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출처 : "19세기 朝鮮은 체력 다해 스스로 무너졌다" | |||||
원문링크 : http://www.chosun.com/culture/news/200410/200410050347.html | |||||
"19세기 朝鮮은 체력 다해 스스로 무너졌다" '수량경제사로 다시본 조선후기' 펴낸 이영훈 교수
"경제하강 계속돼 위기 빠져… 일제하 경제 피폐 내세우는 전통적 수탈설은 근거 잃어" 입력 : 2004.10.05 17:34 57'
―조선 후기 경제 상황이 ‘소진(消盡)’ 상태였다는 이 책의 내용은 상당한 충격을 부를 것 같다. “우리 연구소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한국의 경제 통계를 조선 후기·식민지기·대한민국의 세 시기로 나누어
연구하고 있다. 이번에 나온 것은 첫 번째 결과물이다. 조선 후기의 경제 체제는 국가의 재분배가 큰 역할을 담당했다. 19세기 중반 이후 재분배
경제 체제가 붕괴하고 농민 수탈이 강화되어 농민 반란을 초래했다. 조선왕조의 멸망은 외세의 작용보다는 모든 체력이 소진된 나머지 스스로 해체된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동학혁명·갑오개혁 등 주요 사건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결국 한국의 근대적 경제성장이 일제시대에 시작됐다는 주장과 연결되는 것인가? “한국의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은 1910년대이다. 특히 1930년대 이후에는 노동·자본의 투하량과 인구가 크게 늘고
만주·일본으로의 이주민과 유학생도 급증한다. 이런 경제의 양적 성장이 민족별로 어떻게 분배됐는지는 따로 따져볼 문제이지만 일제 치하 경제가
피폐했다는 전통적인 수탈설은 더 이상 주장하기 어렵다.” ―그런 분석은 경제의 양적(量的)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민족’을 역사의 기본 단위로 생각하는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
같다.
“역사를 보는
관점을 ‘민족’에서 ‘문명’으로 전환해야 한다. ‘민족’을 기준으로 하면 20세기는 좌절과 상실의 시기이지만, ‘문명’을 기준으로 하면 물질적
풍요와 사회의 선진화를 달성한 시기가 된다. 근대는 자립적 개인, 시장·교환 경제, 자발적 협동체가 특징이며 이는 개방적 체제에서 다른 문명과의
충돌·접합 과정에서 성취된다.” ―그런 관점에서 오늘 우리 사회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지금 우리 사회는 민주화와 통일 열망이 확산되면서 오히려 공공성과 근대성이 쇠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가 자주적 근대국가를 세워본
경험을 갖고 있지 않고, 미국에 의해 서구적 근대사회 운영 원리가 외삽(外揷)됐기 때문이다. 근대적 사상에 대한 훈련이 부족한 가운데서
대동사상(大同思想)과 사회주의 등 평등 지향 이념에 오랫 동안 영향을 받은 민중 세력이 부상한 것이다.” ―얼마 전 TV토론 프로그램에서 일본군 위안부 관련 발언으로 곤욕을 치렀다. “방송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학술토론회처럼 말하는 바람에 오해를 산 것 같다. 일제의 종군위안부 강제동원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번 사태는 과거사 청산에 대한 견해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살아 있는 사람들의 몫인 정치의 원리를 과거의 유산에서 찾는 것은 중세(中世)의 모습이다. 북한은 김일성이 죽은 지 1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그 유훈(遺訓)으로 통치하고 있다. 근대 학문은 사자(死者)의 유령으로부터 생자(生者)를 해방시키는 것이 본질이다. 역사의 원혼을
치유하지 않으면 사회가 발전할 수 없다는 사고 방식에서 역사가 현실의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
'옛 記事를 읽는 재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主기도문 (0) | 2015.10.30 |
---|---|
부끄러운 이야기 (0) | 2015.10.30 |
박정희 정권의 행정수도 이전 계획 비화 (0) | 2015.10.28 |
김우중 다시보기? (0) | 2015.10.28 |
The last personality cults - Toughs at the top (0) | 2015.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