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

사대주의에 대한 한 가지 오해

이강기 2015. 9. 16. 22:05
사대주의에 대한 한 가지 오해
            임용한 교수

식민지 시대의 경험은 지금까지도 한국 사회에 큰 상처로 남아 있다. 그것은 여러가지 후유증 내지는 강박증세를 낳는데, 그 중의 하나가 사대주의에 대한 예민하고 과도한 강박증인 듯 하다.

  사대주의의 문제는 역사서술, 정치, 외교, 사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급되기 때문에 그 모든 증세를 다 거론하려면 길고 복잡한 글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대중국외교에 대한 부분만 거론하고자 한다.

  사대주의 증세의 하나로 주요하게 거론되는 것이 조선의 중국에 대한 저자세적이고 종속적인 외교이다. 왜 우리는 중국을 그렇게 섬기려고만 하는가? 만주에서 거란, 여진이 일어나고, 중국과 갈등이 발생할 때, 같은 몽골리안 계통끼리 단결해서 중원으로 치고 가지 못하고, 중국의 편에 서거나 현실 보존만 하려고 했는가?

  이같은 사대주의 외교란 한마디로 관념적, 종속적, 비자주적 외교정책이라고 하겠다. 그런데 정말 그랬던 것일까? 절대로 그렇지 않다. 외교란 국가안위와도 직결된 지극히 냉정하고 너무나 현실적인 현상이다. 같은 민족, 같은 국가 내에서는 감정적 호소, 비이성적 정책이 먹힐 수도 있지만 외교에서는 약간의 소지도 없다. 가족 간에는 말로 부탁을 하거나 담보없이 돈을 꿀 수도 있지만, 타인이나 기관에게서는 어림도 없는 경우와 같다.

  옛날 사람이라고 이것을 모르지 않는다. 우리 곁에 상존하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조선시대의 대중관계가 굴종적, 비자주적, 불평등 관계라고 비난하지 말고, 우리 선조들이 그런 손해와 모욕을 감수한 현실적 원인을 찾아야 한다.

   수나라와 당나라가 고구려를 집요하게 공격한 이유는 고구려가 만주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은 삼국시대가 종식되고 5호 16국을 겪으면서 두가지 교훈을 얻었다. 1) 중원 내부의 국가가 붕괴하면 주변의 이민족이 침입해 온다. 2) 그 중에서 제일 위험한 지역은 만주이다.(만주가 왜 경계대상 1호인지는 강의안 참조 바람)

  한국은 여기에 두가지 교훈을 더 하여 얻는다. 3) 만주에서 세력이 일어나 중원을 침공할 때는 반드시 조선을 먼저 공략한다. 4) 중국이 분열하면 만주에서는 반드시 세력이 일어난다.

  군사학의 명제 중의 하나가 전술은 바뀌어도 전략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이다. 만주에서 일어난 세력이 중국을 공격하고자 하면 그들의 배후 (간도와 한반도)의 기습에 취약해 진다. 이 전략적 상황은 변할 수가 없었다.

  삼국시대 모용씨의 침입, 거란의 침공, 몽고의 침입, 홍건적의 침공, 후금과 청의 침입(병자호란) .. 삼국시대 이래 북방민족의 침입사는 모두가 이 전략적 공식과 부합한다.

  혈통적, 인류학적으로 만주의 민족은 한족인 중국인보다는 우리와 가까울지 모른다. 심지어 고려시대 금나라를 세운 여진족의 왕가는 고려인의 후손이었고, 금이라는 나라 이름도 김씨 성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현실은 냉혹해서 우리를 침공하는 나라는 늘 그들이었다. 고려와 조선의 통치자들은 이 사실을 분명히 알았다. 그래서 그들은 중원 왕조의 안정을 바랬고, 그들이 만주를 견제하는 정책에 협조했다.

  이것이 우리가 사대외교라고 말하는 외교의 정확한 이유이다. 이것을 관념적이고, 굴종적이고, 비자주적 태도라고 비난할 수 있을까?

  말이 나온 김에 이같은 역사적 대중외교정책의 구조를 현대에 어떻게 적응할 수 있을 지 생각해 보자. 21세기에 한중관계는 고려,조선의 경우와는 크게 다르다.

   첫째, 중원과 만주는 하나의 국가가 되었다. 즉 한국과 중국의 전통적 우호관계를 매개해 주던 현실적 조건이 사라졌다.

   둘째, 현시점에서 중국의 경제적 이해와 충돌하는 첫번째 국가는 한국이다. 중국은 이미 60-70년대 한국의 경제를 받치던 저임금, 노동집약형 산업을 거의 점령했다. 동시에 이들 산업은 벌써 인도,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의 위협을 받고 있다. 중국이 경제성장을 지속하려면 중공업, 기술집약형 산업으로 이행해야 하는데, 그것이 지금 한국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이다.

   두번째 조건은 이미 세상이 다 아는 이야기라 굳이 쓰기가 쑥스럽다. 역사학자로서 말하고 싶은 이야기는 과거의 한중관계는 완전히 과거 속에 매몰되었다는 사실이다.



'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만 투르크 제국  (0) 2015.09.16
여운형, 박헌영, 이승만의 忌日   (0) 2015.09.16
고대 동북아의 외교와 전쟁   (0) 2015.09.16
古代 東北亞 諸民族의 交易  (0) 2015.09.16
伽耶史 여행  (0) 2015.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