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은 전범, 현상금 12억원”…공개 수배한 러시아 출신 사업가
미국으로 망명한 러시아 출신의 사업가가 거액의 현상금을 내걸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공개 수배’했다.
3일(현지시각) 영국 인디펜던트는 유명 사업가 알렉산드르 파블로비치 코나니힌(55)이 푸틴 대통령을 공개 수배하며 100만달러(약 12억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고 보도했다.
코나니힌은 1991년 보리스 옐친 정부로부터 외환 거래 허가를 받아 러시아외환은행을 설립했다. 이후 은행 돈을 빼돌렸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이에 반발해 1999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망명 이후에는 100개 기업의 운영권 등 러시아 내 자산을 모두 잃었다.
코나니힌은 지난달 27일 페이스북에 “러시아 헌법 및 국제법에 의거 ‘전범’ 푸틴을 체포하는 이에게 100만 달러를 지급할 것을 약속한다”고 했다. 해당 게시물은 페이스북 운영 정책 위반으로 한차례 삭제됐으나 지난 1일 다시 게재했다.
직접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현상수배 전단지에는 “생사와 관계없이 잡아오라”는 문구와 함께 ‘대량 학살범 블라디미르 푸틴’이라고 적혀있다. 코나니힌은 “선거 자유를 제한하고 반대파를 숙청하는 등 (러시아) 헌법을 위반한 푸틴을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러시아인으로서, 러시아 시민으로서 러시아의 ‘비(非)나치화’에 앞장서는 것이 나의 도덕적 의무”라고 했다. “푸틴의 맹공을 견뎌내기 위한 우크라이나인들의 영웅적 노력을 계속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코나니힌은 ‘법의 심판’을 위해 현상금을 내걸었다고 했다. 그는 지난 2일 링크드인에 “푸틴 암살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푸틴은 반드시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국제형사재판소(ICC)는 이날 러시아의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ICC는 “회원국 중 39개국이 수사 개시를 요청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과 관련한 증거 수집 작업을 개시했다”고 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ICC 비회원국이라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아닌 ICC 회원국의 요청으로 시작된 수사의 경우 비회원국의 협조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비슷한 사례도 있다. ICC는 지난해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을 조사하려고 했으나, 2019년 ICC를 탈퇴한 필리핀은 협조를 거부했다.
'國際'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経済制裁を続ければロシアはウクライナから撤退するだろうか? これからの展開を読む (0) | 2022.03.07 |
---|---|
対プーチンで「米国とEUの対応」に温度差がある決定的な理由 (0) | 2022.03.07 |
China is tying itself in knots over Ukraine (0) | 2022.02.27 |
ウクライナ危機 カギは西側先進国の結束 (0) | 2022.02.25 |
「ウクライナ侵攻」の背後で、プーチンと習近平が抱えている「独裁者のジレンマ」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