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시평] 민족과 친일
-
강위석
가나안 농군학교의 김용기 교장은 사람들을 모아놓고 "민족이란 것은 3천만 겨레를 말합니다. 영토라는 것은 3천리 강산을 말합니다. 역사란 것은 반만년 역사를 말합니다"라고 가르쳤다. 나는 이 말을 듣는 순간 정신이 번쩍 들었다. 민족이란 말의 뜻이 이렇게 꽉 차게 구체화되는 것을 마흔살이 넘어 그에게서 처음 들었던 것이다.
*** 조선에 민족의식 있었나
그런데 김용기 교장은 언제 누구한테서 민족이란 말을 배웠을까. 이 질문이 그후 25년이 지난 지금 내게 떠오르고 있다. 적어도 이 점만은 분명하다. 민족이란 말은 명치유신 이후에 일본에서 지어진 단어다. 중국인들이 일본인들에게 한자문화를 가르친 공적을 자랑하면 일본인들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중화'를 제외한 '인민'과 '공화국'이란 말은 현대의 일본이 만들어 공급했다고 되받는다고 한다.
일제가 조선을 합방(合邦)하던 때 조선에는 이 합방을 수치스럽게 여길 주체인 민족의식이 없었다. 민족은 민족의식과 다름이 없다. 따라서 조선에는 '민족'이 없었다. 이완용 등이 '매국(賣國)'한 조선에는 주권(主權)과 영토는 있었지만 스스로를 국민이라 의식하고 그 주권과 영토가 자기네 것임을 주장하는 민족이 없었다.
왕과 양반의 것으로서의 조선조의 주권은 한일합방 전에 거의 자멸해 있었다. 외세와 싸우다 져서 멸망한 것이 아니다. 이완용 등이 '매국'했다는 것은 과장된 수사(修辭)다. 싸움은 청국.일본.러시아라는 외세들 사이에서만 무주물(無主物)이 된 조선의 주권을 선취(先取)하려고 벌어졌다. 친일파.친로파.친청파는 이름을 갈아 단 사색당파의 변종(變種)이었을 뿐이라고 보는 것이 차라리 적절하지 않을까.
일본이 조선의 주인이 된 후의 친일파라는 조선의 엘리트는 노론(老論)의 세상을 계승했을 뿐이다. 멸망한 조선조에 대한 약간명의 충성스런 '신하'를 민족주의자였다고 말할 수는 없다. 민족은 외부적으로는 다른 민족과의 경계내지 갈등, 내부적으로는 민족 주권이라는 두 측면을 거쳐 의식화된다.
조선왕조처럼 '백성'에게는 수직적으로 바쳐야 할 충성만 있고 수평화된 자유와 인권은 없는 국가에서는 민족 주권이 없기 때문에 국가는 있어도 민족의식이 있을 수 없다. 나아가 자유와 민주주의가 없는 나라의 민족의식은 허위의식(false consciousness)일 뿐이다.
일본 사람들은 일제가 한국에 철도와 학교를 지어준 것을 자랑 삼는다. 원일한(H B 언더우드)교수는 일제가 한국에 끼친 공로는 철도나 학교의 건설이 아니라 양반계급의 파괴라고 말한다. 놀라운 통찰력이다. 그러나 아마도 일제의 더 훌륭한 공로는, 비록 이를 감사할 수는 없으나 타민족에 의한 지배라는 고통과 갈등을 통해 한국인에게 민족의식을 싹트게 해준 것이 아닐까.
민족을 구성하는 요건은 공통된 언어.신화(神話:역사).영토, 이 세가지라고 흔히 말한다. 이 셋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공통된 신화이고, 현대의 모든 민족에게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신화는 자유와 민주주의라고 나는 생각한다.
19세기 유럽의 민족주의는 자기 민족의 고유한 고대신화를 지어내는 데 열광했다. 그러나 과거의 신화가 있을 수 없는 미국에서는
자유와 민주주의라는 미래의 신화로 '미국 민족'을 만들어 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치르는 테러와의 전쟁이나 솔트레이크시티 겨울 올림픽에서
보여 주었던, 과하다 싶을 만큼 강력한 미국의 '민족주의'말이다.
*** 현재 잣대로 과거 단죄
한국에서도 민족의식이 본격적으로 우거지기 시작한 것은 남한에서 산업화와 민주화가 본격화된 1980년대부터로 보인다. 외부적으로는 일제 때 싹텄던 민족의식이 내부적으로 이때야 무성하기 시작했다. 개인의 자유와 번영이라는 미래의 신화가 한국에서도 민족의식의 온전한, 그리고 가장 중요한 요소다.
일제 때 민족적 항일운동을 한 선각자들은 민족의 사표로 길이 찬양받을 만하다. 그러나 일제 때의 친일을 곧 민족에 대한 배반으로 보는 데는 과거의 무의식을 현재의 의식으로써 판단하는 시간적 오류가 있다. 그러므로 친일파를 단죄해야 한다는 정치적 퇴행성 강박관념은 아무 것도 성취할 수 없을 것이다. 실패한 또는 실패할 정치가들의 운명적인 선동으로서 낡은 레코드처럼 반복 회전할 뿐일 것이다.
2012/05/13 17:16에 퍼 옴
'다시 읽고싶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격동의 한말과 일제시대] 조선은 과연 자주국인가 (0) | 2015.09.07 |
---|---|
[격동의 한말과 일제시대] - "천형받은 백성...관리는 기생충...부패와 부정이 발전 가로막는다" (0) | 2015.09.07 |
이 땅에서 산다는 것은 (0) | 2015.08.30 |
Israel and the Jews - Second thoughts about the Promised Land (0) | 2015.08.30 |
[르포] 마지막 王世孫 李玖씨 장례식 풍경 (0) | 2015.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