이며 [反日感情]이 계속 생겨날 것이다.
(2001.1.21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