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 韓.日 關係

日本人이 본 韓國人의 反日感情(1)

이강기 2015. 9. 11. 11:16
日本人이 본 韓國人의 反日感情(1)    
 
韓.日간의 민족감정은 가해자(일본)와 피해자(한국)라는 <恩怨 의식>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당신들이 그렇게 나오니 우리도 이렇게 나올 수밖에' 라는 <相對的인 의식>에서도 오는 것 같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우리네 속담처럼 한쪽이 상대편을 미워하는데 그 상대방이 이쪽을 곱게 볼 리가 없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日本人들은 과연 한국인들의 反日感情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하는 것이 퍽 궁금했다. 물론 양국의 언론을 통해 이따금씩 전해들은 바가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그러나 극히 단편적이어서 전체적인 感을 잡기가 힘들었다. 마침 일본의 한 교수가 이 부문에 관해 쓴 책이 있어 번역해 올려보기로 한다. "[反日感情] - 韓國.朝鮮人과 日本人"이라는 이 책을 쓴 다카사키 쇼우지(高崎宗司)씨는 1944년 생으로 東京敎育大學에서 日本史를 전공하고 현재 津田塾大學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분이다. 현재의 전공은 近現代 韓.日關係史이며 주요 저서로는 <조선의 흙이 된 일본인 - 淺川巧의 생애>, <忘言의 原型 - 日本人의 韓國觀> 등이 있다.
<><><><><>


日本人이 본 韓國人들의 反日感情

                              - 高崎宗司(다카사키 쇼우지)

목차

첫머리에

한국인의 日本觀/[묵은 상처]와 [새로운 상처]/이 책을 내는 이유


제 1장 한국은 [反日敎育]을 하고 있는가

2개의 현장/征韓論/한.일수호조약/임오군란/갑신정변/東學농민운동/閔妃암살/러일전쟁/한국 병합/3.1 운동/학살사건/전시하의 조선/한 유학생의 답변


제 2장 미해결인체 남아있는 보상문제

문제의 제기/朴正熙정권의 對日정책/비공식 회담/金.오오히라 메모/1964년의 반대운동/1965년의 반대운동/일본의 반응/협정의 문제점/對日 민간청구권신고법/對日 민간청구권 보상법


제 3장 비판받는 일본의 역사 교과서

교과서 문제란 무엇인가?/일본정부 견해/[양심세력] 소개/교과서 문제의 그 후 사정/[新編 日本史] 사건/[후지스에 妄言]/[오꾸노 妄言]/1990년의 文部省 견해


제 4장 指紋捺印은 필요했던가?

재일 한국인 차별의 상징/韓宗碩의 지문날인 거부/14세 소녀도 거부/[한.일 신시대]/지문날인 거부운동 고양/협박장/金明植의 지문날인 거부/91년 문제/訪日延期도 고려/한국정부의 軟化/합의의 성립


제 5장 天皇과 한국인

天皇과 책임/히로히또 天皇의 [언급]/나카소네 수상의 유감표명/아끼히또 황태자부처의 방한문제/히로히또 天皇의 죽음/아끼히또 天皇의 [언급]/한국인들의 불만


제 6장 被徵用者와 유족의 호소

金判龍의 경우/유족회의 요구/名簿조사의 요청/名簿의 발굴/가해자 의식으로/정부의 조사결과 발표/시민의 조사활동/보상청구재판


제 7장 [從軍慰安婦 문제]와 [反韓감정]

밝혀진 [종군위안부 문제]/[시미즈 망언]/재판/정부조사결과에 대한 비판/돈 보다도 진상규명을/[반한론]의 등장/[필요악]/[일본 만이 아니다]/[차별은 없다]/[제소는 하게 하라]/[군은 잘못이 없다]/[한.일협정으로 해결되길]/[역시 시효다]


제 8장 北.日교섭의 경과와 문제점

교섭개시 배경/3당 공동선언/예비회담/교섭 시작하다/미국의 자세/核문제를 최우선 의제로/보상문제를 둘러싸고/미국과 한국의 대응/민간인들에 대한 보상/보상인가, 청구권인가?/새로운 장애물/교섭의 결렬


제 9장 일본의 [자랑스럽지 못한 역사]

위임장과 비준서/잊혀진 문제 제기/북한의 움직임/러시아.프랑스와 워싱턴에 보낸 밀서/협박/대신들의 저항/헤이그 密使/國璽는 찍혔는가?/이시바시 질문과 사또오 답변/헌법위반설/국제법 위반설/다른 조약과의 비교/최근의 정부견해


끝내며

한국인들의 자성/溫泉入浴 차별사건/식민지통치의 청산을

-------------------------------------------------------------

 

첫머리에

<> 한국인의 일본관

  1984년 10월에 아사히신문과 한국의 동아일보가 공동으로 한.일관계에 관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그에 따르면, [당신은 일본이 좋습니까, 싫습니까? 특별히 어느 쪽도 아닙니까?]라는 설문에 대한 한국인 1,016명의 답을 보면, [좋다]가 23%, [싫다]가 39%, [어느 쪽도 아니다]가 34%(기타 무응답이 4%) 였다(아사히신문 1984년 11월 26일자).
  39%의 사람들이 [싫다]고 응답한 배경을 아는 데는 [일본이라고 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릅니까?]라는 설문에 대한 응답을 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36년간(일본에 의한 식민통치된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고통] 31%, [교활하다, 상스럽다] 10%, [경제적 번영] 8%, [36년간의 기억] 8%, [혐오감] 5%로 나타나고 있다. [36년간의 고통]과 [36년간의 기억]을 합하면 39%가 된다.
  그로부터 약 6년 후인 1990년 6-7월에 행한 여론조사에서는, [좋다] 5%, [싫다] 66%, [어느 쪽도 아니다] 24%(무응답 5%) 였다. 이 때의 조사로만 따진다면 일본혐오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 조사결과를 소개했던 아사히신문 1990년 8월 1일자에는 그 이유로 조사시점이 盧泰愚대통령의 방일 직후였다는 점을 들고 있는데,  [사죄발언(상세한 것은 본서 제 5장 참조)에 대한 불만과, 기술이전문제 등 한.일간의 경제마찰에 대한 한국민들의 조바심이 반영된 것 같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 두 개의 여론조사로부터 한국인들의 [反日감정]은 [36년간의 고통.기억]이라고 하는 [묵은 상처]와, 天皇의 [언급]에서 상징되는 오늘의 일본인들의 역사인식이라고 하는 [새로운 상처]에 큰 원인이 있다고 보아 틀림없을 것이다.
  독일의 저널리스트인 랄프 죨단은 그의 [제 2의 죄 - 독일인이라는 것에서 오는 중압감]이라는 저서에서 [히틀러 아래서 독일인들이 저지른 죄]를 [제 1의 죄]라고 부르고, [1945년 이후에 제 1의 죄를 심리적으로 억압하고 부정한 것]을 [제 2의 죄]라고 부르고 있다. 그 이론대로라면, 한국인들의 [묵은 상처]는 일본인들의 [제 1의 죄]이며, [새로운 상처]는 [제 2의 죄]라고 할 것이다.

 

<> [묵은 상처]와 [새로운 상처]

  일본이 저질렀던 [묵은 상처]는 무엇인가? 여기에는 도요도미 히데요시의 조선출병(임진왜란)을 들 수도 있을 것이다. [민비암살 - 조선왕조 말기의 국모](新潮社 1988)를 쓴 작가인 쯔노다 후사꼬(角田房子)는 [한국인들의 반일감정은 400년 전에 히데요시로부터 시작된 것 같다.]고 하며, 다음에는 히데요시에 대해 써 볼 예정이라고 했다.(아사히 신문 1993년 4월 10일자 기사 참조).
  히데요시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해도 [묵은 상처]에는 강화도사건(1875년), 일본함대의 시위를 배경으로 강요한 韓.日修好條約(江華島조약), 閔妃암살(1895년), 保護國化(1905년), 義兵운동과 애국계몽운동 압살, 한국 倂合(1910) 등이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36년에 걸친 식민지 지배하에서의 日本語.創氏改名.神社參拜의 강요, 徵兵.徵用(이른바 강제연행), 3.1운동 등의 항일운동에 대한 탄압이 있다.
  그렇다면 [새로운 상처]라는 것은 무엇일까? 일본의 패전(1945) 이후에 있었던 일본정부 고관들의 폭언과 일본의 대한정책 등이 다수가 여기에 속할 것이다.
  지금껏 대한민국(이하 한국으로 약칭)에서는 그런 폭언을 [妄言]이라고 표현하여 보도하고 있다. [일본으로서도 조선의 철도와 항만을 건설하기도 하고 농지를 조성하기도 했으며, 大藏省은 당시(일본 통치시대) 여러 해 동안 해마다 2천만엔 씩 부담했다.]고 하는 [구보다(久保田) 망언](구보다는 제 3차 한.일회담의 일본측 수석대표였다. 1953년), [일본이 메이지유신이래 강대한 서구 제국주의의 마수로부터 아시아를 수호하고 일본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대만을 경영하고 조선을 합병하고 만주에 五族共和(協和)의 꿈을 가졌던 것이 일본제국주의라고 한다면, 그것은 영광의 제국주의이며....]라고 한 [시이나(椎名) 망언](시이나는 한.일회담이 타결됐을 때의 일본 외상이었다. 1963년)은 한국에서는 지금까지도 자주 거론되고 있다.
  사죄와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韓.日 基本條約]이나 [請求權 및 經濟協力協定](1965년), 朴正熙.全斗煥 등의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편들기, 침략의 역사를 오도하는 檢定歷史敎科書 문제(1982년), 식민지지배에 대한 솔직한 사죄를 회피했던 昭和天皇(1984년)과 현재의 天皇의 [언급](1990년), 지금까지 정부에 의해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조선인 강제연행의 문제, 진상이 규명되지 않고 있는 [從軍慰安婦] 문제, 새삼스레 밝혀지게 된 한국보호조약 체결시의 일본의 강압사실, 재일 한국인에 대한 차별, 식민지였기 때문에 당한 남북분단의 비극 .......... 등, [反日感情]을 드러내어도 일본인으로서 반론할 수 없는 문제들이 너무나 많다.


<> 이 책을 내는 이유

  이 책은, [反日感情]을 지속시키고 있는 이러한 여러 문제들을 취합하여 정리함으로써 한국인들의 [反日感情]이 현재 정당한 근거가 있다는 것을 밝히려고 하는 것이다. 이미 나는 1990년에 쓴 책 ['妄言'의 原型 - 日本人의 韓國觀]에서 구보다나 시이나의 [妄言]에 관해 검토한 적이 있다. 이 책은 주로 1980년대 이후의 일본의 한반도 정책과 거기에 대한 한국인들의 비판을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日本人의 韓國觀]도 불가피하게 부각시키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妄言'의 原型]의 속편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김영삼대통령 정부가 탄생했을 때, 미야자와(宮澤喜一) 首相은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더한층 강화시키고싶다.]고 말했다.(아사히신문 1993년 2월 5일자 석간 보도).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묵은 상처]와 [새로운 상처]가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를 알아내어 그 상처를 하나 하나 치유하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함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反日感情에 [ ]를 붙였다. [反日感情]을 단순한 감정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인.재일한국인이라는 말을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특히 한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조선인.재일 조선인이라는 말을 사용할 것이다.


제 1장 한국은 [反日敎育]을 하고 있는가?

<> 2개의 현장

  한국인들의 [反日感情]이 강한 것은 [反日敎育]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일본인들이 많은 것 같다. 그들은 그 [反日敎育]의 현장으로 곧잘 한국의 獨立記念館과 학교의 歷史敎育시간을 꼽는다.
  1992년에 한국특집을 냈던 일본의 어떤 월간지는 독립기념관에 8쪽을 할애하여 [여러분들은 알고 있는가? 韓國人이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는 <反日>의 堡壘 - 獨立記念館에 진열 된 日本]이라고 하는 기사를 게재하고, 많은 사진을 첨부하여 日帝侵略館에 전시된 납인형 등을 소개하고 있었다.
  한국의 獨立記念館은, 1982년 여름의 일본의「역사교과서 왜곡사건(제 3장 참조)을 계기로 설립모금운동이 시작돼 1987년 8월 15일에 완성되었다. 서울 남쪽으로 약 95km 떨어진 忠淸南道 天原郡 木川面 南化里에 있으며, 121만평의 부지에 8개의 전시관(민족전통관, 근대민족운동관, 일제침략관, 3.1운동관, 독립전쟁관, 임시정부관, 대한민국관, 특별기획전시관)과 원형극장이 있다. 그 가운데 제 3전시관이 일제침략관으로서 여기에는 일본관헌의 한국인에 대한 고문장면이 납인형으로 재현돼 있다.
  한국의 어린이들은 소풍이나 수학여행 등으로 이 곳을 자주 방문하고 있다. 어른들의 견학도 잦다. 쯔다쥬쿠(津田塾) 대학의 기타자와 미즈꼬란 학생이 한국에 살고있는 성인 59명을 상대로 한 [독립기념관을 방문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 33명이 [간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또한 1988년의 내관자 수는 약 220만 명이라고 한다.(미발표 논문 [한국독립기념관에 관한 고찰 - 설립의 배경, 과정 내지 의의에 관하여]).
  또 하나의 현장은 한국의 歷史敎育시간이다. 역사시간에 사용되고 있는 역사교과서도 [反日感情]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증거물이 된다. 그러나 나는, 1992년에 한국특집을 낸 어떤 잡지가 [한국의 역사교과서에서 <日本>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을까?]라는 기사 첫머리에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지금도 선동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고 쓰고 있는 것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비판해야할 것은 비판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예컨대 한국의 반일교육은 역시 지나치다고 생각한다.](NHK 제1 [아시아 위크]담당 감독인 무라가미 게이꼬<村上圭子>의 [이 소리, 이 얼굴] <아사히신문 1992년 11월 19일자 석간 보도>)고 하는 발언에 대해서도 같은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과연 한국의 각 학교에서는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지금도 선동하며 反日敎育을 하고 있는 것일까? 이하, 한국의 고등학교 國史(下)교과서가 일본이 한국에 끼친 [묵은 상처]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 다시 말해 [反日敎育]의 재료가 될만한 것들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아직도 한국에서 국사는 국정교과서이다. 그래서 이하 [한국교과서]라고 부르기로 한다. 1990년판과 일부 1989년판을 사용했다.


<> 征韓論

  征韓論은 막부말기에 이미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등에 의해 제창된 것인데, 1873년에 이르러 일본정부 실력자인 사이고 다까모리(西鄕隆盛) 등에 의해 실행에 옮기기로 한 것이었다. 이에 관해 한국교과서는, [일본은 메이지유신에 의한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었음을 조선에 알리고, 새로운 수호조약을 요구해 왔다. 그러나 조선측에서는 일본이 보내 온 국서의 내용이 매우 오만하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조선을 침공해야한다고 하는 征韓論이 일어났다.]고 기술하고 있을 뿐이다.
  만약 [反日感情]을 선동하고자 했다면, 征韓論에 대해 아주 긴 서술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1989년판에 있었던 이 부분이 1990년 판에는 오히려 삭제되고 있다. 한국 교과서 관계자로부터 개인적으로 들은 바에 의하면 일본에게 침략을 받았다는 사실보다도 독립을 지키기 위한 투쟁을 기술하는 것에 중점을 두기로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韓.日修好條約

  1875년, 일본은 조선의 수도인 한성(지금의 서울) 근처에 있는 강화도 앞 바다에 군함 雲陽號를 침투시켜 (연안포대와) 포화를 주고받았다(雲陽號 사건 또는 江華島사건이라 한다.). 일본은 그것을 이유로 이듬해에 함대의 무력시위를 배경으로 不平等條約인 韓.日修好條約(강화도 조약이라고도 한다.)의 체결을 강요했다. 黑船의 우라가(浦賀) 내항, 美.日和親條約과 미.日修好通商條約체결 모델을 본뜬 행동이었다.
  이 한.일수호조약에 대한 한국교과서의 서술은 자세하다. [조선에 대한 淸의 종주권을 부인하여 일본의 조선침략을 용이하게 하려고 한 것이었다.]는 것, [開港場에서의 일본인들의 범죄를 일본인 영사가 재판하는 영사재판권, 이른바 치외법권조항을 설정하고, 조선에 살고 있는 일본인들의 범죄행위에 대해 조선의 사법권을 배제했다.]는 것, [강화도조약에 이어 별도의 조치가 취해졌는데, 조선국내에서의 일본외교관의 여행의 자유, 개항장에서의 일본 거류민들의 거주지역 설정, 일본화폐의 유통, 그리고 일본 수출입상품에 대한 비과세 내지 곡물의 무제한 방출 등이 허용되었다.]는 것 등에 대해 실로 정중하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그 결과에 관해서도, [이리하여 조선에 대한 일본의 경제적 침략의 발판이 용이하게 구축된 반면, 조선은 국내산업에 대한 보호조치를 거의 취할 수 없게 됐다.]라고 한 것 외에  [일본 상인들의 무역독점]이라고 하는 小항목을 설정하여 [일확천금을 노리는 전형적인 무역상인들이....(중략), 일본의 영사재판권, 일본화폐의 사용권 등을 인정한 불평등조약을 배경으로 일본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받음으로서 약탈적인 무역활동을 일삼았다.]고 평하고 있다.
  이러한 記述에 대해 [反日的]이라고 한다면, 일본의 교과서가 美.日和親條約과 美.日修好通商條約의 불평등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反美的]이라고 해야할 것이다.


<> 壬午軍亂

  壬午軍亂에 관해서 일본의 대표적인 朝鮮近代史 연구자의 한 사람이었던 故 카지마루 히데끼(梶村秀樹)는 [조선사 - 그 발전](講談社 현대신서, 1977)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곡물의 (일본으로의) 반출은 저들(도시빈민층)이 날마다 구입해야하는 쌀의 가격을 등귀시켰다. 거기에다 일찍이 일본이 조선정부를 종속시킬 의도를 갖고 근대적 군대의 창설을 원조한다는 명목으로 군제개편에 개입했던 것이 그들 구식군대 병사들의 생활을 위협했다. (중략) 이리하여 1882년, 서울 동부 변두리에 최대규모로 모여 살고 있던 앞서 말한 빈민층이 하위 병사들을 앞세워 봉기했다. 이 선구적인 민중적 민족투쟁을 '壬午年의 軍人反亂'이라 부르고 있다. 봉기했던 민중들은 침략의 거점인 일본공사관을 포위하여 공사 등이 도주하고, 왕궁을 점거하여 대외 굴종적인 閔氏政權을 붕괴시켰다.]
 
  이 임오군란에 관해 한국교과서는, [개화정책과 외세의 침략에 대한 반발은 보수적인 유생층 뿐만 아니라 구식군인들로부터도 일어났다. 임오군란은 민씨정권이 일본인 교관들을 채용하여 훈련시켰던 신식군대인 別技軍을 우대하고 구식군대를 차별대우했던 것에 대한 불만 때문에 폭발됐다.]고 하였으며, 구식군대의 군인들이 [일본인 교관을 살해하고 일본공사관을 습격했다.]는 정도로 쓰고 있다. 軍亂의 [反日]적 측면에 관한 서술은 앞서 말한 카지마루의 책보다도 오히려 간단하다.


<> 甲申政變

  1884년, 일본과 연결된 [急進 開化派 또는 開化黨]의 金玉均 등이 쿠데타를 일으켰는데 이를 甲申政變이라고 한다. 이에 관해 한국교과서에서는, [조선에서도 안으로는 實學, 특히 北學派의 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밖으로는 淸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洋務運動과 일본에서 제기되고 있던 文明開化論의 영향을 받았던 사상](開化思想)이 생겨난 것, 그것이 개화의 방법론을 둘러싸고 '穩健開化派'와 '急進開化派 또는 開化黨'으로 갈라지게 되었다는 것] 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갑신정변은 근대국가수립을 목표로 한 최초의 정치개혁운동이며 역사발전에 합치하는 민족운동의 방향을 제시한, 우리 나라 근대화운동의 선구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개화사상은 (중략) 일본에서 제기되고 있던 문명개화론의 영향을 받았다.]라든가, [급진개화파 또는 개화당이라고 불리는 그들은 淸나라의 간섭을 물리치고 자주독립을 확립하여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모범으로 하여 급진적 개혁을 추진하려고 했다.]고 하든가 함으로써, 일본이 조선의 개화파에게 영향을 준 나라로서 긍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런데 앞서 말한 카지마루의 책에서는 개화파와 일본에 관해 각각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金玉均 등은 실제로 메이지유신을 모델로 하는 개혁을 구상하고, 또한 한발 앞서 개혁을 완성했던 일본의 힘을 주체적으로 이용하려고 한 것으로 보이며, 후꾸자와 유기찌(福澤諭吉) 등을 개입시켜 의식적으로 메이지 정부에 접근했다. 메이지 정부는 거꾸로 그들을 친일파로 변질시켜 이용할 의도를 갖고 환상을 심어주어 그들을 유인하려고 했다. (중략) 金玉均 등의 變法自强의 초지를 왜곡시키기 위해 작용하고 현혹하였는데, 그 변혁사상을 조산시키는 데 기여했던 일본 관민들의 책임도 크다고 아니할 수 없다.]

  여기에 비교하면 한국교과서의 일본평가는 매우 온건한 것이다.


<> 東學農民運動

  [輔國安民.除暴救民]을 내걸고 東學農民軍이 봉기한 것은 1894년의 일이다. 한국교과서는 봉기의 배경으로, [일본의 경제침략에 의해 농촌경제는 날이 갈수록 피폐해지고 농민들의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강해지고 있었다.]고 설명하고, 동학농민운동이 실패한 이유로서 [일본군에 패했던 것]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이 운동에 관해 [안으로는 봉건적 체제에 반대하여 노비문서의 소각, 토지의 平均分作 등 개혁정치를 요구하고, 밖으로는 외세의 침략을 물리치려고 하는 反封建, 反侵略의 근대민족운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다시 말해 조선의 자주적 근대화를 위한 움직임을 일본이 무력으로 좌절시켰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술회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앞서의 카지마루의 책이 [일본의 군사력이 조선근대사상의 일대변혁을 직접 짓밟아 내재적 발전의 흐름을 단번에 끊어버리고 만 것]으로 솔직히 쓰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1894-95년의 淸日戰爭에서 조선은 전쟁터가 되었다. 일본이 시작한 전쟁이기 때문에 일본의 입장으로 봐선 괴로운 이야기이다. 그럼에도 한국교과서는 이에 대해 특기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전쟁 중에 조선에서 행해진 갑오개혁에 더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일본에 대해서는, [동학농민운동과 같은 농민봉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내정개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중략) 그 내면적인 의도는 일본군의 조선주둔 명분을 찾고, 더욱이 淸나라와의 전쟁구실을 만들어 청의 세력을 조선으로부터 구축한 후,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을 통해 경제적 이권 수탈은 물론 조선침략의 기반을 쌓으려고 했다.]며 기초적인 사실을 지적하고있을 뿐이다. 


<> 閔妃 暗殺

  1895년의 조선왕비(閔妃) 암살사건은, 만약 [反日感情]을 부추기는 것이 역사교육의 목적이었다면 절호의 교육재료가 될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과서는 이외일 정도로 짧은 문장으로 담담하게 [明成皇后(閔妃}는 親露派와 손잡고 일본의 침략세력을 제거하려고 했기 때문에 일본은 명성황후를 시역하는 乙未事變을 일으켰다.]고 쓰고 있을 뿐이다.


<> 露日戰爭

  1904년 大韓帝國(1897년에 朝鮮은 國號를 大韓帝國으로 고쳤다.)은 露日戰爭이 일어나자 局外中立을 선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은 대한제국에 침입하여 韓.日議定書의 체결을 강요하고는, 그 후 3번에 걸친 韓.日協約을 거쳐 1910년에는 마침내 대한제국을 병합했다.
  한국교과서는 한.일의정서에 관해 [침략의 발판을 공고히 하고 대한제국에 대한 우월권을 확보하기 위해 2개 사단의 병력을 대한제국에 투입, 서울을 위시한 전국의 주요 군사적 요지를 점령하여 일본군이 전략상 필요로 하는 장소를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게 했으며, 일제의 내정간섭 및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한.일의정서에 강제로 조인하게 했다. (중략) 이로 인해 국외중립은 무너지고 러시아와 체결했던 모든 조약이 폐기되었다.]고 쓰고 있다.
  1904년의 제 1차 한.일협약에 의거 일본은 대한제국정부에게 외국인(거의 일본인) 고문을 데려와 내정에 간섭했다. 마침내 1905년의 제 2차 韓.日協約(韓國保護條約이라고도 한다. 한국과 북한에서는 주로 乙巳保護條約 또는 乙巳 5條約이라고 한다.)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여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이 조약은 이 책의 제 9장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려고 하는데, 일본측이 대한제국의 황제와 大臣들을 협박하여 체결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교과서는 [乙巳條約을 강요했다.]고 하는 정도로 밖에 쓰고 있지 않다.


<> 韓國合倂

  1907년 大韓帝國의 황제인 高宗은 헤이그에서 개최되고 있던 第2回 萬國平化會議에 밀사를 파견하여 列國에 일본의 대한제국지배의 실정을 호소하려고 했다. 그것이 구실이 되어 제3차 한.일협약이 체결되고 高宗은 일본에 의해 강제로 退位된다. 또한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로 해산되었다. 이어서 언론.집회.출판의 자유가 유린되고 사법권과 경찰권도 빼앗겼다. 이리하여 1910년에는 國權까지도 탈취 당한다.
  이러한 경과에 대한 記述에 한국교과서는 겨우 몇 줄 밖에 할애하지 않고 있어 지나치게 간단하게 취급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 중에서도 1907년 전후의 義兵활동과 愛國啓蒙運動 등 國權回復運動에 지면을 많이 할애하고 있다. 결국 일본침략 자체보다도 조선의 독립운동에 교육의 비중을 두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三.一運動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만든 지 약 10년 후인 1919년, 한국인들의 불만이 마침내 3.1운동으로 폭발했다. 조선총독부는 그와 같은 한국인들의 반발을 진정시키기 위해 이른바 文化政治로 바꾼다.
  한국교과서는 [3.1운동의 태동]이라는 소항목에서 3.1운동의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즉,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이 널리 강력하게 전개되고 있었다.]는 것과 조선총독부의 [土地調査事業], [同化政策]이 거론되고 있다. [3.1운동의 확산]이라는 소항목에서는, 한국인들의 [평화적인 시위]에 대한 일본의 [무차별 총격], [건물에 대한 방화.파괴]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탄압의 상징적인 사례로서 마을사람들을 교회에 몰아넣어 불을 지르고 총격을 가했던 堤岩里 사건에 관해서도 다루고 있다. [3.1운동의 意義]에 관한 소항목에서는 [중국, 인도 및 중동에서 反帝國主義운동을 일으키게 했던 선구적인 운동이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일본은, 3.1운동의 원인을 제공한 나라, 3.1운동을 탄압한 나라로서 묘사되고 있지만, 3.1운동에 관해서라면 누구도 그 정도는 쓸 수 있을 것이다.


<> 虐殺사건

  한국인들이 일본에서 취업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전부터였지만, 그 수가 급속히 증가한 것은 1910년의 합병 이후의 일이다. 그 배경으로는 일본의 호경기와 노동력 부족, 한국에서의 土地調査事業으로 인한 농민들의 몰락을 들 수 있다. 토지조사사업이란 토지소유자와 면적 등을 조사하여 엄격한 과세를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사업 결과 사실상 농민들의 토지소유가 부정되어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이 부지기수였다.
  1923년 關東大震災가 일어났을 때 일본에는 약 8만 명의 한국인들이 살고 있었는데, 關東지방에 살고있는 사람들 중 약 6천명이 한국인이라는 이유만으로 학살되었다.
  만약 한국교과서가 [反日感情]을 조금이라도 강조하려고 의도했다면, 이 학살이 지금까지도 절호의 교육재료가 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關東大震災시의 한국인 학살사건에 대해서는 전혀 서술하고 있지 않다. 한편 그것은 재일 한국인들에 대한 관심이 낮은 것에도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戰時下의 한반도

  만주사변 전야 경부터 중국침략에 대한 준비로 일본은 조선북부를 공업화하여 병참기지로 만들려고 했다. 그리고 한국인들을 병사 또는 노동자로 전쟁에 동원했다. 동원된 사람들은 남자뿐만이 아니었다. 여자들 또한 勤勞挺身隊員이나 [종군 위안부]로 전쟁에 동원된 것이다.
  1930년도 전후부터의 한국 북부의 공업화에 대해 한국교과서는 [이러한 모든 것은 일제의 전쟁수행을 위한 것이었으며, 한반도 경제를 식민지 경제체제에 보다 철저하게 예속시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쓰고 있다. 오늘 날 이것은 학계에서도 상식이 되고 있다.
  1940년대 전반기의 징병과 징용에 대해서는, [마침내 징병제와 징용제에 의해 일본, 중국, 사할린, 인도지나반도 등지로 강제 동원되어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간단히 쓰고 있을 뿐이다. 그것이 어느 정도 규모였는지에 대해서조차 밝히고 있지 않다.
  皇民化 정책에 대해서도, [우리 민족은 일제의 內鮮一 , 日鮮同祖論, 皇國臣民化와 같은 荒唐無稽한 슬로건 아래 우리 나라의 말과 역사를 배울 수 없게 되고, 皇國臣民誓詞 暗唱, 宮城요배, 正午의 묵도로 절대복종을 강요하고, 더욱이 우리들의 성명조차도 일본식으로 개명토록 강요받았다.]고 했는데, 이 또한 이외일 정도로 간단하게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여기서도 韓國光復軍이 결성되어 대일 선전포고를 했다는 등 조선독립운동에 관한 서술이 우선시 되고 있는 것 같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사할린 잔류 한국인, 한국인 被爆者, [종군 위안부]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 한 유학생의 답변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한국교과서는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지금도 부추기고] 있다고는 단정하기 어려운 내용의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한국'이라고 하면 반일감정이 강하다고 하는 인상을 받았는데, 실제의 경우에는 어땠는지?]라고 하는 일본대학생들의 물음에 대해 한국에서 유학한 한 학생의 대답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렇지 않습니다. 그저 모두 身邊事로서 한국과 일본간의 역사를 파악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일부만 당시 한국인들의 고통을 자신의 일로 받아들이는 것 같았습니다. 예컨대 교과서 등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쓰고 있을 뿐이며, 선생님들도 감정적으로 가르치지는 않았습니다. 학생들 쪽이 좀 앞서가는 생각을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그것은 이웃에 당시 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 있으면 더욱더 그러할 것입니다.](宋胤京, 쯔다 칼리지 스튜던트 프레스 [라 갸루손즈] 1993년 1월호).

  지금까지 한국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을 상세하게 소개하여 일본교과서와 비교한 책으로, 야마타(山田昭次)등이 쓴 [근현대사 중의 일본과 조선](東京書籍. 1991)이 있는데 참고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 책은 일본 교과서에서 부족한 부분을 한국교과서에서 찾아 보충하여 편집해 놓았다. 이 장에서 인용했던 한국교과서의 譯文은 이 책에서 일부 따 와 改譯한 것이다.(계속)
(2001.1.9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