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과 한국인은 무엇이 다른가 중국인과 한국인은 무엇이 다른가 "중국과 한국의 민족성에는 매우 미묘한 차이가 있다." 중국의 지한파 작가 장훙제(張宏杰)는 인민일보 국제시사 전문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 최근호 기고를 통해 양국의 민족성에는 많은 공통점이 있으면서 동시에 미묘한 차이가 감춰져 있다고 말..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중국만주족 중국만주족 만족(즉 만주족)은 대대로 동북지역에 살았으나 여러 가지 역사적인 원인으로 지금은 거의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있다. 1990년 현재 만족 인구는 982만여명이다. 주요 분포지는 동북 3성으로 7,185,46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그 중 요녕성(遼寧省)이 4,952,859명으로 가장 많다. 그 나..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중국조선족 중국조선족 중국 소수민족의 하나인 조선족은 1990년 현재 총 1,920,579명으로, 주로 길림성(1,181,964명) 흑룡강성(452,398명) 요녕성(230,378명)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는 내몽고자치구와 북경 천진 상해 항주 성도 제남(濟南) 서안 무한(武漢) 등지의 대도시에 흩어져 살고 있다. 그 중 전중..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중국인과 한국인의 역사관 [여시동] 중국인과 한국인의 역사관 중국인들은 웬만해서 남의 욕을 하지 않는다. 면전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뒤에서도 남 욕하는 것을 거의 본 적이 없다. 길거리에서 너 죽고 나 죽자며 한판 붙는 경우는 물론 예외지만, 평소엔 남을 정당하게 비판하는 것조차 극도로 꺼리는 것이 중국..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1) 제국의 최후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1) 제국의 최후 ≫ 전족의 충격적인 모습.북폴리오 제공 중국의 20세기를 사진으로 본다. <인터넷한겨레>는 출판사 ‘북폴리오’가 2006년 말 펴낸 <20세기 포토다큐 세계사 1-중국의 세기>(지은이 조너선 스펜스)에 게재된 사진들을 북폴리오의 양해와 ..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2) 혁명과 전쟁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2) 혁명과 전쟁 ≫ 공산당 지도자들 일본과의 전쟁이 발발하기 3주 전에 옌안에서 찍은 사진으로 왼쪽부터 저우언라이, 마오쩌둥, 보구이다. 마오쩌둥은 저우언라이와 보구를 추월하여 1935년 대장정에서 당 지도자가 되었다. 북폴리오 제공 ≫ 공산당의 삼두 ..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 ③권력의 핵심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 ③권력의 핵심 ≫ 도가적인 모습을 한 장군 1910년경의 위안스카이. 그는 청나라 군대에서 가장 권력 있는 장군이었다. 1908년 해임된 뒤에 침묵으로 항의하면 전통적인 시골 은둔자인양 처신했다. 짚으로 만든 망토를 걸치고 낚시하며 명상하는 모습은 중국 ..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④ 근대화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④ 근대화 ≫ 서구 열강의 상징 상하이 제방은 1840년대의 조약으로 얻은 미개발 농지에 건설되었다. 은행과 클럽, 상가, 호텔 등이 어우러진 풍요로운 곳으로, 모두 영국법의 보호를 받았다. 제방 뒤에는 서양인이 거주하는 가로수 길이 있었다. 북폴리오 제공..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 ⑤대약진과 대기근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 ⑤대약진과 대기근 ≫ 오래된 빈곤, 기근에 찌든 농촌으로부터 흘러온 절박한 난민들의 미래는 굶주림이나 추위로 거리에서 죽는 것이다. 북폴리오 제공 ≫ 공포에 휩싸인 거리, 1937년 8월 전쟁이 상하이까지 덮쳤다. 일본군은 황푸 강 연안과 부두를 점령하.. 中國, 韓.中關係 2015.09.03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 ⑥ 문화대혁명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 ⑥ 문화대혁명 ≫ 흑방의 단원. 1966년 9월 12일 어린 홍위병이 죽국 북쪽 끝에 있는 하얼빈 시장 리판우의 머리카락을 잘라내고 있다. 리의 목에 걸린 간판이 그를 ‘흑방의 단원‘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흑방은 마오쩌둥이 새로이 선포한 문화대혁명을 방해.. 中國, 韓.中關係 2015.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