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120

나폴레옹의 야파 방문

나폴레옹의 야파 방문[임용한의 전쟁사]〈246〉 임용한 역사학자 동아일보 2023-01-10 지중해를 바라보는 팔레스타인의 항구도시 야파는 십자군 전쟁 시절부터 중요한 항구이자 군사 거점이었다.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공 때도 야파는 격전지가 되었다. 프랑스군은 야파 요새를 함락하는 데 상당히 애를 먹었고, 그 대가로 함락된 도시에 대해 무자비한 보복과 약탈을 감행했다. 신의 응징이었을까? 야파의 프랑스군에게 재앙이 닥쳤다. 가래톳페스트(선페스트)가 프랑스 병사를 덮쳤다. 프랑스군의 사기는 저하하고, 이미 패전을 예감하고 있던 나폴레옹은 고민에 빠졌다. 1799년 3월 7일, 절망과 죽음만이 감도는 야파의 페스트 환자 수용소에 나폴레옹이 나타난 것이다. 감동했기 때문이었을까? 원한과 억한 심정 때문이었을까?..

歷史 2023.01.10

2000여기 핵탄두 계속 가졌다면... ‘우크라이나’서 배운다

2000여기 핵탄두 계속 가졌다면... ‘우크라이나’서 배운다[김대중 칼럼] 옛 소련서 독립 후 우크라가 갖고 있던 2000여기 핵탄두 계속 가졌다면 러시아의 침략은 없었을 것이다 김대중 칼럼니스트 조선일보, 2023.01.10 북한은 상황에 따라 언제든 전쟁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봐야 한다. 지난 1년간 하루가 멀다 하고 쏘아 올린 수많은 미사일과 핵 시설 과시는 단순한 불꽃놀이용(用)이 아니다. 그 전쟁 준비 완료의 신호탄이 드디어 무인기를 타고 휴전선을 넘어 서울 상공까지 넘나들었다. 2022년 11월 18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딸 김주애의 손을 잡고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7형 시험발사장을 찾았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초강력적이고 절대적인 핵억제력을 끊임없이 제고함에 관한 우리 당..

중국, 중국 사람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중국, 중국 사람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다음 글은 지난 주 한울이 출간한 《기억과 전망》(2022년 겨울호)에 게재된 한양대 사학과 강진아 교수가 『중국의 귀환』에 대해 쓴 서평 중 일부이다.] 오카모토 다카시는 최근 신작 『교양으로서의 중국사』를 출간하였다. 아마존 평점 4점 이상을 기록하는 베스트셀러가 된 이 책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중국을 말한다. 현대 중국의 법은 인민 위에 군림하고 있지만 공산당 위에 있지는 않습니다. 즉, 중국은 주권재민(民)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단지, 여기서 주권재민이 올바르고 중국의 방식이 잘못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여러 가치관 중에 하나를 택해서 옳다고 밀어붙이는 것도 역시 잘못되었다 는 말입니다. 우리 일본인은 우연히 영국에서 생겨난 법치 시스템..

문해력 붕괴, 기성세대는 책임 없을까

[동서남북] 문해력 붕괴, 기성세대는 책임 없을까 ‘지구력’을 ‘지구의 힘’으로 보고 ‘금일’은 ‘금요일’로 아는 현실 불필요한 어휘로 권위 세우고 세대 간 소통 실패한 탓은 아닌가 유석재 기자 조선일보, 2023.01.09 03:00 “지구력이 부족하다고? 지구력 자체가 지구이기 때문에 만들어진 말 아닌가요.” 얼마 전 한 웹 소설의 댓글 하나가 관심을 끌었다. 외계 행성이 무대인 이 소설에서 한 등장인물이 왜 ‘지구력’이란 말을 썼느냐는 독자의 항의였다. ‘오래 버티며 견디는 힘’이란 뜻의 지구력(持久力)을 ‘지구의 힘’인 ‘지구력(地球力)’ 쯤으로 착각한 것이다. 이 댓글에는 “그럼 달에서 만들어졌음 달력인가요”란 댓글이 달렸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0..

영화 '로미오와 줄리엣'의 남녀 주연 배우 올리비아 핫세와 레너드 위팅은 50년 동안에 그 모습이 얼마나 변했을까?

영화 '로미오와 줄리엣'의 감독 프랑코 제피렐리와 두 주연배우 올리비아 핫세, 레너드 위팅. 1968년 9월의 모습이다. 올리비아 핫세와 레너드 위팅. 1968년 이탈리아 베로나를 찾아 줄리엣의 묘에 꽃을 놓는 모습. 지난 2018년 한 행사장에 모습을 드러낸 '로미오와 줄리엣'의 두 주연배우 올리비아 핫세와 레너드 위팅. ( 사진은 2023. 1. 8, 인터넷 중앙일보 기사에서 퍼 온 것임)

寫眞 2023.01.08

3000년 전 다윗이 샀던 터…이·팔 충돌 났다 하면 이곳이 원인

3000년 전 다윗이 샀던 터…이·팔 충돌 났다 하면 이곳이 원인 [지도를 보자] 중앙일보, 2023.01.08 05:00 박형수 기자 마름모꼴의 이 지역은 어디일까요?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추가 정보를 드리자면, 힌트 ①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크림반도를 일컬어 ‘러시아의 ○○○’이라 했죠. ②구약성경에 나오는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이 외아들 이삭을 신께 바치려 했던 ‘모리아산’의 현대 지명. ③영화 ‘다빈치코드’에 등장하는 ‘템플 기사단’의 본거지. 정답은 ‘성전산(temple mount, 이슬람명 하람 알샤리프)’이 포함된 예루살렘 구(舊)시가지입니다. 지도에서처럼 이스라엘의 수도 예루살렘은 동·서로 양분됐는데요. 서쪽은 이스라엘에 속했고, 동..

重要資料 모음 2023.01.08

신냉전 시대, 무기공장이 24시간 돌아간다

신냉전 시대, 무기공장이 24시간 돌아간다[딥다이브] 한애란기자 동아일보, 2023-01-07 ‘신 냉전’이라는 말이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국제질서를 뒤흔들고 있는데요. ‘대만에 대한 무력 사용’을 운운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미사일∙무인기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까지. 세계 곳곳이 불안불안합니다. 높아지는 안보 위협에 모처럼 호황을 맞이하게 된 산업도 있는데요. 바로 방위산업입니다. 전투기, 장갑차, 미사일, 탄약까지. 주문이 밀려들고 있어 공장이 쉴 틈이 없을 지경이라고 합니다. 반전 평화주의자들 입장에선 땅을 칠 노릇이지만 ‘K-방산’ 수출에서 보듯 업계 입장에선 큰 기회이기도 하죠. 오늘 딥다이브는 글로벌 방위산업을 들여다볼게요. 대전차 미사일 재블린(Javelin)의 발..

Prince William ‘Hates’ Harry and Meghan, Feels ‘Utterly Betrayed,’ Friend Says

Prince William ‘Hates’ Harry and Meghan, Feels ‘Utterly Betrayed,’ Friend Says ‘NO WAY BACK’ “It’s impossible to exaggerate the extent of his contempt for Harry and Meghan,” a friend of Prince William’s tells The Daily Beast. “He can’t believe Harry would do this.” 에라잇! exclusive Max Mumby/Indigo/Getty Images Tom Sykes(Royalist Correspondent) Daily Beast published Jan. 05, 2023 If you love The D..