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이란 무엇인가? - 김화영 번역이란 무엇인가? - 김화영 인간이 저 아득한 과거 속에서 잃어버린 <낙원>은 안락과 풍요의 세계였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이 그 <낙원>을 그리워하는 까닭은 안락과 풍요 이외에도 그 세계에는 오직 한 가지 언어만이 존재하여 완벽한 의사 소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낙원은 .. 文學, 語學 2015.10.01
왜 쓰는가 - 박범신 2005년 10월 22일 토지문화관 강연 녹취) 왜 쓰는가 박범신 진행 : 정현기(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진행] 1930년대는 문학적으로 위대한 시대였고 거기에 버금가는 시대가 1970년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적으로 위대한 시대였다는 말은 역사적으로 참혹한 폭력과 야비한 관념이 한 .. 文學, 語學 2015.10.01
白石, 내 가슴 속에 지워지지 않는 이름 ― 子夜 여사의 회고 白石, 내 가슴 속에 지워지지 않는 이름 ― 子夜 여사의 회고 李 東 洵 1. 지금은 갈 수 없는 땅이지만, 서울에서 경의선(京義線)을 타고 서른 네 번째 역을 지나면 운전(雲田), 고읍(古邑) 다음에 정주(定州)역이 나타난다. 한양서 북으로 천리길을 나귀를 타고 터벅터벅 가야 하던 옛 평안.. 文學, 語學 2015.10.01
정지용 '비사', "4년간 포로 생활하다 북한행 선택" 정지용 '비사', "4년간 포로 생활하다 북한행 선택" - 월간 중앙 기사 '납북 사망설' 부인 증언 나와, "모윤숙이 포로수용소 뒤지고 다녀"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에 끌려가 1950년 9월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정지용이 미군의 포로로 잡혀 4년간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박창현이라는 가명으로 .. 文學, 語學 2015.10.01
동화 작가 권정생의 작품세계 동화 작가 권정생의 작품세계 1. 들어가는 말 동화가 해야할 중요한 일 가운데 하나가 어린이들의 아픔을 달래주고 새로운 세계를 향한 꿈을 키워주는 것이라면 동화는 당연히 어린이들이 살고 있는 현실에 굳건히 발을 디디고 있어야 한다. 어린이들도 역사 속에서 살아간다. 우리 겨레.. 文學, 語學 2015.10.01
미당을 논한다 미당을 논한다 1. 미당 서정주 가다 (한겨레 최재봉기자) 2. 미당의 죽음과 문인 의식 (시인 노혜경) 3. 미당선생 혹평 자제해야 (중앙일보 독자) 4. 미당집 대문앞에 놓인 임자없는 꽃다발 (조선일보) 5. 고 서정주 황순원을 말한다 (전상국, 문정희) ▣ 미당 서정주 가다 시인 미당 서정주씨.. 文學, 語學 2015.09.30
'개똥폼' 잡지 말고 현실의 저잣거리로 내려오라! - 황석영 황석영 '개똥폼' 잡지 말고 현실의 저잣거리로 내려오라! [기고] 소설가 황석영... 내가 "총대를 메겠다"고 한 이유는 오마이뉴스(news) 소설가 황석영씨가 지난 1월 22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새 정치질서 만들기에 나라도 총대를 멜 생각이 있다"고 말해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그.. 文學, 語學 2015.09.30
문학과 철학 사이에서 비교문학의 균형잡기 문학과 철학 사이에서 비교문학의 균형잡기 - 연대 비교문학 이은정 저렇게 버리고도 남는 것이 삶이라면 우리는 어디서 죽을 것인가 저렇게 흐르고도 지치지 않는 것이 희망이라면 우리는 언제 절망할 것인가 해도 달도 숨은 흐린 날 인기척 없는 강가에 서면 물결 위에 실려가는 조그.. 文學, 語學 2015.09.30
한국 최초의 여성 독문학자 전혜린의 삶과 글쓰기에 대한 조명 한국 최초의 여성 독문학자 전혜린의 삶과 글쓰기에 대한 조명 - 장 순 란 (서강대) Ⅰ. 들어가는 말 1950?60년대 한국은 전쟁 및 분단을 통한 전통과의 단절 및 근대사회로의 도약이라는 새로운 자각이 중첩적으로 대두되었던 시기로 특징지을 수 있다. 전후 젊은 지식인 세대는 스스로 전.. 文學, 語學 2015.09.30
『황무지』에 나타난 정화 의식으로서의 시쓰기 시체, 유골, 그리고 죽은 시인들: 『황무지』에 나타난 정화 의식으로서의 시쓰기 - 이 정 호<서울대> 불건전한 농담이나 마찬가지로 신화적인 공포 영화는 야한 일을 담당한다. 공포 영화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극악한 본능에 의도적으로 호소한다. 공포 영화는 우리의 병적인 본능.. 文學, 語學 2015.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