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m 거대 불상… 韓日 융합한 日 독자문화의 출발 상징
전주영기자
입력 2015-09-09 03:00:00 수정 2015-09-09 03:00:00
[수교 50년, 교류
2000년/한일, 새로운 이웃을 향해]<26>도다이지(東大寺)와 대불
도다이지 정문 앞에서는
방목한 사슴들이 방문객을 맞고 있었다. 나라=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 710년에서 784년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나라(奈良)는 우리의 경주에 해당하는 고도(古都)이다. ‘나라’라는 지명 자체가 우리말 ‘나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곳에
정착한 한반도 도래인들이 붙인 지명이라는 것이다. 나라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들르는 곳이 있으니 도다이지(東大寺·동대사)다. 실내 불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불상이 안치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절이다. 일본 역사상 8세기(701∼800년)를 ‘나라 시대’라고 하는데 이
시대 동아시아는 모처럼 평화를 구가한다. 당나라는 이태백과 두보를 배출한 성당(盛唐)시대였고 통일신라는 에밀레종 불국사 석굴암을 탄생시킨 경덕왕
때였으며 발해는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는 칭송을 받던 문왕(文王)이 다스리고 있었다. 일본도 당당한 문화국으로 발돋움한다. 7세기 백제가 멸망한
후 유민들이 대거 건너오면서 뛰어난 문화를 직접 수혈받았던 일본은 어언 100여 년이 흐른 8세기에 이르러서는 한일 융합의 독자적인 자신들만의
문화를 만들기 시작하는데 시작이 바로 도다이지라고 할 수 있다.》
○ 사슴공원
올해 6월 초 긴테쓰 나라역에서 내려 도다이지를 향해 걸어가는 15분 동안 서양인들을 포함해 수많은 관광객들과 마주쳤다. 나라 시 인구는 총 36만 명인데 도다이지 관광객만 하루 1만여 명에 육박한다고 한다.
특이한 것은 사슴 무리였다. 수십 마리 사슴들이 인도를 어슬렁거리며 돌아다녔다. 자가용들도 경적음을 울리지 않고 사슴들이 지나가기를 기다렸다. 석가모니 부처가 해탈한 뒤 처음 설법한 곳이 사슴공원(녹야원)이라는 점에 착안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문에는 절 홍보담당직원인 스즈키 고세이 씨가 기다리고 있었다. 초행의 필자를 따뜻하게 맞아준 그를 따라 대불전(大佛殿)으로 향했다. 길바닥에 4가지 종류의 서로 다른 색깔과 모양의 돌들이 정갈하게 깔려 있어 물었더니 “일본에 불교를 전해준 나라들을 상징한다”며 “검은 돌은 인도, 붉은 돌은 중국, 흰 돌은 한국, 마름모 돌은 일본을 뜻한다”고 했다. 도다이지가 일본만의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 불교 유산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라는 설명이 덧붙여졌다.
○ 사슴공원
올해 6월 초 긴테쓰 나라역에서 내려 도다이지를 향해 걸어가는 15분 동안 서양인들을 포함해 수많은 관광객들과 마주쳤다. 나라 시 인구는 총 36만 명인데 도다이지 관광객만 하루 1만여 명에 육박한다고 한다.
특이한 것은 사슴 무리였다. 수십 마리 사슴들이 인도를 어슬렁거리며 돌아다녔다. 자가용들도 경적음을 울리지 않고 사슴들이 지나가기를 기다렸다. 석가모니 부처가 해탈한 뒤 처음 설법한 곳이 사슴공원(녹야원)이라는 점에 착안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문에는 절 홍보담당직원인 스즈키 고세이 씨가 기다리고 있었다. 초행의 필자를 따뜻하게 맞아준 그를 따라 대불전(大佛殿)으로 향했다. 길바닥에 4가지 종류의 서로 다른 색깔과 모양의 돌들이 정갈하게 깔려 있어 물었더니 “일본에 불교를 전해준 나라들을 상징한다”며 “검은 돌은 인도, 붉은 돌은 중국, 흰 돌은 한국, 마름모 돌은 일본을 뜻한다”고 했다. 도다이지가 일본만의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 불교 유산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라는 설명이 덧붙여졌다.
실내 불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도다이지(東大寺) 청동 대불의 모습. 담담하지만 자비로운 표정으로 오른손은 손바닥을 보이고 왼손은 무릎에 살포시 올려놓은 모습이다. 당시
일본 정부의 엄청난 국책사업이었던 불상 제작에는 한반도 도래인들의 후손인 최고 장인들의 기술력이 응집됐다. 도다이지
제공
○ 세계 최대
불상
대불전은 어마어마했다. 동서로 57m, 남북으로 50m, 천장 높이가 무려 45m에 이르는 거대한 건축물이었다. 바닥은 축구장 절반 정도 크기였고 천장 끝은 제대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높았다.
대불은 중앙 연화좌 위에 안치돼 있었다. 키가 15m, 무게가 350t으로 752년에 완성된 금동불이다. 목을 최대한 뒤로 넘겨야 얼굴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컸다. 정면에 서면 한 컷에 다 담을 수 없어 좋은 각도를 찾기 위해 좌우를 뛰어다니다 겨우 바닥에 쪼그려 찍으니 마음에 드는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 일본인들은 지난 회에 소개한 아스카사 대불과 호류사 석가삼존상을 백제인들 손을 빌려 청동으로 주조해 냈지만 비로소 이 대불에 이르러 20, 30배 넘는 청동 대불을 주조해낼 정도로 기술력이 월등해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렇게 큰 대불이 만들어지기까지에는 그만한 사연이 있었다.
대불전은 어마어마했다. 동서로 57m, 남북으로 50m, 천장 높이가 무려 45m에 이르는 거대한 건축물이었다. 바닥은 축구장 절반 정도 크기였고 천장 끝은 제대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높았다.
대불은 중앙 연화좌 위에 안치돼 있었다. 키가 15m, 무게가 350t으로 752년에 완성된 금동불이다. 목을 최대한 뒤로 넘겨야 얼굴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컸다. 정면에 서면 한 컷에 다 담을 수 없어 좋은 각도를 찾기 위해 좌우를 뛰어다니다 겨우 바닥에 쪼그려 찍으니 마음에 드는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 일본인들은 지난 회에 소개한 아스카사 대불과 호류사 석가삼존상을 백제인들 손을 빌려 청동으로 주조해 냈지만 비로소 이 대불에 이르러 20, 30배 넘는 청동 대불을 주조해낼 정도로 기술력이 월등해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렇게 큰 대불이 만들어지기까지에는 그만한 사연이 있었다.
세계 최대 목조건축물
도다이지 대불전.
○ 대규모
국책사업
도다이지의 건립과 불상 주조는 한마디로 거대한 국책 사업이었다. 주도한 이는 쇼무(聖武·재위 724∼748년) 왕이었다. 743년 11월 5일 속일본기(續日本紀)는 쇼무 왕의 발원 내용을 이렇게 전하고 있다.
‘불법흥률(佛法興律)의 대기원을 발하여 비로자나불 금동상 1구를 만들어 바치겠노라. 나라의 구리란 구리는 다 모아 상(像)을 만들고 높은 산 나무를 베어 불전을 세우라. 이는 똑같이 이익을 얻고 똑같이 보리(菩提·불교 수행으로 인한 깨달음의 지혜)를 얻기 위함이라…모든 사람마다 나뭇가지 하나, 한 줌의 흙을 갖고 상을 만든다는 마음으로 빈다면 부처님도 이를 들어주실 것이다.’
쇼무 왕은 아예 도다이지 건립과 대불 조성을 맡을 ‘조동대사사(造東大寺司)’라는 관청까지 만드는데 중앙 관청의 성(省)에 맞먹을 정도로 대규모였다고 한다.
○ 도다이지에 서린 한일교류 흔적
불상의 크기가 워낙 크다 보니 부대작업에 걸린 시간과 규모 역시 엄청났다. 대불을 받치고 있는 돌 받침대만 해도 가로 37m, 높이가 2.4m나 되었으며 연꽃 모양으로 주조된 청동좌대도 지름 23m, 높이 3m였다. 연꽃좌대는 12년 만에 완성되었다는데 실제로 보니 화엄의 세계를 그린 흔적들이 희미하게 남아 있었다.
청동 불상을 주조할 진흙 틀을 만드는 데에만도 1년 반, 주조를 위한 용광로 설치에만도 1년이 걸렸다. 마침내 747년 9월 주조가 시작되었지만 2년여 동안 여덟 번이나 실패한 끝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엄청난 사업에 동원된 기술자들은 과연 누구였을까.
속일본기에는 대불 주조를 주도한 총지휘관으로 ‘구니나카노 무라지기미마로’라는 기술자 이름이 나오는데 김달수 선생은 책 ‘일본 속의 한국문화 유적을 찾아서’에서 ‘동대사략연표(東大寺略年表)’를 인용하며 “백제 멸망 후 일본으로 망명한 백제왕족 구니노코쓰후(國骨富)의 후손이며 대불전을 건립한 목수 이나베노 모모요(猪名部百世) 등도 신라계 도래인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엄청난 금이 들어간 도색 작업 때에는 당시 무쓰(陸奧·지금의 동북 지역) 지방에 있던 백제왕씨의 시조이자 의자왕의 아들인 선광(善光)의 3대손 경복(慶福)왕이 보내준 사금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속일본기에 따르면 당시 일본에서는 황금이 나지 않았는데 경복왕이 현재 아오모리 현 지역에서 황금을 발견해 900냥을 쇼무 왕에게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쇼무 왕은 도다이지 대불 완성에 정점을 찍는 개안식(開眼式·불상에 생명력을 넣는다는 의미로 두 눈을 그리는 의식)을 신라, 발해, 당나라, 인도, 캄보디아 승려들까지 초청해 동아시아 국제행사로 치렀다.
동대사요록(東大寺要錄)에 따르면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에서 악인들이 와서 축하음악을 연주했으며 연주된 24곡 중 20곡이 고려악(高麗樂)이었고 나머지는 백제의 가면극에 쓰인 것들이었다고 한다. 이때 사용된 탈이 현재 도쿄국립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앞서 언급한 홍보담당직원 스즈키 씨는 “사찰과 불상 건립에는 주조, 금속세공, 토목, 도금 분야에서 당대 최고 장인들이 동원되었다”며 “일본은 당시 이를 감당할 만한 기술 집단이 따로 없었기 때문에 일본으로 건너온 백제 망명 귀족과 신라 도래인 후손들의 기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일본인의 살에 한국인의 피가 섞인 셈”이라고 했다.
○ 한국과의 연관성에는 인색
하지만 사찰 어디를 둘러봐도 그의 말을 뒷받침해 줄 안내 문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필자는 좀 더 자세한 이야기가 듣고 싶어 대불전을 관할하는 히라오카 쇼슈 부주지 스님(65)을 만났다. 도쿄 한국문화원을 통해 사전에 약속을 했기 때문에 순조롭게 인터뷰가 진행될 줄 알았다.
예상 밖의 상황이 벌어졌다. 인사와 소개가 끝나자마자 그는 대뜸 “(도다이지에 도래인들의 흔적이 많다는) 당신의 생각은 한국인적인 시각에 너무 치우쳐 있다”는 말부터 꺼냈다. 필자가 사전에 보낸 질문 중 “도다이지를 건립한 이들이 한반도 도래인인가”라는 대목이 불쾌하게 들렸다는 뉘앙스였다.
그는 이어 “어느 지역에서 왔어도 2, 3대로 넘어가면 다 현지인이 된다. 당신처럼 생각하면 나도 한국인의 피가 섞인 한국인일 것이다. 하지만 정체성은 일본인이기에 한국인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 아니냐”며 “도다이지와 대불을 건립한 이들이 한반도 도래인은 맞지만 이미 일본에 정착하고 3, 4대가 지난 후손들이기에 엄밀하게 말하면 한국인이 아니라 일본인인 것”이라고 했다.
도다이지의 건립과 불상 주조는 한마디로 거대한 국책 사업이었다. 주도한 이는 쇼무(聖武·재위 724∼748년) 왕이었다. 743년 11월 5일 속일본기(續日本紀)는 쇼무 왕의 발원 내용을 이렇게 전하고 있다.
‘불법흥률(佛法興律)의 대기원을 발하여 비로자나불 금동상 1구를 만들어 바치겠노라. 나라의 구리란 구리는 다 모아 상(像)을 만들고 높은 산 나무를 베어 불전을 세우라. 이는 똑같이 이익을 얻고 똑같이 보리(菩提·불교 수행으로 인한 깨달음의 지혜)를 얻기 위함이라…모든 사람마다 나뭇가지 하나, 한 줌의 흙을 갖고 상을 만든다는 마음으로 빈다면 부처님도 이를 들어주실 것이다.’
쇼무 왕은 아예 도다이지 건립과 대불 조성을 맡을 ‘조동대사사(造東大寺司)’라는 관청까지 만드는데 중앙 관청의 성(省)에 맞먹을 정도로 대규모였다고 한다.
○ 도다이지에 서린 한일교류 흔적
불상의 크기가 워낙 크다 보니 부대작업에 걸린 시간과 규모 역시 엄청났다. 대불을 받치고 있는 돌 받침대만 해도 가로 37m, 높이가 2.4m나 되었으며 연꽃 모양으로 주조된 청동좌대도 지름 23m, 높이 3m였다. 연꽃좌대는 12년 만에 완성되었다는데 실제로 보니 화엄의 세계를 그린 흔적들이 희미하게 남아 있었다.
청동 불상을 주조할 진흙 틀을 만드는 데에만도 1년 반, 주조를 위한 용광로 설치에만도 1년이 걸렸다. 마침내 747년 9월 주조가 시작되었지만 2년여 동안 여덟 번이나 실패한 끝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엄청난 사업에 동원된 기술자들은 과연 누구였을까.
속일본기에는 대불 주조를 주도한 총지휘관으로 ‘구니나카노 무라지기미마로’라는 기술자 이름이 나오는데 김달수 선생은 책 ‘일본 속의 한국문화 유적을 찾아서’에서 ‘동대사략연표(東大寺略年表)’를 인용하며 “백제 멸망 후 일본으로 망명한 백제왕족 구니노코쓰후(國骨富)의 후손이며 대불전을 건립한 목수 이나베노 모모요(猪名部百世) 등도 신라계 도래인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엄청난 금이 들어간 도색 작업 때에는 당시 무쓰(陸奧·지금의 동북 지역) 지방에 있던 백제왕씨의 시조이자 의자왕의 아들인 선광(善光)의 3대손 경복(慶福)왕이 보내준 사금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속일본기에 따르면 당시 일본에서는 황금이 나지 않았는데 경복왕이 현재 아오모리 현 지역에서 황금을 발견해 900냥을 쇼무 왕에게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쇼무 왕은 도다이지 대불 완성에 정점을 찍는 개안식(開眼式·불상에 생명력을 넣는다는 의미로 두 눈을 그리는 의식)을 신라, 발해, 당나라, 인도, 캄보디아 승려들까지 초청해 동아시아 국제행사로 치렀다.
동대사요록(東大寺要錄)에 따르면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에서 악인들이 와서 축하음악을 연주했으며 연주된 24곡 중 20곡이 고려악(高麗樂)이었고 나머지는 백제의 가면극에 쓰인 것들이었다고 한다. 이때 사용된 탈이 현재 도쿄국립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앞서 언급한 홍보담당직원 스즈키 씨는 “사찰과 불상 건립에는 주조, 금속세공, 토목, 도금 분야에서 당대 최고 장인들이 동원되었다”며 “일본은 당시 이를 감당할 만한 기술 집단이 따로 없었기 때문에 일본으로 건너온 백제 망명 귀족과 신라 도래인 후손들의 기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일본인의 살에 한국인의 피가 섞인 셈”이라고 했다.
○ 한국과의 연관성에는 인색
하지만 사찰 어디를 둘러봐도 그의 말을 뒷받침해 줄 안내 문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필자는 좀 더 자세한 이야기가 듣고 싶어 대불전을 관할하는 히라오카 쇼슈 부주지 스님(65)을 만났다. 도쿄 한국문화원을 통해 사전에 약속을 했기 때문에 순조롭게 인터뷰가 진행될 줄 알았다.
예상 밖의 상황이 벌어졌다. 인사와 소개가 끝나자마자 그는 대뜸 “(도다이지에 도래인들의 흔적이 많다는) 당신의 생각은 한국인적인 시각에 너무 치우쳐 있다”는 말부터 꺼냈다. 필자가 사전에 보낸 질문 중 “도다이지를 건립한 이들이 한반도 도래인인가”라는 대목이 불쾌하게 들렸다는 뉘앙스였다.
그는 이어 “어느 지역에서 왔어도 2, 3대로 넘어가면 다 현지인이 된다. 당신처럼 생각하면 나도 한국인의 피가 섞인 한국인일 것이다. 하지만 정체성은 일본인이기에 한국인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 아니냐”며 “도다이지와 대불을 건립한 이들이 한반도 도래인은 맞지만 이미 일본에 정착하고 3, 4대가 지난 후손들이기에 엄밀하게 말하면 한국인이 아니라 일본인인 것”이라고 했다.
그러더니 “한국이 우수하다 혹은
일본이 우수하다는 말은 할 필요가 없다. 누가 형이고 동생인지 따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도다이지 대불은 일본만의 것이 아니라 좀 더 넓은
시각에서 동아시아의 대불로 여겨야 한다”고 장황한 설명을 마쳤다.
똑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른 법인데 이왕이면 기록에 나온 대로 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하면 자존심이 상하는 것일까. 취재를 마치고 나오는 뒷맛이 약간 씁쓸했다.
똑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른 법인데 이왕이면 기록에 나온 대로 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하면 자존심이 상하는 것일까. 취재를 마치고 나오는 뒷맛이 약간 씁쓸했다.
'日本, 韓.日 關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 최초 왕실사찰, 백제서 건너온 건축명장 유중광의 작품 (0) | 2015.10.10 |
---|---|
日 국보1호 목조미륵반가상, 한국 고대불상 쏙 빼닮아 (0) | 2015.10.10 |
세계最古 목조건물에 새긴 불국토… 한일 화공들의 합작품 (0) | 2015.10.10 |
日本の右傾化と軍国主義 - 人民網日本語版 (0) | 2015.10.10 |
일본이 "中보다 韓에 대한 악감정 유독 큰 이유…한국의 너무 즉각적인 반응 때문" (0) |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